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에 유동성 조절 자금을 지원해줄 것을 요청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경제부 총리가 1997년 침통한 표정으로 이른바 IMF시대를 선언하던 날을 기억한다. 나라빚이 60조에 육박한다는 발표에 국민들은 충격에 빠져들었고, 사회 분위기는 급속히 얼어붙었다. 놀랍게도 OECD 가입을 축하하며 샴페인을 터뜨린 지 불과 1년이 막 지난 때였다.
<미스코리아>, 한국 최고의 미인을 만들기 위해 목숨 걸고 모여든 사람들의 이야기는 1997년이 배경이다. 1회 초반부 방송분은 당시의 현실을 그대로 그린 듯한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채권자들이 들이닥치는 회사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점심시간도 없이 CCTV 사각지대에서 삶은 달걀을 입 속으로 우겨 넣으면서도 부당한 대우에 한 마디 항의도 하지 못하는 인생들. 회사를 위해 어머니의 곗돈까지 투자자의 주머니에 쑤셔 넣거나 줄줄 흐르는 눈물을 닦지도 못한 채 ‘와이키키’를 외치며 억지웃음을 짓는 그들은 암울한 시대를 힘겹게 살아가는 그때 청춘들의 모습 그대로다.
그래서 시청자들은 그들에게 ‘미스코리아’가 얼마나 절박한 목표인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구겨진 자존심을 살리기 위한 마애리(이미숙 분)의 서슬 퍼런 고함보다 “미친년, 공부 좀 할걸…. 학교 때 지랄맞게 놀더라니. 꼴좋다, 썅년….”하고 스스로를 자책하는 오지영(이연희 분)의 독백이 귀에 꽂히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지영의 결심은 단순한 명예욕이나 성취욕이 아닌 당장의 생계와 맞닿아있다. 지영은 대한민국에 새로 엘리베이터 걸을 구하는 곳은 한 군데도 없다며 웅성거리는 후배 엘리베이터걸들의 말을 들으며 착잡한 표정을 짓지만 마땅한 돌파구는 없다. 나이트에서 신나게 음악에 맞춰 몸을 흔드는 것만이 현재 그녀가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런 그녀에게 이 지난한 현실을 박차고 나갈 길이 열린 것이다. 갑자기 찾아온 미스코리아 대회라니, 꿈처럼 들릴지라도 자신을 한국 최고의 미인으로 만들어주겠다는 소리에 혹하지 않을 리가 없다. 지영은 힘들고 갑갑한 현실을 탈출하기 위해 그 제안을 받아들인다. 반드시 비비화장품의 이름으로 미스코리아 진을 배출해 투자를 받아내야 하는 형준도, 비비 화장품이 빌려낸 돈을 받아내야 하는 정선생도 같은 이유로 ‘미스코리아 만들기’ 프로젝트에 목숨을 건다. 그들에게 1997년의 미스코리아 대회가 각자 얼마나 간절한 기회였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이 과연 그들에게 진정한 구원이 될 수 있을까. 지영이 극 말미에 이르러 정말 미스코리아의 영예를 움켜쥘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성공과 관계없이 그녀에게 정말 미인 대회가 인생의 탈출구가 될지는 의문점이 남는다.
간단하다. 그녀가 과연 그럴만한 사람이냐는 질문이 고개를 들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반복해 지영이 어떤 사람인지 보여준다. 지영은 제게 돌아오는 부당한 대접은 참아도 동료나 후배들에게 온당치 않은 상황을 강요할 땐 제일 먼저 나서고 그 대가로 뺨을 맞고 모욕적인 언사를 들어도 결코 굴하지 않는다. 동료들을 술집 아가씨들처럼 취급하는 상사의 술자리에 마네킹을 이고 가 내려놓고는 대거리를 하는 데에 이르면 그 당찬 매력에 웃음 짓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제 뒤에서 못난 말을 하고 다니던 옛 남자친구를 만나 멱살을 움켜쥐고 거침없이 욕을 내뱉다가 눈물짓는 것이 지영이기도 하다. 그녀의 어깨 위에 운명처럼 내려앉았던 노란 종이비행기는 지영에게 청춘의 한 자락이자 아마 진심으로 사랑했었던 형준과의 추억을 오롯이 담은 매개일 테다. 형준이 떠나고 나서 그녀의 얼굴에 줄줄 흐르던 눈물은 제 형편없는 모습에 대한 부끄러움만은 아니다. 한때 온 마음을 다해 사랑했던 그가 제게 다시 노란 종이비행기를 건네지만 이미 그 속에는 이전의 수줍고 두근거리는 마음 따윈 없다. 지영은 이미 그것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고, 북받쳐 오르는 서러움도 안타까움도 참기 힘들었을 것이다.
말하자면 지영은 어느 것이 옳고 그른 것인지도, 제 삶에서 가장 찬란히 빛나던 순간의 가치도 잊지 않고 있는 사람인 셈이다. 여기서 모순이 발생한다. 현실과 당연한 가치 사이에서 힘겨워하던 그녀가 선택한 길은 미스코리아지만, 결국 그녀가 서게 될 무대도 지금 힘들게 감당하고 있는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미인 대회, 자신이 갖고 있는 가장 빛나는 아름다움에 대해선 아무 것도 아는 것이 없는 사람들 앞에서 억지로 웃음 지으며 외적인 미(美)를 자랑하는 곳 아닌가. 지영이 아끼고 사랑하는 그 모든 가치는 힘을 잃고 오로지 그녀의 신체적 아름다움만을 자로 재 측정하는 곳. 그녀는 다시 그 과정에서 온갖 모욕과 수모를 감당해야 하며 그녀가 올라갈 무대는 엘리베이터 속에서 느꼈던 허망함으로 가득 찬 곳이기도 하다. 자판에 놓인 과일마냥 싱싱하고 건강한 자신을 판매해야 하는 그곳에서 그녀는 과연 단 한번도 후회하지 않을까. 몇 평짜리 좁은 공간에서 그린 듯한 미소를 지으며 기계적인 멘트를 반복하다 몰래 삶은 달걀을 까먹던 자신을 떠올리지 않을 수 있을까.
형준도 그렇다. 오로지 회사를 살리겠다는 일념으로 못할 말을 떠벌렸던 여자 친구 앞에 다시 나타나 뻔뻔스레 자신이 퀸 메이커가 되어주겠다 느물대지만 그의 마음속 깊은 곳에는 남모를 죄책감이 숨어 있다. 과거의 그녀가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또한 그 앞에 서던 자신이 얼마나 순수하고 아름다운 애정으로 가득 차 있었는지 이미 알고 있는 탓이다. 휘청대는 회사를 지키기 위해 지영을 찾아 뛰어나가지만, 형준은 끝까지 그녀를 이용하는 자신에게 환멸을 느끼지 않을 수 있을까?
드라마는 미스코리아를 위해 하나로 뭉친 그들의 이야기를 그리며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할 것이다.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로맨스라는 장르가 원래 그러하거니와, 이것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랑의 가치를 강조해 온 서숙향 작가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나는 그들이 잡으려는 이 절박한 기회가 그저 더 중요한 가치를 깨닫기 위한 조건이 되리라 생각한다. 가끔은 돈, 외적인 아름다움, 혹은 명예나 성공보다도 중요한 것이 있다는 것을 1997년의 추위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깨달아 가리라.
이런 의미에서 드라마는 분명 성공담이라기 보단 성장기에 가까운 내용이 될 터다. <미스코리아>, 이쯤 되면 노골적인 제목이 다시 보인다. 제목과 달리 이것은 화려한 쇼비지니스 세계에 성공을 위해 뛰어든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인생 최대, 그리고 어쩌면 마지막인 기회를 잡기 위해 뛰어든 다양한 인간군상의 이야기이며 그들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다른 어떤 피상적인 가치 때문이 아니라 좀 더 따뜻하고 다정한 가치,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와 같은 사람들 때문에.
그래서 나는 이 드라마의 결론이 무엇보다도 기다려진다. 드라마는 말할 것이다. 지영의 머리에 올라갈 왕관보다 더욱 빛나는 그 무언가가 그녀의 눈 속에 있다고. 고되고 험난한 과정을 거쳐 제가 얻은 것이 단순히 왕관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가치 있는 무엇임을 깨달은 지영의 미소를 보라고. 그리고 분명 그럴 만한 가치가 있을 테다. 그 깨달음은 드라마에서 가장 값진 것 중 하나임이 틀림없을 테니 말이다.
[추천 기사]
-국제 NGO 활동가 곽은경, 정착하지 않는 삶을 사는 이유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한일 과거사를 고민하다
-일본문화의 근본과 정수를 찾아 떠나는 여정
-공유 <용의자>, 개봉 3일 만에 100만 관객 돌파
-평생 자신과 갈등하며 여행한 사람, 이사벨라 버드
김지우
사람과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길어 주절거리는 것이 병이 된 사람. 즐거운 책과 신나는 음악, 따뜻한 드라마와 깊은 영화, 그리고 차 한 잔으로 가득한 하루를 보내는 것이 평생의 소원이다.
amorfati2
201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