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호러 영화의 데이터베이스 부족
글 : 채널예스
2006.08.24
작게
크게
문학작품을 각색하는 것만이 영화의 예술적 가치를 유지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되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엔 80년대까지만 해도 해외의 문학 각색물만 전문으로 수입하는 영화사도 있었죠. 회사 이름은 잘 기억 안 납니다만, 그곳에서 수입한 <부활>을 영화관에서 본 기억이 나요. 그렇게 좋아하는 소설도 아니었고 영화는 더더욱 기억나지 않지만요. 그러고 보니 지금 EBS의 전신인 KBS-3의 영화 프로그램이 ‘세계명작극장’이나 뭐 그 비슷한 제목을 달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히치콕식 스릴러나 방영하고 있다고 꾸짖던 신문기사도 생각나는군요. 참, 그 기사에서 비난했던 작품은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국시절 걸작이었던 <사라진 여인>이었습니다. 옛날 신문기사들을 뒤적이다 보면 별별 재미있는 게 다 나온답니다.

지금은 각색물에 대한 미신적인 믿음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그만큼 영화의 위상이 높아졌어요. 80년대까지만 해도 해외 영화제에 제출하는 국내 영화들은 대부분 문학 각색물들이었지만 지금은 정반대죠. 최근 해외 영화제에서 인기 있는 한국 영화들 중 문학 각색물은 거의 없죠. 각색물이라고 해도 종종 영화가 원작의 명성을 넘어버리기도 하고요. <여자, 정혜><공동경비구역 JSA>와 같은 영화들을 보세요.

좋은 일일까요? 어느 정도는요. 하지만 좋기만 한 건 아닙니다. 순문학의 영화화에 대해서는 전 별 의견이 없어요. 하지만 장르문학에 이르면 사정은 달라집니다.

전 최근에 쇼타임의 <마스터즈 오브 호러> 시리즈의 1시즌을 봤습니다. 존 카펜터, 미이케 다카시, 래리 코헨과 같은 장르 거물들과 윌리엄 말론이나 럭키 맥기와 같은 재능 있는 젊은이들이 모여 만든 호러 앤솔로지 시리즈죠. 여기서 재미있었던 것은 그 중 상당수가 각색물이었다는 것입니다. 오리지널 각본도 많았지만 <마운틴 로드>나 <임프린트>처럼 소설을 각색한 작품들도 많았어요. 짧은 기간 동안 순전히 이름값과 컨셉으로만 몰아붙였던 그 시리즈가 그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도 아마 쉽게 원작이 되는 작품들을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을 거예요. 장르는 이야기의 데이터베이스이고, 그 데이터베이스는 매체를 떠나 넓고 다양할수록 좋습니다.

영화 <어느날 갑자기>의 원작소설, 유일한 작가의『어느날 갑자기』
최근 우리나라 호러 영화들이 죽을 쑤고 있는 것도 그 데이터베이스의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가 아무리 할리우드 호러를 조롱한다고 해도 그들은 에드거 앨런 포우, H.P. 러브크래프트, 스티븐 킹으로 이어지는 길고 긴 호러 문학의 전통을 갖추고 있습니다. 재료가 딸리면 그들은 언제나 그 광맥을 팔 수 있어요. 하지만 지금의 한국 호러 영화들은 끝도 없이 <링><장화, 홍련>만 팔 뿐입니다. 누가 오래 살아남을까요?

예외는 있습니다. 얼마 전에 SBS에서 방영한 <어느 날 갑자기> 시리즈죠. 몇 년 전에 방영되었던 동명 납량특집 시리즈처럼 이번 시리즈도 유일한의 동명 단편집에서 뽑은 단편들을 각색한 작품들이었습니다. 결과는 아주 좋은 편은 아니었어요. 유일한은 스티븐 킹이 아니고 제작 환경도 이상적인 편은 아니었으니까요. 하지만 그 중 두 편은 꽤 괜찮았고 이야기나 아이디어들은 모두 남는 게 있었습니다. 그 정도 기간 동안 네 편이나 되는 디지털 영화를 뽑을 수 있었던 것도 모두 원작이 품고 있었던 가능성 때문이었을 거고요.

그러나 언제나 유일한 소설들만 팔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다른 나라 소설들을 각색하는 것도 한계가 있고요. 언젠가 우리 스스로가 만든 데이터베이스로 자급자족해야 할 때가 올 거예요. 문제는 우리가 과연 그때를 대비해 준비를 하고 있느냐는 것이겠지만요.
207의 댓글
User Avatar

roaderz

2006.09.04

이런 곳에서도 갈등을 조장하는 불순세력이 있군요. 안티빠...
답글
0
0
User Avatar

이슨

2006.08.31

cobana / 뭔가 오해를 하신 것 같군요. 제가 말한 '두분(?)'은 듀나와 위서가님 입니다. Relax, :)
답글
0
0
User Avatar

예관

2006.08.31

위서가라는 분. 여기서 한창 논쟁이 벌어질 때도 그냥 지켜보기만 했고, 앞으로도 끼어들 생각없는데... 제발 그 자뻑스런 글 좀 쓰지 마세요. "다음 칼럼이 만약 올라오면, 요약만 해드리고 논리적 헛점만 짚어드리죠." 으악.-_- 이런 걸 써놓고 민망하지 않으세요? 듀나가 아무리 재수없다고 한들, 님만 할까 싶네요.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