[PEOPLE] <왕세자 실종사건> 김유영 [No.107]
글ㆍ사진 박병성
2012.08.22
작게
크게

여유를 아는 배우

 

김유영이 <왕세자 실종사건>의 자숙이로 돌아왔다. ‘돌아왔다’는 말은 어쩌면 합당한 표현이 아니다. 그녀는 다작 출연 배우는 아니었지만 꾸준히 무대에 서왔고 참여하는 작품마다 제 몫을 톡톡히 해냈다. 그런 김유영에게 ‘돌아왔다’는 표현은 실례일 수 있다.

 

 

<font color="#000000">자숙으로 돌아오다</font>

적지 않은 이들이 <스프링 어웨이크닝> 이후 김유영의 행적에 대해 잘 모른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일 것이다. 순수하고 섬세한 벤들라로 데뷔한 후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김유영은 이후 주로 비중 있는 조역에 출연해왔다. 그리고 매 작품마다 변신을 거듭하면서 <스프링 어웨이크닝>의 벤들라와, <너와 함께라면>의 여동생, <늑대의 유혹>의 한경, 그리고 <막돼먹은 영애씨>의 김태희가 한 배우였다는 것을 헷갈려 하는 이도 있었다. 실제 <너와 함께라면>에서 건강하고 엉뚱한 시골 소녀 같은 여동생 역을 했을 때 그녀가 <스프링 어웨이크닝>의 벤들라였음을 모르는 이들이 꽤 많았다. 그만큼 무대마다 김유영은 성격도, 심지어 외모까지도 다르게 보였다.


김유영은 한 해 한두 편의 작품에 출연해왔다. 많은 작품 수는 아니지만, 그 작품들마다 보여준 변신의 폭은 컸다. 다양한 캐릭터들을 거쳐 다시 데뷔작과 가장 가까운 <왕세자 실종사건>의 자숙을 맡게 됐다. 그런 의미에서 ‘돌아왔다’라는 표현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김유영의 배우로서 정체성이 ‘벤들라’에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벤들라’와 ‘자숙’ 사이에도 캐릭터상의 큰 차이가 있지만, 김유영의 실제 성격은 때 묻지 않고 순수한 벨들라와는 거리가 있는, 털털한 왈가닥 쪽이다.

한동안 코믹한 역할만 해와서 이제는 진지하게 캐릭터에 좀 더 몰입할 수 있는 작품을 해야겠다고 생각하던 차였는데, <왕세자 실종사건> 팀에서 오디션을 보라는 연락이 왔다. 여행을 다녀오느라 놓친 작품도 있었다. 그런데 여행을 다녀오자 바라던 스타일의 작품에서 오디션 제안이 온 것이다. 그래서 왠지 인연이 있는 작품이란 생각이 들었다.
코로 땅콩을 발사하던 막내동생(<너와 함께라면>)과 얌체 같은 신입 사원 김태희를 연기하다가, 아픈 사연이 많은 자숙을 하려니 여간 걱정이 아니다.<font color="#80adaf"> </font><font color="#0084a0">“연출님이 남자 같다고 하세요. 원래는 여성스런 면도 있고 그랬는데, (코믹한 역할을 주로 하다 보니) 그런 모습을 많이 잃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스프링 어웨이크닝>을 많이 생각하게 됐어요. 맞아, 내게도 저런 모습이 있었는데 그걸 찾으면 되겠구나. 그런데 그때보다 몰입하긴 힘들죠.” </font>벤들라에서 왈가닥 막내동생, 얌체 사원 김태희로 변신이 가능했듯, 이제 다시 아픔을 삭이며 견디는 자숙으로의 변신도 거뜬히 해낼 것이라고 믿는다.


<font color="#0084a0">“자숙은 구동이의 사랑도 받고, 중전의 사랑도 받고, 왕의 사랑도 받지만 (그로 인해) 끝까지 울 수밖에 없는 인물이에요. 난처하지만 자숙이 선택한 것이 아니라 상황이 그렇게 되어버려서 누구도 선택할 수 없는 인물이죠. 자숙이 매력이 있으니까 모두에게 사랑을 받는 것이잖아요. 그걸 찾고 있는 중이에요.” </font>그렇다. <왕세자 실종사건>에서 자숙은 모두에게 사랑을 받는다. 그런데 왜 다들 자숙을 사랑하는지 모르겠다고 의심이 든다면 이 작품은 기본 설정부터 흔들릴 수밖에 없다. 그만큼 자숙의 역할이 중요하다. 아직 자숙의 매력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했지만 구체적으로 설명을 요구하자 이렇게 대답한다. <font color="#0084a0">“자숙이는 어리지만 중전의 슬픈 마음을 안아줄 수 있는 넓은 마음을 가진 친구예요. 어떤 고민을 털어놔도 안아줄 것 같은 마음의 그릇이 큰 아이인 것 같아요.” </font>김유영의 자숙이 만인들의 사랑을 얻어내는 데 성공할까. 그것은 무대에서 확인하기로 하자. 

 

<font color="#000000"></font> 

<font color="#000000">배우의 변신은 의무</font>

<font color="#9ca53b"></font>

<font color="#9ca53b">
</font>
김유영은 지금까지 매번 다양한 캐릭터에 도전해왔다. 하나의 이미지로 고착되기보다는 다양한 연기를 보여주고 싶어 한다. 그래서 한 작품이 끝나면 새로운 도화지를 꺼내고 새로운 그림을 그린다. 하지만 아무리 다양한 인물들이라고 해도 그 모습은 인간 김유영에서 출발한다.<font color="#0084a0"> “어떤 역할을 하든 그 중심에는 제가 있어요. 제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연기해야 한다면 못했을 거예요. 제가 우울한 정서를 더 많이 가지고 있고 유쾌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제 안에 유쾌한 내가 있더라고요. 그 점을 키우고 키워서 하는 것이죠.” </font>그런 면에서 배우는 다른 삶을 통해 자신을 발견해가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배우의 작업을 김유영은 사랑한다.<font color="#0084a0"> “제 속에서 다양한 모습을 끄집어내는 일은 힘들죠. 게다가 평가를 받아야 하잖아요. 하지만 그런 작업이 즐겁고 재밌어요. 저로 인해 감동을 받는 사람이 있다는 게 보람되기도 하고요.”</font>

<font color="#0084a0">
</font>데뷔 3년 차. 출연 작품 수는 많지 않고 아직 신인이랄 수 있는 경력이지만 김유영은 자숙처럼 성숙한 느낌을 준다. 어떤 배우가 되고 싶냐고 식상한 질문을 던지자, ‘오래도록 기억되는 배우’, ‘어떤 역이든 소화해낼 수 있는 배우’라는 모범 답안 대신, ‘여유 있는 배우’라고 답한다. 그 나이에 어울리지 않는 대답이다. <font color="#0084a0">“배우가 쉬지 않고 여러 작품을 출연한다고 배우로서 열심히 한다고 생각지 않아요. 나라는 사람으로 돌아갔을 때 다른 무언가가 생긴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배우에게는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해요. 책도 읽고, 혼자 여행도 떠나고 그런 시간들이 중요하죠. 유명해지는 것보다 여유 있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 </font>

 

 

<font color="#000000">기사는 월간 <더뮤지컬> 통권 제 107호 2012년 8월 게재기사입니다.</font>

 

<font color="#000000">* 본 기사와 사진은 더뮤지컬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지하고 있습</font><font color="#000000">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민, 형사상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font>

 

Writer Avatar

박병성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