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원
서울대학교 병원 구내에는 한눈에도 범상치 않은 근대 건축물이 있다. 좌우 대칭형 구조, 붉은 벽돌과 하얀 화강석의 색상 대비, 권위적으로 보이는 중앙 현관과 섬세하게 장식한 시계탑 등이 상당히 이색적이다.
2010.05.20
|
서울대학교 병원 구내에는 한눈에도 범상치 않은 근대 건축물이 있다. 좌우 대칭형 구조, 붉은 벽돌과 하얀 화강석의 색상 대비, 권위적으로 보이는 중앙 현관과 섬세하게 장식한 시계탑 등이 상당히 이색적이다. 현재 서울대 병원의 연구소 겸 의학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 이 건물은 대한제국 시절 최고의 국립의료기관인 ‘대한의원’이었다.
|
오늘날 서울대학교 병원의 전신인 대한의원은 1907년 대한제국 내부 소관의 질병치료소인 광제원과 궁내부 소관의 적십자병원, 학부 소관의 경성의학부를 통합해 설립하였다. 처음에는 광제원 건물에서 개원했다가 이듬해 지금의 건물(본관)과 함께 병동 일곱 동, 해부실, 의학교 등이 완공되어 국립병원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대한의원은 격변의 근현대사 속에서 여러 차례 운영 주체가 바뀌었다. 처음에는 대한제국의 국립의료원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총독부의원이 되는 비운을 맞이한다. 그러다가 부속기관인 의학강습소가 경성제국대학(서울대학교의 전신)에 편입되면서 대학병원이 되었고, 광복 후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이 되었다.
6?25전쟁 때는 전세에 따라 북한군의 병원이었다가 미 공군의 전용병원이 되기도 했다. 전후 다시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이 되었다가 1979년 병원으로서의 기능을 신관으로 넘기고 오늘에 이른다.
한편, 서울대학교 병원 구내에는 이보다 더 오래된 역사 유적이 있다. ‘함춘원’과 ‘경모궁’의 유적인데, 일제가 이 일대에 경성제국대학을 세우는 바람에 원형이 훼손되어 남아 있는 유적은 매우 미미하다. 함춘원은 1484년(성종 15)에 조성한 창경궁의 부속 후원이고, 경모궁은 정조가 왕위에 올라 선친인 사도세자의 시호를 올리고 묘우를 승격하면서부터 바꿔 부르게 된 이름이다. 곧 함춘원이 나중에 경모궁이 된 것인데, 현재 병원 본관 뒤편에 있는 함춘문은 함춘원의 유일한 유적이고, 그 뒤에 있는 석단은 후대에 설치한 경모궁의 유적이다. 함춘문을 포함한 이 일대는 사적 제237호다.
* 이용정보
- 종로구 연건동 28-2 | 서울대 홍보대외협력팀 02-2072-2133 | medicalmuseum.org
* 찾아가는 길
- 지하철 4호선 혜화역 4번 출입구 이용. 서울대학교병원 내.
- 101, 102, 104, 106, 107, 108, 109, 143, 149, 150, 160, 273, 301, 407번 버스 이용, 마로니에 공원 하차.
- 109, 151, 273번 버스 이용, 혜화역 하차.
- 101, 102, 104, 106, 107, 108, 140, 143, 150, 160, 162, 171, 172, 272, 301번 버스 이용, 창경궁입구 하차.
4개의 댓글
추천 기사
추천 상품
필자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더뮤지컬] 얼룩 같은 어제를 지우고, 먼지 같은 오늘을 털어내고…20년간 이어진 <빨래>의 위로](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10/20251028-f135acb8.jpg)
![[김미래의 만화절경] 서울의 공원과 고스트 월드](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9/20250922-2c09f7ab.jpg)


![[더뮤지컬] 편집된 일상 속 진짜 우리의 모습은? 연극 <애나엑스> 프레스콜](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2/20250218-e5dcd14e.jpg)
prognose
2012.07.25
forsooyoon
2012.07.17
천사
2012.03.15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