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0원보다 15,490원이 더 싸게 느껴지는 이유 - 『머니랩』
2010.11.09
| |||||
'삽질'이라는 시행착오는 왜 일어날까? 분명한 건 당신이 열심히 일하지 않아서 생긴 결과는 아니다. '삽질'은 잘못된 판단에서 시작한다. A를 시행하면 B가 나오리라는 착각과 오해와 편견이 삽질의 시작이다. 사람들이 의사 결정을 하는 심리, 돈을 둘러싼 거래와 협상에서 어떤 움직임이 일어나는지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삽질은 일어나지 않는다. 비즈니스맨들이 무엇보다 먼저 알아야 할 '상식'이 있다면, '상식에 속지 말라'는 것이다. 수많은 경제 실험에서 도출된 '상식을 깨는 결과들'이 이를 증명한다.
이 책에는 그러한 경제 실험의 연구 결과가 총망라되어 있다. 돈(money)과 실험실(laboratory)의 합성어인 '머니랩(Money lab)'. 돈이 움직이는 방식을 다룬 경제 실험을 뜻하는 말이다. 사람들은 왜, 무엇을 위해 행동하는가. 사람과 돈을 움직이는 메커니즘은 무엇일까. 이 실험은 사람들의 심리, 행동, 철학 이면에 숨어 있는 동인을 찾아내고, 사업과 거래와 협상을 용이하게 해줄 전략을 제시한다.
간단한 예 몇 가지만 들어보자. 이 책에 따르면, 15,000원보다 15,490원이 더 싸게 느껴지고, 특별 보너스를 지급하면 직원들의 사기가 오히려 떨어지며, 메뉴가 많은 집일수록 손님이 안 몰린다고 한다. 소비자들은 컴퓨터나 기계처럼 정밀하게 상황을 분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식 밖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이 책은 이 외에도 다양한 실험의 결과들, 그것을 현장에 적용시켜 얻은 놀라운 효과들을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
인간이 하는 경제적 행동의 패턴과 이유를 잘 파악하지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1990년대 경제 활황기 동안 앨런 그린스펀은 주가 상승의 원인을 비이성적 과열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금융 붕괴 후 그린스펀은 의회 보고에서 '오랜 경력에도 불구하고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이번 금융 붕괴로 큰 충격을 받았고,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나의 이해에 근본적인 오류가 있었음을 알게 됐다'고 인정했다. 그린스펀의 경우처럼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독자는 드물겠지만, 인간 행동을 추동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된다면, 효과적인 이벤트와 기획, 아이템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은, 마치 경제학자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듯 신선한 방법론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을 통해 당신은 '지금까지 이렇게 해왔으니 앞으로도 그렇게 하겠다'는 타성에 젖은 결론만은 피할 수 있으리라. 작은 변화가 지닌 큰 힘에 주목하고, 나아가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일. 멋지지 않은가.
![]() | |||
| |||
2개의 댓글
추천 기사
추천 상품
필자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요즘 독서 생활 탐구] 푸더바, 마이너한 소재를 메이저하게 소개하기](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11/20251104-111fa4d7.jpg)
![[요즘 독서 생활 탐구] 포엠매거진, 정반대의 속성을 가진 둘이 만나면](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11/20251104-64c0c3f9.jpg)
![[큐레이션] 지식의 최전선에 있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의 책](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4/20250410-7420f26b.jpg)
![[큐레이션] 금리의 역습부터 패닉의 금융위기까지](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2/20250218-6b7ca55e.jpg)
![[취미 발견 프로젝트] 잘 가 2024년, 어서 와 2025년!](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4/11/20241127-077b2057.jpg)
앙ㅋ
2011.12.26
감 동훈
201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