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우리의 마음이 떠오르는 『열세 살의 여름』 , 좋은 일자리의 방법과 효과를 밝힌 『좋은 일자리의 힘』 , 다시 시를 찾게 만드는 『Littor(릿터)』 를 준비했습니다.
톨콩(김하나)의 선택 - 『열세 살의 여름』
이윤희 글그림 | 창비
이 만화책은 김혜원이라는 열세 살 여자 아이가 주인공입니다. 초등학교 6학년의 여름을 맞았어요. 언제나 여름이 뭔가가 생기는 계절이잖아요. 여름에 있었던 연애사도 있고, 어디로 모험을 떠나서 뭔가를 깨닫거나 느끼고 돌아올 때의 느낌도 있고, 여름이라는 계절이 참 많은 걸 피워 올리는 계절인 것 같은데요. 초등학교 마지막 여름이니까 조금 더 각별한 게 있겠죠?
이 만화책은 색감이 톤 다운되어 있는 느낌이에요. 약간 빛이 바랜 듯한 색감인데, 작품을 끝까지 보다 보면 작가님이 이런 색감을 선택한 이유가 짐작이 돼요. 이야기의 배경이 1998년의 여름이거든요. 현재성이 아니라 지나간 추억과 심상 같은 걸 떠올리는 식인데, 색감에서도 예전의 일이라는 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그리고 어떤 것은 경계선이 있고 어떤 것은 경계선이 없이 그려져 있어서, 약간 실크스크린 같은 느낌이 들어요. 보는 재미가 상당하고 아주 예뻐요.
혜원이의 책상을 보면 헬로키티라든지 옛날 디자인의 스탠드, 하이샤파 연필깎이, 서랍장에 붙어있는 스티커, 카세트 플레이어 같은 게 있어요. 화분 받침대나 전화기 받침대, 인테리어, 연립 주택의 현관 느낌도 그렇고... 이런 것들이 너무 깨알 같아서 진짜 추억 여행하는 느낌이 들어요. 가만히 보고 있으면 ‘아, 이때쯤이구나, 그때의 여름이구나’ 하는 게 몽글몽글하게 느껴지는 거예요. 그걸 보는 것도 참 재밌었어요.
작가님의 후기를 보면, 아이들의 연애에 대해서 좋겠다는 권유를 처음 받았을 때 작가님의 어린 시절을 떠올려보셨다고 해요. 그런데 그때는 연애가 무엇인지 잘 몰랐고, 누군가를 좋아하는 감정이 무엇일지 생각을 해보면서 그때의 기억들을 떠올려 가면서 그리고 쓰셨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마치 우리들의 이야기 같아요. 당시에는 나름대로 계속 생각하고 마음을 졸이거나 궁금해 했던 아주 큰 사건이지만, 어떻게 보면 막 갈등이 벌어지고 해결이 되고 반전이 일어나는 드라마 같은 건 없잖아요. 잔잔하게 이어지는 이야기들인데요. 그래서 이 만화를 보면 자연스럽게 ‘나도 그때 기억이 나네’ 하게 돼요.
이 때의 이 계절, 어린 시절에 아주 선명하게 남는 어떤 것들이 있잖아요. 그리고 많이 바랬기 때문에 뭉뚱그려져서 다가오는 것들도 있고요. 그것을 너무 잘 표현을 해준 것 같아요. 어떤 연령대에 읽든 ‘그래, 이 때의 이 마음들은 참 소중하다’라는 느낌을 전달해주는 것 같습니다.
그냥의 선택 - 『좋은 일자리의 힘』
제이넵 톤 저/최성옥 역 | 행복한북클럽
현재 제이넵 톤 저자는 MIT 슬로안 경영대학원에서 조직 운영과 서비스 운영을 가르치고 있다고 해요. 예전에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7년 동안 교수로 근무했다고 하고요. 이 책에는 저자가 10년 동안 연구한 좋은 일자리와 나쁜 일자리, 그리고 ‘좋은 일자리는 경영에 해가 되는가’ 등에 관한 결과가 담겨 있습니다.
많은 경영자와 기업들이 좋은 일자리를 경영에 부담이 되는 요소처럼 생각하잖아요. 엄청난 지출의 하나이고 흑자를 낮추는 요소라고 여기는데,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좋은 일자리가 소비자도 만족시키고, 주주도 만족시키고, 그럼으로써 회사가 성장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거예요.
그리고 좋은 일자리 제공과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 ‘운영 방법의 변화’라고 강조하는데요. 네 가지 운영 방법을 제시합니다. ‘적게 제공하라’, ‘표준화하고 권한을 부여하라’, ‘교차교육을 실시하라’, ‘여유롭게 인력을 운영하라’는 거예요.
‘교차교육’과 관련해서 이야기를 하면, 우리 사회에도 ‘노동 유연화’라는 말이 있잖아요. 융통성 있게 노동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는 건데, 기업 입장에서는 필요하다고 할 수도 있어요. 마켓을 예로 들면, 손님이 몰리는 시간에는 직원을 많이 배치하고 싶고 한가한 시간에는 적게 배치하고 싶잖아요. 그렇다 보니까 근무 시간이 짧은 파트타이머를 고용하는데, 좋은 일자리와는 거리가 멀죠.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교차교육’을 통해서 이런 상황에 대비한다고 합니다. 마켓이라면, 고객이 갑자기 많이 몰려도 소화할 수 있도록, 정육 코너에 있는 직원이 캐셔 일을 할 줄도 알고 청소부가 채소 포장을 할 수도 있게 하는 거예요. 이거야말로 인력을 유연하게 배치하는 거죠.
책에서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 네 곳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코스트코, 퀵트립, 트레이더 조, 메르카도나예요. 특히 인상적이었던 곳은 메르카도나였는데, 스페인에서 가장 큰 슈퍼마켓 체인이에요.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이 너무 좋았어요. “직원들을 단순히 일손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심장과 머리를 가진 온전한 사람입니다. 그저 메르카도나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니에요. 각자의 삶에서 여러 역할을 맡고 있고 곁에 가족이 있고, 취미도 있죠. 그들은 사회의 구성원입니다”라고 말합니다.
단호박의 선택 - 『Littor(릿터)』
편집부 | 민음사
2019년 8ㆍ9월호 『Littor(릿터)』 를 가지고 왔습니다. 『Littor(릿터)』 는 격월간 문학잡지이고요. 이번 호에는 특별히 톨콩(김하나) 님이 글을 써주셨죠. 『Littor(릿터)』 는 매호 커버스토리 즉 주제를 정하는데요. 이번 주제가 ‘누가 시를 읽는가’였어요. 봄날의책에서 출간한 외서 『누가 시를 읽는가』에서 영감을 받아서 커버스토리 주제를 정했고요. 여러 필자 분들이 어떻게, 왜, 시를 읽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줬어요. 톨콩(김하나) 님도 글을 써주셨고요. 우리 <책읽아웃>의 게스트였던 김겨울 작가님, 요조 작가님, 이슬아 작가님, 정여울 작가님의 글도 실려 있습니다. 『Littor(릿터)』 를 만들고 계신 서효인 시인님도 우리 <책읽아웃>의 게스트였죠(웃음).
『Littor(릿터)』 는 ‘문학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literature’에 ‘-or’를 붙여서 지은 이름이라고 들었어요. ‘문학을 읽고 쓰는 사람들,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잡지’로 알고 있습니다. 민음사에서 만들고 있는데요. 『Littor(릿터)』 전후로 많은 문학잡지들의 시도가 있었잖아요. 『악스트 Axt Art&Text』 , 『문학3』도 있고, 여러 모로 문학잡지가 어려워지는 시점에 쇄신을 하거나 다른 시도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이런 종류의 문학잡지들이,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점점 자신의 스타일이 정해지는 거예요. 『Littor(릿터)』 , 『악스트 Axt Art&Text』 , 『문학3』 모두 자기만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찾아가는 게 되게 재밌어 보여요.
이번 호 『Littor(릿터)』 에 필자 분들이 쓰신 글들을 보면 시를 읽고 싶어져요. 개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시에 대한 표현들이 또 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예를 들자면 김상훈 씨가 쓴 글 중에는 “결국 시가 주는 가장 큰 힘은 그런 순간에 있지 않을까. 몇 마디 말과 글로 인해서 가만히 멈춰버리게 되는 것. 일상의 리듬은 잠시 깨져버리고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어둠이나 사랑, 그리움, 슬픔 같은 감정을 만나게 되는 것”이라는 구절이 있어요. 손문경 씨는 이렇게 이야기해요. “가끔 혼자 읽는 시간에 시를 읽는다. 소리 내서 읽기도 한다. 어떤 시 안에는 오래 머문다. 그런 날은 마음을 반짝이게 하는 용기를 얻게 된다. 내가 알고 있는 그 세계는 여전히 아름답고 그래서 사람에게 위안을 주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게 된다.”
시를 향한 연서들이 가득하고요. 그 문장들이 저로 하여금 다시 시를 찾아보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합니다.
*오디오클립 바로듣기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391/clips/189
임나리
그저 우리 사는 이야기면 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