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정연 "뒤엉킨 관계를 풀려면, 꼭 알아야 할 기술"
득과 실을 따지기보다는 내가 관계 유지를 위해 어느 정도 노력하고 싶은지에 의미를 두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글ㆍ사진 출판사 제공
2019.03.19
작게
크게

손정연 저자 사진2.jpg

 

아이가 태어나면 월하노인이 보이지 않는 붉은 실을 새끼손가락에 묶어준다고 한다. 그 아이의 운명의 상대에게도. 운명의 붉은 실이 이어져 있어서 둘은 반드시 인연으로 맺어지게 된다는 이야기. 어디에선가 한 번쯤 들어봤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꼭 운명이라 일컬어지는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닌 듯하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듯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우리는 수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함께 살아가기 때문이다.


혼자인 듯 살아가지만 결코 혼자가 될 수 없는 인간의 운명, 과연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일까? 인간관계를 어떻게 맺어야 잘 맺었다고 할 수 있을까? 관계 형성과 유지,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갈등을 각자 가지고 태어난 ‘관계의 끈’에 빗대어 설명하며 주변 사람들과  잘 지내는 법을 알려주는 책 뒤엉킨 관계의 끈을 푸는 기술』 의 저자 손정연과 나눈 대화를 전한다.

 

이 책은 가족, 친구, 연인, 동료, 어쩌다 가끔 보는 지인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간관계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사례의 주인공을 전부 K로 통일하셨던 것으로 아는데요. 물론 나중에 수정하기는 했지만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힘든 일을 경험하면 많은 사람들은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생기지?’라는 비관적 생각으로 자기 자신을 해칠 때가 있어요. 하지만 내가 겪은 고통을 누군가와 이야기해보면 그 주제가 그리 특별한 경험이 아니라는 사실을 금세 깨닫게 되죠.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아주 보편적인 것들인 경우가 많거든요. ‘나’만 당하는 일일 때는 회의를 느끼고 화가 날 텐데 ‘모두’가 당할 수도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받아들이는 것이 조금은 수월해기도 하죠. 그래서 저는 특별한 이니셜의 그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야기라는 점을 말하고 싶었어요. 
   
실제 상담 과정에서도 인간관계에서 겪는 문제로 괴로움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죠?


상담실을 찾는 내담자들의 주된 호소 문제는 진로, 부부, 자녀 양육, 병적인 행동 습관 등 그야말로 각양각색입니다. 하지만 그들이 느끼는 분노, 슬픔, 증오, 두려움 등 견디기 힘든 감정의 소용돌이가 시작되는 지점 끝에는 반드시 어떤 대상, 즉 사람이 있어요. 주로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처럼 꽤 가까운 거리의 사람이 그 주인공이죠. 관계에서 받은 상처와 받지 못한 격려가 지금 현재 내 앞에 놓인 사건 속에 뒤엉켜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손정연 저자 사진1.jpg

 

 

타인과 거리를 두는 편이 좋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타인보다는 나를, 내 마음을 먼저 살피는 게 현명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매우 동감합니다. 세상의 중심은 당연히 ‘나’여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는 타인보다는 자기존중감을 키워야 한다고 곧잘 이야기하잖아요. 그런데 여기에서 말하는 자기존중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타인에게 수용되는 ‘경험’입니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받는 호감, 인정, 칭찬과 같은 정서적 경험이 개인의 존재 가치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더라는 것이죠.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내 마음을 살피고 챙기는 데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멀어지고 틀어진 관계를 회복하기를 바란다면 연민의 공감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관계 속에서 작용하는 연민의 힘이 크다고 보시는 거죠?


네, 맞습니다. 쉽게 드라마나 영화 속 악인의 행동을 보며 어느 관점에서는 ‘저 사람도 어쩔 수 없었겠지’로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순간이 있잖아요. 불쌍하고 가련하게 보인다는 것은 그 사람의 딱한 처지를 알게 되었다는 것과 그 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겠다는 것을 내포하죠. 그러니 틀어진 관계 회복을 위해서는 연민의 공감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연민의 눈으로 상대를 바라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끊어내는 편이 좋은 경우도 있지 않을까요? 득보다 실이 많은 관계도 분명 존재하니까요.


과연 100점짜리 관계가 존재할까요? 세상 전부일 것 같아 시작한 연애도 시간이 흐르면서 기대한 것과 달라 실망하고, 더러는 상처를 받아 이별에 이르게 되죠. 흔히 이별을 고민하는 사람에게 나중에 후회되는 일이 없도록 끝까지 노력은 해보라고 말합니다. 멀쩡한 끈을 억지로 끊고 나면 이래저래 볼 때마다 후회가 되죠. 하지만 몇 차례 이어 사용하다 더 이상 잇는 것이 불가능해진 끈을 끊는 것에는 크게 미련을 두지 않습니다. 그러니 득과 실을 따지기보다는 내가 관계 유지를 위해 어느 정도 노력하고 싶은지에 의미를 두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손정연 저자 사진3.jpg

 

 

관계에 권태로움을 느껴서 마냥 혼자 있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럴 때는 가끔씩 혼자 있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잠깐 동안 관계의 대상을 바꿔보길 추천합니다. 책, 자연, 음악, 미술 작품 등 사람이 아닌 영역에서 감각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훈련을 해보는 것이죠. 일상에서 시도하는 마음챙김은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일상에서 새로움을 발견하는 특별한 경험을 가져다줄 거예요. 이러한 일상의 작은 변화가 관계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만들어줄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책의 주제이기도 하죠. 사람은 관계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말 십분 공감합니다. 혼자서는 결코 살아갈 수 없으니까요.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수많은 관계를 맺고 때로는 그 과정에서 상처를 주고받게 될 분들에게 마지막으로 전하실 말이 있다면요.


저는 인간관계에는 보이지 않지만 서로를 이어주는 끈이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인간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서로에게 끊임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자극과 반응을 이끌어내기 때문이죠. 제 경우를 예로 들면 감정과 생각이 담김 제 글을 읽고 독자 분들이 행동에 변화를 시도하기도 하죠. 마치 나비효과처럼요.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만들어낼 나비효과의 위력을 실감한다면 관계에 기대와 희망을 걸어봐도 괜찮지 않을까요?

 


 

 

뒤엉킨 관계의 끈을 푸는 기술손정연 저 | 팜파스
관계 형성과 유지,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갈등을 각자 가지고 태어난 ‘관계의 끈’에 빗대어 설명하며, 어떻게 하면 인간관계를 잘 맺을 수 있는지 기술을 전수한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뒤엉킨 관계의 끈을 푸는 기술 #손정연 상담가 #행복 #관계
0의 댓글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