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같은 삶을 살다 간 커트 코베인의 사망 25주기다. 사반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우리는 그의 영향 아래 살고 있고 그의 이름을 부른다. 1990년대의 상징이자 저항가들의 영원한 우상, 너바나와 커트 코베인의 업적을 5개의 키워드로 정리했다.
그런지, 새로운 혁명의 시작
새로운 세대의 등장. 1980년대 대중음악은 화려하고 풍요로웠다. 펑크 록의 대를 이은 뉴웨이브는 세련된 전자음으로 몸을 휘감고 낭만적인 사랑 노래를 불렀다. 휘황 찬란 의상과 긴 머리를 휘날리던 헤비메탈 밴드들은 MTV에 출연해 방종한 삶을 노래했다. 음악은 듣는 것에서 보는 것이 되었다. 모두가 행복해 보이던 1980년대, 제도권의 비호 아래 아무 문제없어 보이던 1980년대. 그러나 같은 시기, 미국 북서부 우중충한 시애틀의 언더그라운드에선 희망 없는 'X세대'들이 처절한 음악 혁명을 계획하고 있었다.
커트 코베인과 너바나는 이 '음지의 게릴라'들을 대표하는 존재였다. 성난 분노와 모호한 메시지로 무장한 이들은 그들 스스로를 '거지 같은' 그런지(grunge)로 일컫었다. 불우한 백인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라온 커트 코베인, 크리스 노보셀릭, 데이브 그롤에게 빛나는 당대 대중음악은 거대한 위선이자 약자의 분노를 망각하는, 모순된 시스템이었다.
1991년의
대중적 멜로디, 그는 팝을 원했다
분명 너바나의 음악은 거칠었으나 그 속엔 대번에 귀를 사로잡는 필살 멜로디 라인이 있었다. 실제로 커트 코베인은 블랙 플래그(Black Flag)와 같은 강성 하드 코어 밴드는 물론 픽시스, R.E.M처럼 감미로운 멜로디를 뽑아내던 밴드들을 우상으로 섬겼다. '픽시스를 베끼고 싶다'는 커트의 바람은 공공연한 비밀이었으며 1994년 4월 5일 최후의 날 그의 마지막 앨범은 R.E.M의 1992년작
너바나가 세계를 호령할 수 있었던 주요한 이유는 펑크 록의 간결한 구조를 계승함과 동시에 모두가 목놓아 소리칠 수 있는 뛰어난 멜로디 감각 역시 옮겨온 덕이다. 날 것 그대로의 언더그라운드
커트 코베인은 뛰어난 록 보컬리스트
고통스러운 절규와 무기력한 체념. 커트 코베인의 목소리는 내일 없는 X세대를 대표했다. 단돈 600달러로 만든 데뷔 앨범
커트의 목소리엔 여러 인격이 있다. 'Come as you are'의 나른한 인물이 'Territorial pissing', 'Drain you'처럼 모든 걸 불태워버린다.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Lithium'의 완급 조절은 압도적이다. 거대한 명성에 지쳐버린
약자의 편에 선 커트 코베인
커트 코베인은 불안했다. 섬세한 감성을 지니고 태어난 그에게 유년기의 가난과 부모의 이혼은 평생을 따라다닌 우울의 멍에를 씌웠다. 비단 커트뿐이 아니라 크리스 노보셀릭과 데이브 그롤, 시애틀의 언더그라운드 록 그룹들의 형편이 그러했다. 그러나 그는 '내일 없는 세대'의 불안을 약자 혐오로 풀어내는 우를 범하지 않았다. 커트 코베인은 언제나 사회 소수자의 편이었고 이방인과의 연대를 꿈꿨다.
2019년의 시선으로 본 커트 코베인은 놀랍도록 선진적인 인물이다. 로커, 그것도 언더그라운드 펑크 록 밴드의 리더가 'In bloom' 뮤직비디오에서 당당히 드레스를 입고 등장했다. 'Been a son'과 'Sappy'의 가사는 젠더 전복의 쾌감을 일깨우며, 'Polly'의 무기력한 강간 피해자는 'Rape me'에서 악을 품고 온몸을 바쳐 끔찍한 범죄를 고발한다.
1990년대 남성 주도의 음악 시장에 반기를 들고 거친 록을 연주한 라이엇 걸(Riot Girrl) 운동은 커트 코베인에게 큰 빚을 졌고 실제로 커트 코베인은 이들 아티스트들과 활발하게 교류했다. 마블 코믹스의 여성 히어로를 영화로 옮긴 <캡틴 마블>이 너바나의 'Come as you are'을 극 중 삽입하며 커트에게 존경심을 표하기도 했다. 커트 코베인의 사상은 1992년 <스핀>과의 인터뷰로 집약된다.
'성차별주의자, 인종차별주의자, 동성애 혐오자들은 너바나 공연장에 오지 마라.'
언더그라운드의 신화
너바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위선과 거짓에 지쳐 희망을 포기한 젊은 세대가 정확히 원하던 밴드였다. 공고한 상부 구조에 반기를 든 청춘 세대는 너바나와 커트 코베인을 그들의 메시아로 삼았고 이들은 살아있는 전설이 됐다. 그러나 안티 록스타였던 커트 코베인에게 부와 명예는 그를 옥죄는 멍에요 굴레였다. 주류가 된 언더그라운드의 상징이 되는 것을 원치 않았고 그 어마어마한 권력에 괴로워했다.
1994년 4월 5일, 27살의 커트 코베인은 재활원을 탈출한 후 저택에서 엽총을 입에 물고 방아쇠를 당겼다. 신세대와 젊음, 저항과 언더그라운드의 정점에서 산화한 그는 결코 원하지 않던 록의 아이콘, 대중문화의 신화로 영생을 누리게 됐다. 강력한 대안을 제시하며 기성의 가치를 전복한 커트 코베인은 그럼에도 대표를 거부했으며 너바나가 거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1971년 싱어송라이터 돈 매클린은 히트곡 'American pie'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버디 홀리와 리치 발렌스, 빅 보퍼의 1959년 2월 3일을 '음악이 죽은 날(The day the music died)'로 선언했다. 돌이켜보면 1994년 4월 5일 커트 코베인의 죽음은 곧 '로큰롤이 죽은 날'이었다. 당시는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2019년 현재 록은 저항 정신을 잃었고 주류에서 완전히 밀려나버렸다. 사반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커트 코베인과 너바나의 신화는 공고하다.
커트 코베인의 사망 25기를 맞아 그의 커리어에서 핵심적인 11곡을 선정했다. '록 역사의 마지막 성화봉송'을 일군 너바나의 역사적 의의, 그 속에서 연약한 개인으로 존재하며 괴로워했던 커트 코베인의 삶을 이해하며 오늘만큼은 거친 펑크 록을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해보자.
About a girl (1989)
압도적인 춤을 선보인 폴라 압둘과 자넷 잭슨의 댄스 팝, 또래 청소년들의 감성을 노래한 데비 깁슨과 티파니의 아이돌 음악, 허세와 잘난 체로 록의 본질을 망각한 팝메탈이 대중음악을 지배하던 1989년, 초라하게 공개된 너바나의 데뷔 앨범
튜닝도 정확하지 않은 엉성한 커트 코베인의 기타, 아마추어리즘을 확인시켜주는 초대 드러머 채드 채닝의 순박한 드럼, 마구잡이로 섞인 엉망진창의 믹싱까지 'About a girl'은 정교함, 세련됨을 애써 외면하고 거부하나 그 안에는 분노, 허탈, 에너지라는 록의 핵심이 정좌한다. 이 곡을 만들기 전에 비틀즈의 앨범
Smells like teen spirit (1991)
자주 인용해 상투적이긴 해도 본고장 평론가 앤서니 드커티스의 수사 이상은 없을 것 같다. "정치를 언급하지 않는 정치적인 노래, 가사를 이해할 수 없는 찬가, 상업주의를 비판한 거대한 상업적 히트곡, 개인 소외에 대한 집합적 아우성. 이건 새 시대와 새 불만족 청춘 세대를 위한 '(I can't get no) satisfaction'이다!" 만족할 능력 없음에 대한 만족스러운 선언? 그야말로 전형적 록의 저항 어법, '자이언트 퍽유' 아닌가. 그 충돌과 그에 따른 균열로 커트 코베인의 죽음은 어쩌면 필연이었다.
마치 뉴 키즈 온 더 블록이 펑크(punk)하는 듯한 매끄러운 와일드 사운드는 예술성을 구축하는 동시에 미국 최초의 펑크 록 히트라는 대중성도 부여했다. 축축한 1980년대를 보내고 마침내 1990년대는 '뉴 록', 그런지 얼터너티브 록으로 견인되었다. 메탈은 사실상 종언을 고했고 단숨에 기존 질서와 가치는 전복되었다. 언더와 인디로 표현된 강한 '아래'가 고개를 쳐들어 여전히 억압적인 '위'를 맹렬히 손가락질하기 시작했다. 이 무렵만큼은 통쾌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그건 록 역사의 마지막 성화봉송이었다. (임진모)
In bloom(1991)
'Smells like teen spirit'으로 거대한 분노를 표출한 커트 코베인은 다음 트랙 'In bloom'으로 조소의 대상을 구체화한다. 인트로 없이 곧바로 성난 기타 폭음으로 출발하는 곡은 간결한 베이스와 드럼 리프 위에서 '개화'를 읊조리다 거친 퍼즈 톤의 후렴부를 통해 '노래 부르기 좋아하고 / 총 쏘는 걸 좋아하지만 / 내가 말하는 게 무슨 뜻인지 모르는' 이들을 비판한다. 훗날 커트 코베인은 이 곡을 백인 노동자 계급과 폭력적인 문화에 길들여진 남성들을 비판하는 곡이라 설명했다.
이들은 '음식을 구하려 아이들을 팔아' 계절의 변화를 만끽하며 '자연을 창녀'로 여기는 탐욕의 화신이다. 그러면서도 '총을 쏘는 것'을 즐기며 폭력성을 과시하지만 자기가 어떤 노래를 부르고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다. 1980년대 상업화된 헤비메탈과 1990년대 거친 갱스터 랩에 불편함을 피력했던 커트 코베인의 사상이 그대로 묻어나는 곡이다. 그는 본능적으로 허세와 혐오를 꺼린 인물이었다. (김도헌)
Come as you are (1991)
폭발의 미학을 설파한 'Smells like teen spirit'과 커트 코베인의 선율적 감각이 돋보이는 'Come as you are'은 너바나의 유일한 빌보드 탑 40 히트곡들로 그중 'Come as you are'은 거칠게 내달리는 것만이 아니라 많은 이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펑크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노래의 잠재력은 그도 잘 알고 있었으나, 문제는 더 댐드의 'Life goes on'과 킬링 조크의 'Eighties'의 기타 리프와 유사해 표절 사건이 일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논란에서 그쳤고 그는 싱글 발매를 밀어붙여 차트 32위에 올리며 숨겨진 매력을 증명했다. 얼터너티브 록 밴드에서 나온 대중적인 얼터너티브 펑크다.
커트 코베인이 떠난 지 25주기가 된 지금 다시 이 곡을 추억하는 이유가 멋진 멜로디 때문만이 아니다. 그는 음악 속 화자가 꼭 실제 자신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지만, '너의 모습 그대로 와' '친구로' '난 총이 없어' 등 죽음 예견한 듯한 모호한 가사는 그의 총격 자살에 남은 타살 의혹을 더욱 지워질 수 없게 만든다. (임동엽)
Lithium (1991)
리튬(Lithium)은 정신과 의사들이 처방하는 양극성 장애, 즉 조울증 치료제다. 커트 코베인이 실제로 양극성 장애를 앓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Lithium'을 통해 그의 삶을 일정 부분 들여다볼 수는 있다."이 노래는 여자 친구가 죽고 난 뒤 종교로 귀의해 삶의 안식을 찾은 한 남자에 대한 이야기다. 내 친구와 그의 기독교인 부모님에게서 영감을 받았다."커트 코베인은 여자 친구와의 이별 따위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Lithium'에 녹이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는 노래의 내용이 픽션이라고 했으나, 그의 절규는 진실하다. 무미건조한 목소리로 신을 찾았다며 마지막 남은 안식처를 구하는 듯한 처절한 후렴은 사실 약을 통해 찰나의 구원을 꿈꾸던 커트 코베인의 진심일지도 모른다. (정연경)
Polly (1991)
잔잔하게 내뱉은 언어들이 때로는 분노의 대리인이 된다.
Heart-shaped box (1993)
커트 코베인은 세상과 불화하기 위해 태어난 사람 같았다. 아리송한 은유가 가득한 와중에도 불만 가득한 후렴만큼은 또렷하게 들린다. “이봐! 기다려! 새 불만이 있어!(Hey! Wait! I've got a new complaint!)” 기묘하게 꿈틀거리던 지저분한 기타도 이 대목에 이르러 야수처럼 포효한다. 시애틀 그런지 문법을 따르는 것 같으면서도 너바나만의 울퉁불퉁한 '날'이 확실히 살아있다. 서정적이면서 기괴하고, 폭발적이면서 아름다운 이 곡은 아슬아슬한 커트 코베인의 머릿속을 그대로 옮겨 그려냈다. 도무지 뜻을 짐작하기 어려운 뮤직비디오도 비슷하다. 죽음과 탄생, 신성과 불결의 이미지가 뒤섞이는 그로테스크한 뮤직비디오는 1994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최우수 얼터너티브 비디오와 최우수 아트 디렉션 부문을 수상했다. MTV를 그 무엇보다 싫어했던 커트 코베인이 세상을 뜬 지 다섯 달 뒤였다. (조해람)
Rape me (1993)
직설의 역설이요, 권선징악의 메타포다. 'Rape me'의 화자는 자기를 강간하는 이를 향해 오히려 마음껏 유린하라는 식으로 거침없이 말한다. 그저 무력하게 당하는 것이 아니라 '오냐, 할 테면 어디 해 봐라. 내가 반드시 살아남아서 언젠가 제대로 복수해 주겠다.'는 독한 마음을 품고 범인을 응시하는 상황이 연상된다. 커트 코베인은 노래를 통해 성범죄 문제를 환기하고 그 희생자들을 향한 지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후렴 가사 "I'm not the only one."은 수많은 성범죄 피해자들의 연대를 청원하는 구호나 다름없다.
한편 'Rape me'는 미디어에 대한 반감 표출로 해석되기도 한다. 1991년 'Smells like teen spirit'이 미국을 비롯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히트함에 따라 커트 코베인은 하루아침에 젊은이들의 우상 같은 존재가 됐다. 이 때문에 방송과 신문, 잡지에서의 언급도 갑자기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커트 코베인은 매체의 과한 관심, 사생활까지 캐려는 것에 진저리를 쳤다. 따라서 'Rape me'가 'Smells like teen spirit'과 유사한 기타 리프를 지닌 것은 그 싫증을 음악적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라고 보는 이도 있다. (한동윤)
All apologies (1993)
굵지 않은 디스코그래피 속 마지막 정규 음반의 끝 곡이다. 'All apologies'란 다분히 함축적인 제목에 첼로로 덧대 만든 아름다운 선율은 커트 코베인 사후 많은 팬에 의해 확대 해석됐다. 본 의미가 어떻든 간에 생전 그는 이 곡을 아내인 코트니 러브에게 헌정했다. '그녀의 적이 남긴 재에 숨 막혀하겠지', '결혼하고, 매장되겠지' 거칠게 포효하고 '사과할 뿐이다', '우리 속의 우리는 우리일 뿐이다' 읊조리는 보컬에는 그 어떤 성장 동력도 느껴지지 않는다.
본연의 록 정체성으로 회귀한 3집
The man who sold the world (1994)
너바나가 MTV 언플러그드에서 선보인 이 곡과 라이브는 특이하다. 1970년 동명의 앨범을 발매한 글램 록의 수장 데이비드 보위가 원작자고, 커트 코베인의 기타 소리는 전기 없이 피아노 같은 어쿠스틱 악기로 스테이지를 꾸리는 콘셉트에 맞지 않게 전기 기타 톤이다. 'The man who sold the world'는 'Come as you are'처럼 단선율식 인트로를 위시한 그의 작법이 어디서 왔는지, 죽음과 자아를 담은 가사는 심신이 지친 상태로 공연장에 나타난 그의 상태가 쉬이 볼 수준이 아니었음을 간접적으로 말해준다. 동시에 그의 플러그드 무대는 세트리스트까지 히트곡으로 채우길 원했던 주류 시장에 대한 반발이자 펑크 정신을 행동으로 보여준 증거다.
'The man who sold the world'가 다른 사람 거였어?'라고 생각하며 실망한 사람도 있겠지만, 원작을 뛰어넘는 표현력으로 곡에 새 생명을 부여한 커트 코베인에게 느낀 자부심까지 거둘 필요는 없다. 그도 또래와 같이 하드록과 팝 등 다양한 음악을 사랑했던 사람일 뿐이다. 아쉬울 것 없다. 그의 멋진 음악은 다른 노래들도 많으니까. (임동엽)
Where did you sleep last night (1994)
쓸쓸하고 불안정한 어쿠스틱 반주 위 너바나의 레퀴엠이 막을 올린다. 1870년대 미국 민요 '소나무 사이서(In the pines)'를 노래한 블루스 가수 리드벨리(Leadbelly)의 고전은 커트 코베인 사후 발매된
모든 것에 환멸을 느끼던 1993년의 커트 코베인은 금방이라도 삶을 포기할 것 같은 불안을 가림막 없이 표출해낸다. 위태로운 무대 위 촛불처럼 그의 목소리는 가늘게 떨리며 깊은 회한으로 갈라져있다. 이내 모든 것을 쏟아내는 최후의 1분은 노래라기보다 한 인간의 고통스러운 절규, 끝을 앞둔 존재의 무기력한 몸부림에 가깝다. 그리고 그 절정의 순간에서, 커트 코베인은 처음으로 형형히 눈을 뜨고 깊은 한숨을 내뱉는다. 마치 자신을 짓눌렀던 모든 것들에게 작별 인사를 고하듯. 곧 그는 열반(Nirvana)에 들었다. (김도헌)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