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김훈이 신작 장편 소설 『하얼빈』을 출간했다. 김훈은 오랫동안 안중근의 청년 시절로부터의 짧고 강렬한 생애를 소설로 쓰고 싶은 꿈을 품어 왔다. 『하얼빈』은 실존 인물 안중근의 삶을 철저한 상상으로 빚어낸 작품이다. 기존의 책들이 안중근의 일대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주력한 것과 달리, 김훈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이 이토를 저격한 순간과 그 전후의 짧은 나날에 초점을 맞춰 안중근과 이토가 각각 하얼빈으로 향하는 행로를 따라간다. 『하얼빈』은 안중근에게 드리워져 있던 영웅의 그늘을 걷어내고 그의 가장 뜨겁고 혼란스러웠을 시간을 현재에 되살려 놓았다.
지난 8월 3일, 『하얼빈』 기자 간담회가 열렸다. 김훈은 “오랜 기간 동안 틈틈이 안중근의 자료와 기록을 찾아보았고, 이토 히로부미의 생애의 족적을 찾아서 일본의 여러 곳을 들여다보았다”며, “이 소설을 쓰며 여러 서물(書物)들에 의지했다. 이미 연구되고 기록된 사실들의 바탕 위에서 등장인물의 내면을 구성하고 이야기를 엮어내려고 애썼다”고 말했다.
『하얼빈』을 출간한 소감이 궁금하다.
이런 (공식적인) 자리를 만들지 말라고 했는데 쑥스러운 자리를 만들게 되어 식은땀이 난다. 『하얼빈』은 오랜 기간 동안 쓰고 싶었던 소설이다. 청년 안중근의 고뇌, 에너지를 이야기하고 싶었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기 전, 블라디보스톡의 허름한 술집에서 우덕순을 만나 “이토를 죽이러 가자”고 말했다. 서른 살이 넘은 젊은이들이 왜 이토를 죽여야 하는지, 그 대의명분에 관해서는 단 한 마디도 토론하지 않았다. 총알 개수나 자금에 관한 논의도 하지 않았다. 나는 이것이 너무 놀라웠다. 그들의 고뇌는 무거웠지만 처신은 바람처럼 가벼웠다. 얼마나 아름다운 대목인가. 이 소설을 쓸 수 있어서 행복했다.
제목을 『하얼빈』으로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원래 내가 생각한 제목은 ‘하얼빈에서 만나자’였다. 그런데 출판사에서 ‘만나자’를 뺐다. 주제를 과하게 노출시키는 면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제목이 더 완성된 제목이라고 생각한다. 또 하얼빈이 제국주의 세력의 교차점을 상징하는 의미도 있다. 출판사의 결정이 옳았다.
젊은 시절부터 이 작품을 구상했던 것으로 안다. 시간이 오래 걸린 이유가 있나?
우선 밥벌이를 하느라 바쁘게 지냈고 이 일을 감당할 자신이 없었다. 젊은 시절부터 생각한 소설이지만 방치했었다. 올해 초부터 써야겠다고 생각했고 극도로 압축해서 쓸 수밖에 없었다. 이 소설을 쓰게 된 동기는 대학 영문과에서 공부했던 시절, 안중근의 신문조서를 읽고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시절에 이순신의 '난중일기'와 안중근의 '신문조서'를 읽었는데 이 두 권의 책이 내 인생의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책이라는 것이 결국 한 사람의 생을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안중근과 우덕순의 아름다운 만남,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세상에서 혁명을 꿈꿀 때 두 사람의 몸가짐이 이렇게 가벼울 수 있다는 사실, 그들의 삶의 추동력과 열정과 격정이 놀라웠다. 그래서 소설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작가의 말에서 "안중근을 그의 시대 안에 가둬 놓을 수 없다"고 썼다.
나로서는 굉장히 중요한 문장이었다. 안중근이 이토를 자기 시대의 적으로 여기고 그를 쏴 죽였다고 사명을 다했다고 볼 수는 없다. 동양 평화의 명분은 지금도 살아 있다. 그 시대와 지금을 비교하자면 현재가 더 고통스럽다. 초야의 글쟁이가 할 수 있는 말은 아니지만, 경험으로 생각해볼 때 지금이 더 절망적이다. 중국은 강대국이 됐고 북한은 핵으로 무장했고 중국과 북한은 군사 동맹을 만들고 있다. 동양 평화는 그때보다 지금 더 위기에 처해 있기 때문에 그 시대의 문제로만 생각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나온 문장이다.
자료 조사를 많이 했다고 들었다.
일본에 가서 이토 히로부미의 전성기를 취재했다. 그런데 소설에 반영되지는 못했다. 다만, '이토'라는 인간의 분위기를 아는데 도움이 됐다. 안중근을 취재하기 위해 하얼빈은 물론 하바로프스키, 블라디보스토크에 가고 싶었지만, 건강에도 자신이 없었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한 바람에 가지 못했다. 안중근을 연구한 보고서는 한국, 중국, 일본, 북한 등 너무 많은 자료가 있다. 그 책을 다 읽어보진 못했고 중요한 책 몇 권을 읽었다. 안중근의 민족주의, 영웅성이 내 소설에도 들어 있지만 그보다 안중근의 청춘, 영혼, 생명력을 더 담고 싶었다.
소설을 쓰며 가장 힘들게 쓴 대목이 있나?
안중근의 처자식에 관해 쓸 때 가장 힘들었다. 안중근이 이토를 저격하러 가면서 황해도에 있던 처자식들을 하얼빈으로 불렀다. 그들이 하얼빈에 도착한 날짜가 10월 27일인데, 안중근이 이토 암살을 시도한 날이 10월 26일이었다. 하얼빈에 도착하자마자 남편이 무슨 일을 했는지를 알게 됐을 때, 얼마나 괴로웠을까. 이 대목을 쓸 때 괴로웠다. 대사 한 줄로 얼버무릴 수밖에 없었는데 안중근은 훗날 면회 온 동생에게 “내가 처자식에게 몹쓸 짓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너무나 안중근스러운 말이었지만, 김아려 여사는 조선 여성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생애를 산 사람일 것이다.
역사를 반영한 소설을 계속 쓰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역사를 소재로 한 소설을 많이 썼지만, 그것이 역사 소설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내 소설 속 이순신은 역사 속 이순신이 아니다. 『남한산성』, 『하얼빈』 모두 마찬가지다.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지만, 안중근이라는 인간의 청춘, 그 내면에 관해 쓴 소설이다. 그가 얼마나 위대한 영웅인지는 이미 수많은 책과 보고서에 나와 있다. 나는 인간 안중근이 내 옆에 와 있는 것처럼, 그의 이야기를 듣고 그의 고민이 뭔가를 듣는 것처럼, 개인적인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
*김훈 1948년 5월 <경향신문> 편집국장을 지낸 바 있는 언론인 김광주의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돈암초등학교와 휘문중·고를 졸업하고 고려대에 입학하였으나 정외과와 영문과를 중퇴했다. 1973년부터 1989년 말까지 한국일보에서 기자생활을 했고, <시사저널> 사회부장, 편집국장, 심의위원 이사, 국민일보 부국장 및 출판국장, 한국일보 편집위원, 한겨레신문 사회부 부국장급으로 재직하였으며 2004년 이래로 전업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엄지혜
eumji01@naver.com
bongjaebang
2022.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