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겨운 일상에 대한 작은 위로 <힐링캠프 - 신경숙 편>
<힐링캠프>에 신경숙이라는 작가가 나왔다. 방송에 좀처럼 얼굴이 비치지 않고 대중에게 말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 작가라 어떤 이야기를 풀어낼지 궁금했다. 분명히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그 책이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책을 쓸 건지에 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방송은 역시 책 이야기가 주를 이뤘지만 그녀가 풀어놓는 이야기는 시청자의 생각과는 달랐다.
2013.11.19
작게
크게
공유
방송은 권력이다. 하루아침에 일반인을 유명 스타로 만들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는 것이 방송이다. 채널이 다양해졌다고 해서 시청자가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양해진 것은 아니다. 더 이상 서민을 울고 웃기며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는 친구 같은 방송을 찾기 힘들어졌다. 어느 한 프로가 인기 있으면 그것을 베낀 프로그램을 타채널에서 만들고 원조국밥집도 아니면서 서로 경쟁하다가 싸우기까지 한다. 시청률에 따른 광고 수입으로 먹고 사는 방송에서 경쟁은 불가피하다지만 과연 그런 경쟁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이다.
점점 야해지고 독해지고 세지는 프로그램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시청자의 눈을 뺏기지 않으려고 혈안이 돼 있는 것이 아니라 탁 트인 공간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힐링캠프>라고 생각한다. 지난주에 방송된 신경숙 편은 모처럼 가슴 따뜻해지는 예능이었다.
사실 토크쇼처럼 뻔한 프로그램이 없다. 매회마다 포맷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고 좇고 좇기는 긴장감을 주지도 않는다. 그저 게스트가 나와서 진행자와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하지만 이야기라는 것은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이다. 우리는 매일 이야기를 하면서 살지만 좀처럼 지겨워지지 않는다. 끊임없이 새로운 이야기를 욕망하고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그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하면서 살아간다. 이야기는 삶의 다른 표현인 것이다. 때문에 토크쇼는 절대 사라지지 않을 방송 포맷이지만, 이마저도 경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착한 토크쇼를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힐링캠프>에 신경숙이라는 작가가 나왔다. 방송에 좀처럼 얼굴이 비치지 않고 대중에게 말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 작가라 어떤 이야기를 풀어낼지 궁금했다. 분명히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그 책이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책을 쓸 건지에 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방송은 역시 책 이야기가 주를 이뤘지만 그녀가 풀어놓는 이야기는 시청자의 생각과는 달랐다.
일단 우리나라 최고의 작가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그녀는 여공 출신이었다. 가난했다.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학교를 겨우 다니면서 작가가 됐고 책을 썼다. 맨 처음 자신의 책이 나왔을 때는 맨발로 뛰어가 그 책을 맞았다. 자식들 뒷바라지에 일생을 바친 어머니의 피곤에 찌든 얼굴을 보면서 언젠가는 엄마를 위한 책을 쓰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것이 『엄마를 부탁해』 의 씨앗이 된 것이다.
이런 이야기들을 신경숙은 담담하게 풀어 놓았다. 이야기꾼의 말처럼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하나하나 소박하고 담백하게 풀어 놓는 그녀의 말은 소설을 닮아 있었다. 잔잔한 이야기 속에 울림이 있었고 그 울림이 지금의 그녀를 이해하게 만들었다. 200만 부의 판매 부수를 올린 그녀가 더 이상 배 아프게 느껴지지 않았다. 그것을 이루기까지 그녀가 감내해야 했던 것들이 너무 많았던 것이다. 하루아침에 벼락스타가 되는 요즘의 세태와는 너무 다른 모습이었다.
누군가 좋은 글이 무엇인지 한마디로 정의내리라고 한다면 ‘살고 싶게 만드는 글’이라고 말하고 싶다. 방송도 마찬가지다. 어떤 장르의 프로그램이든 또 어떤 방식이든 살고 싶게 만드는 프로그램이 있다. 비루한 삶에 대한 위로를 통해서 그래도 다시 살고 싶어지게 만드는 의지를 북돋아 주는 것이다. 신경숙의 말들이 그랬다.
진행자는 때로 프로그램 속에서는 시청자가 되어야 한다. 성유리는 오빠만 편애하는 엄마가 어렸을 때는 미웠지만 『엄마를 부탁해』 를 읽고 이해를 할 수 있었단다. 엄마에게 첫 아이는 새로운 세상이었다. 그 아이를 통해서 모든 것이 처음이었고 이전과는 다른 세상을 볼 수 있었다. 그랬기에 감히 편애라는 말로 비난할 수 없는 독보적인 관계가 된 것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금기에 도전한다. 방송에서 이런 말을 이렇게 꺼내도 되나 싶을 정도로 수위 높은 발언을 하는 연예인들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도 한다. 허나 항상 강도 높은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때로는 짜고 맵고 맛있는 것 보다는 싱거운 위로가 필요할 때가 있다. 시청자가 많이 본다는 지표가 시청률이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시청률의 논리에 밀려 폐지되거나 변심하지 말고 지금처럼 <힐링캠프>가 시청자들을 위로해줄 수 있는 착한 예능프로그램으로 남길 바란다.
[관련 기사]
-이소연 윤한 가세 <우리 결혼했어요>, 인기 회복할까
-먹방 권하는 사회 <맨발의 친구들 - 집밥 먹기 프로젝트>
-<화신>을 통해 본 토크쇼의 한계와 기대
-프레임 안으로 들어온 아버지
-여행 리얼 버라이어티의 정석 - tvN <꽃보다 할배>
점점 야해지고 독해지고 세지는 프로그램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시청자의 눈을 뺏기지 않으려고 혈안이 돼 있는 것이 아니라 탁 트인 공간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힐링캠프>라고 생각한다. 지난주에 방송된 신경숙 편은 모처럼 가슴 따뜻해지는 예능이었다.
사실 토크쇼처럼 뻔한 프로그램이 없다. 매회마다 포맷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고 좇고 좇기는 긴장감을 주지도 않는다. 그저 게스트가 나와서 진행자와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하지만 이야기라는 것은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이다. 우리는 매일 이야기를 하면서 살지만 좀처럼 지겨워지지 않는다. 끊임없이 새로운 이야기를 욕망하고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그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하면서 살아간다. 이야기는 삶의 다른 표현인 것이다. 때문에 토크쇼는 절대 사라지지 않을 방송 포맷이지만, 이마저도 경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착한 토크쇼를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힐링캠프>에 신경숙이라는 작가가 나왔다. 방송에 좀처럼 얼굴이 비치지 않고 대중에게 말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 작가라 어떤 이야기를 풀어낼지 궁금했다. 분명히 책에 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그 책이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책을 쓸 건지에 관한 이야기를 할 것이다. 방송은 역시 책 이야기가 주를 이뤘지만 그녀가 풀어놓는 이야기는 시청자의 생각과는 달랐다.
일단 우리나라 최고의 작가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그녀는 여공 출신이었다. 가난했다.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학교를 겨우 다니면서 작가가 됐고 책을 썼다. 맨 처음 자신의 책이 나왔을 때는 맨발로 뛰어가 그 책을 맞았다. 자식들 뒷바라지에 일생을 바친 어머니의 피곤에 찌든 얼굴을 보면서 언젠가는 엄마를 위한 책을 쓰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것이 『엄마를 부탁해』 의 씨앗이 된 것이다.
이런 이야기들을 신경숙은 담담하게 풀어 놓았다. 이야기꾼의 말처럼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하나하나 소박하고 담백하게 풀어 놓는 그녀의 말은 소설을 닮아 있었다. 잔잔한 이야기 속에 울림이 있었고 그 울림이 지금의 그녀를 이해하게 만들었다. 200만 부의 판매 부수를 올린 그녀가 더 이상 배 아프게 느껴지지 않았다. 그것을 이루기까지 그녀가 감내해야 했던 것들이 너무 많았던 것이다. 하루아침에 벼락스타가 되는 요즘의 세태와는 너무 다른 모습이었다.
누군가 좋은 글이 무엇인지 한마디로 정의내리라고 한다면 ‘살고 싶게 만드는 글’이라고 말하고 싶다. 방송도 마찬가지다. 어떤 장르의 프로그램이든 또 어떤 방식이든 살고 싶게 만드는 프로그램이 있다. 비루한 삶에 대한 위로를 통해서 그래도 다시 살고 싶어지게 만드는 의지를 북돋아 주는 것이다. 신경숙의 말들이 그랬다.
진행자는 때로 프로그램 속에서는 시청자가 되어야 한다. 성유리는 오빠만 편애하는 엄마가 어렸을 때는 미웠지만 『엄마를 부탁해』 를 읽고 이해를 할 수 있었단다. 엄마에게 첫 아이는 새로운 세상이었다. 그 아이를 통해서 모든 것이 처음이었고 이전과는 다른 세상을 볼 수 있었다. 그랬기에 감히 편애라는 말로 비난할 수 없는 독보적인 관계가 된 것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금기에 도전한다. 방송에서 이런 말을 이렇게 꺼내도 되나 싶을 정도로 수위 높은 발언을 하는 연예인들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도 한다. 허나 항상 강도 높은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때로는 짜고 맵고 맛있는 것 보다는 싱거운 위로가 필요할 때가 있다. 시청자가 많이 본다는 지표가 시청률이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시청률의 논리에 밀려 폐지되거나 변심하지 말고 지금처럼 <힐링캠프>가 시청자들을 위로해줄 수 있는 착한 예능프로그램으로 남길 바란다.
[관련 기사]
-이소연 윤한 가세 <우리 결혼했어요>, 인기 회복할까
-먹방 권하는 사회 <맨발의 친구들 - 집밥 먹기 프로젝트>
-<화신>을 통해 본 토크쇼의 한계와 기대
-프레임 안으로 들어온 아버지
-여행 리얼 버라이어티의 정석 - tvN <꽃보다 할배>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1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최창순
이제 막 세상에 발을 내딛은 신입기자. 한 후배는 한 번도 먹어 보지 않은 젤리 같은 사람이라고 평했다. 공연과 영화, 전시회를 보고 누리꾼들과 소통하는 지식소매상. 내가 쓴 글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 대신 그래도 세상은 움직이고 있다는 희망의 증거가 되길 바란다.
kokoko111
201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