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희정의 K열 19번] 단성 생식하는 가부장제의 말로 - <멘>
영화는 제목처럼 하퍼의 주변을 맴도는 ‘남자들’에 대한 이야기다. 남편인 제임스는 하퍼에게 광적으로 집착하다 뜻대로 되지 않자 결국 목숨을 버림으로써 하퍼의 영원한 죄책감으로 남으려 한다.
글ㆍ사진 손희정(『손상된 행성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저자)
2022.07.21
작게
크게



손희정의 K열 19번 : 코로나와 OTT의 시대에도 극장에 대한 사랑은 계속된다. 극장에서야 비로소 만날 수 있는 즐거움과 시시함이 있다고 믿는다. 'K열 19번'은 우리가 언젠가 한 번 쯤은 앉아보았을 좌석이다. 극장 개봉 영화를 소개하는 지면에 딱 어울리는 제목 아닌가.


※ <멘>의 줄거리가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습니다.


남편의 죽음 후 하퍼는 런던 집에서 벗어나 조용하고 고즈넉한 시골 마을로 떠나온다. 아름다운 전원주택에서 2주간 머물면서 머리도 식히고 마음도 달래려는 계획이다. 짐을 풀고 동네를 둘러보기 위해 길을 나섰던 하퍼는 산책길에서 벌거벗고 돌아다니는 한 남자와 마주치게 된다. 이후로 그는 계속해서 하퍼를 쫓아다니고, 그와 함께 이상한 일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멘(Men), 그러니까 ‘남자들’ 

영화는 제목처럼 하퍼의 주변을 맴도는 ‘남자들’에 대한 이야기다. 남편인 제임스는 하퍼에게 광적으로 집착하다 뜻대로 되지 않자 결국 목숨을 버림으로써 하퍼의 영원한 죄책감으로 남으려 한다. 

“내가 죽는 건 당신 때문이야.” 

하퍼는 복잡한 마음속에서도 남편이 남긴 저주의 말에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마음의 평안을 찾으러 온 시골 마을은 선악과(善惡果)의 신화가 지배하는 곳이다. 영화의 초반, 전원주택에 들어선 하퍼가 처음으로 하는 행동은 정원에 있는 사과나무에서 열매를 하나 따 맛보는 것이었다. 그걸 본 주택 관리인 제프리는 이후 이렇게 말한다. 

“그건 도둑질이에요. 금단의 열매를 따 먹으면 안 되죠.”

잘 알려져 있다시피 그 신화 속에서 여자는 남자를 유혹해 원죄를 짓게 했다. 그리고 그 죗값으로 임신과 출산의 고통이라는 벌을 받게 된다. 월경은 그 죄를 상기시키는 피 흘림으로 규정되었으므로, 애초에 선악과의 신화는 여성의 신체 자체에 수치심과 죄책감을 새겨 넣은 잔혹한 이야기였다. 

기묘하게도, 혹은 자연스럽게도, 하퍼는 금단의 열매에 대한 경고와 함께 시작된 마을 생활에서 그를 괴롭히는 온갖 남자들을 만나게 된다. 관리인 제프리는 계속해서 하퍼를 '말로 부인'이라고 부르며 남편에 대해 상기시키고, 그를 ‘누군가의 아내’라는 자리로 끌어당긴다. 동네 성당에서 만난 소년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놀아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에게 “멍청한 년”이라고 욕을 하고, 성당의 신부는 남편 죽음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 이런 상황 속에서 벌거벗은 남자는 불쑥불쑥 등장해 하퍼를 위협한다. 그리고 치안 담당자인 경찰은 하퍼를 피해망상에 사로잡힌 여자로 취급한다.

영화는 고전적인 공포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도움이 필요한 여자(a damsel in distress)’의 형상에서 출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와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준비해 놓고 있다. 위기에 빠진 것은 하퍼가 아니라 ‘남자들’이다.



멘(Men), 그러니까 가부장제라는 시스템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우리는 ‘멘’이 단순하게 구체적인 얼굴을 가진 개개인의 남자들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흥미롭게도 제프리를 시작으로 소년, 신부, 경찰, 술집 주인, 술집 손님, 그리고 벌거벗은 남자에 이르기까지, 제임스를 제외한 모든 남성 캐릭터를 한 명의 배우 로리 키니어가 연기했다. 이유는 분명하다. 선악과의 시공간을 떠돌아다니면서, 하퍼에게 악몽과도 같은 시간을 선사했던 ‘남자들’이 실은 하나의 존재였기 때문이다.

‘멘’이라는 총체는 끊임없이 하퍼를 고통의 근원이자 남편을 잡아먹은 ‘구멍’, 멍청한 신경증 환자, 불온한 욕망이 스며드는 ‘찢어진 상처’로 환원시키며 통제하려고 한다. 그러나 하퍼는 끝까지 그들의 룰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처럼 하퍼가 뜻대로 되지 않는 것, 끝내 자신의 의지를 갖는 것 자체가 ‘멘’을 파괴한다. 이때 제임스는 이 총체를 내면화하고 실천하는 한 명의 구체적인 남자다.

‘멘’의 붕괴는 일종의 의만(擬娩, 여성의 출산을 흉내 내는 풍속)으로 이어진다. 시작은 벌거벗은 남자였다. 하퍼를 소유할 수 없다는 걸 깨달은 그의 배가 갑작스럽게 부풀어 오른다. 그리고 가랑이 사이로 여성형 성기가 드러나고 출산이 시작된다. 그의 자궁으로부터 소년이 태어나고, 소년의 배가 불러오자 신부가 태어나고, 신부의 배가 불러오자 제프리가 태어나고, 제프리의 몸에서 제임스가 태어난다. 그렇게 멘의 몸은 완전히 무너져 내린다. 영화는 지금까지 공포 영화가 여성의 자궁을 괴물스러운 공간으로 묘사했던 관습을 비틀면서 남성의 단성 생식의 순간을 그려낸다. 이것이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

남성이 한 가정의 주인으로서 아내와 아이들을 소유하고, 그 위에 군림하는 성적 시스템인 가부장제가 어떻게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자신의 유전자와 이름을 재생산하기 위해서 여성의 몸을 빌려야 하는 남성이 자신의 핏줄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여성 신체를 배타적으로 소유하고,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도를 발전시키게 되었다는 견해는 꽤 설득력이 있다. 바바라 크리드는 크로넨버그의 <브루드>(1979)를 분석하면서, 이런 역사 안에서 남성이 여성의 재생산 능력에 대해 가지고 있는 경외와 질투, 그리고 공포가 고대 사회의 의만 관행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후 공포 영화에서 통제되지 않는 괴물스러운 자궁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라고 설명한다.

결국, 영화 속 ‘멘’은 죄책감과 수치심 같은 감정에서부터 폭력, 결혼 제도나 종교 제도 등을 통해 여성을 지배하려는 가부장제에 대한 은유다. 하퍼 역시 한 명의 여자라기보다는 그런 가부장제를 살아왔던 여성의 역사를 체현한다. 이제 페미니즘의 오랜 싸움 안에서 여성들은 하퍼처럼 “나의 잘못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고, 폭력적인 시스템의 재생산에 동참하기를 거부하기 시작했다.

여성의 변화와 함께 가부장제는 더 이상 유성 생식할 수 없는 위기에 처했다. 그렇게 본다면 <멘>의 클라이맥스는 단성 생식하는 가부장제의 말로를 그로테스크하게 그리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가부장제 이후에 다가올 성적 시스템은 어떤 성격이 될까? <멘>이 열어놓은 기이한 틈새가 ‘모두를 위한’ 상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꽤 재미있을 것이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 예스24 # 손희정의K열19번 #멘 #영화멘
0의 댓글
Writer Avatar

손희정(『손상된 행성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저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미디어 연구X영상문화기획 단체 프로젝트38 멤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 이론을 전공했다. 『손상된 행성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 『페미니즘 리부트』 『성평등』 『다시, 쓰는, 세계』, 『당신이 그린 우주를 보았다』 등을 썼고, 공저에 『21세기 한국영화』 『대한민국 넷페미사史』 『을들의 당나귀 귀』 『원본 없는 판타지』 등, 역서에 『여성 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 『다크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