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여자는 봄이 되면 치마에 홀리는가?
겨울 동안 별로 햇볕에 노출되지 않았던 무방비 상태의 피부는 봄이 되면 늘어난 일조량 때문에 빨리 타게 된다. 갑자기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가 손상을 입어 피부는 쳐지고 주름지는 노화현상을 겪는다. 이때 손상된 세포로 인해 피부 자체의 면역력이 크게 감소한다.
글: 이기진
2011.02.23
작게
크게
얼마 전 같이 연구를 하고 있는 외국 친구가 한국에 왔다. 토요일로 날을 잡아 등반 계획을 짜고 연구실 학생들까지 몰려서 북한산에 올랐다. 가볍게 올라갔다 내려와 생맥주나 한잔하려고 시작했던 등산이었는데, 아차, 혈기왕성한 학생들을 앞장세운 것이었다. 어느덧 학생들을 열심히 따라가다 보니 완주가 되어버렸다. 문제는 아무 준비도 없이 그대로 따가운 봄 햇살에 노출된 얼굴이었다. 생맥줏집에 도착하자 붉게 그을린 얼굴이 시큰거리기 시작했다. 친구의 붉게 익은 얼굴을 보니 미안해지면서 봄 햇살의 물리적 위력이 실감 났다.

봄볕은 겨울에 무방비 상태로 있던 피부를 상하게 하기 쉽다
겨울 동안 별로 햇볕에 노출되지 않았던 무방비 상태의 피부는 봄이 되면 늘어난 일조량 때문에 빨리 타게 된다. 갑자기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가 손상을 입어 피부는 쳐지고 주름지는 노화현상을 겪는다. 이때 손상된 세포로 인해 피부 자체의 면역력이 크게 감소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때 피부 속 멜라닌 색소량이 증가하면서 기미나 주근깨 같은 잡티 등의 피부의 색소질환이 짙어지고, 피부도 어둡고 칙칙한 색으로 만들어버린다. 그래서 봄엔 자외선 차단 크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자외선차단 크림은 피부에 침투해 뼈를 약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 절대적으로 모든 것을 다 만족시키는 완전한 것을 찾기는 힘든 법이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양산을 쓴다든지 모자를 써서 물리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다. 자외선차단 크림의 유통기한은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2년이지만 개봉하면 성질이 쉽게 변한다. 유통기한이 지난 선블럭을 바르면 피부를 더 태우게 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봄의 물리적 핵심은 태양에 있다
우리가 혹독한 겨울을 보내고 있던 사이 남반부 바닷가에서 뜨거운 여름의 크리스마스를 즐기던 사람들과 함께 했던 태양은 이제 북쪽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서서히 북쪽으로 걸어옴에 따라 여러 가지 물리적인 계절 변화가 일어난다. 길어진 해와 짧아진 밤은 우리의 수면량을 줄이고 반대로 활동량을 늘린다. 당연히 잠이 부족해지고 낮에 춘곤증이 몰려오게 된다.

졸음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의 하나는 깊이 잠을 자는 방법밖에 없다. 창문의 커튼을 두껍게 차단하면 아침에 일찍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해 깊이 잘 수 있다. 그다음 급격히 늘어난 활동량을 위해 영양보충이 필요하다. 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비타민이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더 많이 필요하게 되는 건 당연하다. 봄이 되면서 10배 이상의 비타민이 요구된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 않으면 결핍으로 남고 비실비실 졸음으로 나타나게 된다.

날씨도 마찬가지다. 태양의 양이 증가함 따라 겨우내 언 땅이 서서히 녹기 시작한다. 해가 지면 기온은 급격히 떨어지고 해가 나면 온도가 올라간다. 햇빛의 양이 많은 곳은 집중적으로 온도가 올라가 아지랑이가 피어오르지만, 아직 눈이 남아 있는 곳은 언 땅으로 남아 있다. 밤낮의 불규칙한 일교차는 아침의 안개를 만들어낸다. 앞으로 봄비가 오고 태양이 우리 쪽으로 계속해서 올라가면서 언 땅이 서서히 녹고 본격적으로 기온의 차가 없어지게 된다. 이런 2월의 불규칙한 날씨의 원인은 북반구로 올라오는 태양이 만들어낸 일시적인 현상이다.


활기찬 봄을 맞이해 대청소를 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너무 심하면 환절기 감기에 걸리기 쉽다.
온도가 올라가면 모든 물질은 에너지가 커진다. 먼지도 마찬가지다. 겨우내 수분을 머금고 있던 먼지도 햇빛을 받으면 에너지가 커져 활발히 운동하게 된다. 특히 겨우내 쌓였던 먼지를 털어내기 위해 청소하는 과정은 건강에 좋지 않다. 봄이 되면 집에 있는 먼지뿐 아니라 꽃가루, 곰팡이, 미세 분진 등이 알레르기 환자는 물론 일반인의 건강까지 크게 위협한다. 특히 봄의 북서풍인 황사 바람은 치명적이다. 봄철은 겨우내 쌓였던 먼지에다 황사, 꽃가루까지 겹쳐 그 어느 때보다 먼지가 많은 계절이다. 이런 때에 대청소는 기분을 밝게 할지 모르지만 마스크를 쓰고 무장한 채 치러야 할 일이다.

사람들이 봄을 타는 물리적 이유는 일조량 때문이다
봄이 되면 햇살이 많아져 우리 망막을 자극해 간뇌에 있는 송과선이 여성호르몬 성분인 에스트로겐과 남성호르몬 성분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다. 또한 우리 몸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시차에서 오는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등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감소된다. 또, 여자들의 시상하부의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쳐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밤이 긴 겨울과 달리 봄이 되면 밤이 짧아지면서 수면 시간이 줄어들어 신체적으로 피곤해짐과 동시에 활발한 신진대사로 인해 심리적으로 정서가 불안해지기도 한다. 이때 여성의 경우에는 흥분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여성이 봄을 타는 이유이다.

남성들의 경우 오히려 가을이 되면 남성호르몬 성분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저하되어 여성적인 취향에 사로잡히게 된다. 떨어지는 낙엽을 보면서 괜히 센티 해지는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 재촉하는 사람이 없는데도 마음이 조급해지고, 어딘가로 떠나고 싶고, 외롭고, 뭔가 즐거움을 찾고 싶고.


에필로그
교정에서는 신입생들이 눈에 띈다. 성급한 신입생들의 복장은 이미 봄이다. 이상하게도 신입생들은 늘 옷을 춥게 입고 있다. 아직도 추위가 남아 있는 2월, 봄이 올락 말락 한 시기. 추위 앞에 당당한 그 젊음이 부러우면서도 한편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그러고 보니 신입생이 아니더라도 여성들은 봄이 되면 치마를 즐겨 입는 것 같다. 왜 그럴까? 주위에 있는 여성분들에게 창피함을 무릅쓰고 물어보았다. 대부분은 별걸 다 물어본다는 표정으로 ‘그냥 입고 싶어서요.’라고 답변했다. 그래서 다시 ‘물리적으로 무슨 이유가 있는 건 아닐까요?’ 하고 물어보니 눈초리가 마치 변태를 보는 것처럼 바뀐다. 세상의 호기심이 과하거나 과학적으로 지나치면 보기가 좋지 않다. 세상은 그냥 그러고 싶다고 하면 그러는 일도 있는 것이다. 그래도 궁금한 이유는 무엇인가?! 조인트 팍~!



2의 댓글
User Avatar

prognose

2011.12.14

마지막 글이 웃겼어요. 물리와 치마 상관관계 물었더니 변태보는 눈초리로 바뀌었다니. 가끔은 건드리지 않는 게 더 좋은 것도 있죠.
답글
0
0
User Avatar

앙ㅋ

2011.11.20

오! 이번엔 가을이 좀 길어서 좋았어요. 봄보다 가을 햇볕이 좋은것 같아요.
답글
0
0
Writer Avatar

이기진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