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엔 `질문하는 연극`을 보자 [No.68]
글ㆍ사진 김주연(월간 객석 기자)
2009.05.20
작게
크게

 그는 왜 코펜하겐을 찾아간 것일까
<font color="#d40a00"><코펜하겐>(5월 19일~6월 7일,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font>

 

전쟁의 포화가 온 유럽을 뒤덮고 독일 나치군과 연합군의 핵무기 개발 경쟁이 정점에 이르렀던 1941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스승 보어가 살고 있는 코펜하겐을 방문한다. 대체 그는 왜 그 시점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코펜하겐을 찾아간 것일까.

연극 <코펜하겐>은 지난 50년간 과학사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였던 이 의문의 사건을 집요하게 파고들면서 그 의미를 추적해나가는 작품이다.
1941년의 그 짧은 만남을 반복해 보여주는 과정에서 하이젠베르크와 보어의 생각과 입장,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세간의 시선들이 새롭게 제시되지만, 작품은 그가 왜 코펜하겐을 찾아갔는지에 대한 명쾌한 답을 내려주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이 문제를 깊이 파고들수록 하이젠베르크의 동기와 행동에는 확실한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난다. 하이젠베르크를 유명하게 만든 ‘불확실성의 법칙’이 원자의 세계뿐 아니라 우리 삶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을 이 작품은 스스로를 통해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 작품의 또 다른 매력은 하이젠베르크와 보어의 대화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이 결국 또 다른 질문들을 다시 만들어낸다는 데 있다.

 

과학자의 윤리적 책임에 대한 질문, 승자와 패자의 입장 차이에서 보여지는 편견의 문제, 한 대상에 관한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 등….
원자핵 분열, 상보성원리, 불확실성의 원리 등 현대물리학의 주요 개념들이 다채롭게 제시되는 가운데, 이 모든 원리들이 과학뿐 아니라 우리의 삶 전체를 이루고 있다는 깨달음은 연극적 감동과는 또 다른 신선한 감흥으로 다가온다.

 

 

환상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가 
<font color="#d40a00"><템페스트>(5월 20일~6월 6일, 예술의전당 토월극장)</font>

<font color="#d40a00"></font> 

<font color="#d40a00"><font color="#666666">셰익스피어 하면 일단 <햄릿>, <리어왕>, <오셀로> 등 인간의 비극적 운명을 장엄하게 그려낸 작품들이 떠오르고, 세상을 바라보는 그 깊고 또렷한 혜안과 드라마틱한 이야기 전개에 새삼 무릎을 치게 된다. 그런데 그의 마지막 걸작 <템페스트>를 읽고 나서는 어딘지 모르게 석연치 않은 기분이 들었다. 여기에도 어김없이 욕망과 음모, 배신 등 추악한 현실이 등장하지만, 프로스페로는 환상과 마법을 통해 이 모든 악을 조건 없이 용서하면서 화해와 축제의 분위기 속에 막을 내린다.
</font></font>

<font color="#d40a00"></font>


물론 이 작품은 희극이다. 또한 마지막 작품인 만큼 삶의 황혼녘에 선 노작가가 너그럽게 세상을 포용하고자 하는 의지로 읽을 수도 있다. 하지만 환상 속에서 이루어진 비현실적이고 일방적인 용서라는 점에서 그 화해의 과정이 충분히 납득되지는 않는다. 그토록 인간과 세상의 어두운 본성을 잘 알고 있던 그가 왜 이런 방식으로 급하게 세상을 긍정하고자 했던 것일까.

 

이번에 토월정통연극시리즈 <템페스트>의 극본을 쓴 작가 배삼식은 “아마도 인간과 세상에 대한 작가의 너무나 깊은 절망감이 오히려 이런 이야기를 만들어내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에서부터 작품을 풀어나간다. 즉 현실의 무게가 오죽 버겁고 힘들었으면 이런 꿈 같은 이야기를 지어내야 했겠느냐는 것이다.
현실과 환상의 문제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은 현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번 작품 <템페스트>에서 한층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번 무대에서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는 갈 곳 없는 요양원 노인들의 극중극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원작을 무대 위에 충실히 가져오면서도 작가는 액자 밖 현실을 통해 환상이 우리 삶에 미칠 수 있는 힘과 그 한계를 이야기한다. 

 

환상은 과연 참담한 현실을 바꿀 수 있는가. 아니, 바꿀 수 없음을 알면서도 우리가 마지막까지 그 꿈을 놓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템페스트>는 단순한 고전의 재현을 넘어서 이 작품이 현실과 맺는 관계, 나아가 고전이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손진책 연출과 배삼식 작가, 그리고 극단 미추란 신뢰의 이름들이 있기에 막이 오르기 전부터 기대를 품게 하는 작품.

 

 

Writer Avatar

김주연(월간 객석 기자)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