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돈 “결말을 모르고 소설을 쓰는 일”
정지돈 “결말을 모르고 소설을 쓰는 일” 보통 문학의 유머나 농담 하면, 풍자나 해학처럼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잖아요. 그건 농담의 영역을 너무 한정하는 것 아닐까요? 2020.05.28 김윤주
풍자 농담을 싫어하는 사람들 정지돈 작가 고정관념
[인생우화] 세상의 바보들이 한 마을에 모여 살게 되었다
[인생우화] 세상의 바보들이 한 마을에 모여 살게 되었다 우화는 두 천사 이야기로 시작된다. 인간 세상을 내려다보며 지혜로운 자는 줄고 어리석은 자가 나날이 늘어나는 것이 걱정된 신은 두 천사를 불렀다. 2018.07.31 출판사 제공
풍자 인생우화 해움 세상의 바보들
지금 필요한 건 해학과 풍자 – 마당놀이 <놀보가 온다>
지금 필요한 건 해학과 풍자 – 마당놀이 <놀보가 온다> 흥겨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 속 시원한 풍자까지 모두 담았다 2017.01.12 임나리
놀보가 온다 마당놀이 해학 풍자
파격적인 MB정권 풍자… 이러다 잡혀가는거 아냐? -『삽질의 시대』
파격적인 MB정권 풍자… 이러다 잡혀가는거 아냐? -『삽질의 시대』 『꽃』,『노근리이야기』등으로 2010년 오늘의 우리만화상을 수상했던 박건웅 작가가 풍자만화로 돌아왔다. 정치에 문외한이었던 너와 나까지 모두 사회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이 때, 어쩌면 풍자만화는 당연한 선택이었는지도 모른다. 책은 표지부터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2012.04.25 김수연 (어린이 MD)
삽질의 시대 박건웅 풍자만화
그가 없었으면 오르한 파묵도 없다
그가 없었으면 오르한 파묵도 없다 나는 그의 회고록 『이렇게 왔다가 이렇게 갈 수는 없다』(푸른숲, 2009)를 읽는 내내 마음이 몹시 무거웠다. “그의 작품들은 항상 분노하는 동시에 미소를 짓는다”(오르한 파묵)는 평가에서 이 서글픈 회고록은 예외다. 2010.06.01 최성일
파묵 슬픈 풍자작가 아지즈 네신
네 멋대로 읽어봐!
네 멋대로 읽어봐! 교수들로 이루어진 학계를 두루두루(!) 풍자한, 이 두껍고도 정체를 알 수 없는 책 『교수들』 2009.05.25 뚜루
뚜루 교수들 풍자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