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김현영의 여자들의 사회] <빨간 머리 앤>, 서로를 길러내는 우정에 대해
[권김현영의 여자들의 사회] <빨간 머리 앤>, 서로를 길러내는 우정에 대해 앤과 다이애나의 관계만큼 노골적으로 여자들의 우정에 대해 몰두하여 묘사한 작품이 또 있었을까. 그렇게나 다른 둘이 어떻게 해서 만나자마자 단짝이 되었을까. 내게 그건 커다란 수수께끼였다. 2020.08.26 권김현영(여성학자)
권김현영 빨간 머리 앤 니코마코스 윤리학 우정
<소년 아메드> 모색하는 시간의 윤리로 손에 쥐는 변화
<소년 아메드> 모색하는 시간의 윤리로 손에 쥐는 변화 인물에의 밀착을 트레이드마크로 하는 다르덴 형제에게 카메라는 화해와 더 나은 미래를 목적으로 내미는 진심의 손길이다. 2020.07.23 허남웅(영화평론가)
소년 아메드 시간의 윤리 트레이드마크 더 나은 미래
인간의 창조물, 인공지능과의 동행을 위한 철학적 성찰
인간의 창조물, 인공지능과의 동행을 위한 철학적 성찰 먼 미래에 만약 인간처럼 자유의지를 갖고 이에 의거해 행동하는 인공지능이 등장한다면, 인간에게처럼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겁니다. 그렇더라도 인공지능이 인간과 동일할 수는 없기에, 책임 개념의 확장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20.06.16 출판사 제공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윤리학 이중원 작가 철학적
김서형의 직선 –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전력질주하는 윤리적 주체의 탄생
김서형의 직선 –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전력질주하는 윤리적 주체의 탄생 김서형의 날렵하고 강인한 인상이 마법을 부린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20.03.16 이승한(TV 칼럼니스트)
윤리적 아무도 모른다 안지호 배우 김서형
권수영 “저자와 소통하는 느낌”
권수영 “저자와 소통하는 느낌” 독서를 통해 저자와 소통하는 느낌에 빠져들 때가 제일 행복해요. 이런 은밀한 소통이 독서의 묘미가 아닐까요? 2016.05.17 채널예스
권수영 소통 니코마코스 윤리학 문명 속의 불만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이트
아버지와 직장인의 행복은 과연 무엇일까?
아버지와 직장인의 행복은 과연 무엇일까? 한 개인이 그 자신을 브랜드화 시키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어찌 보면 그러한 수준의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조직에 편입해 수완을 발휘하는 것이 더 쉬운 삶을 사는 방법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공병호 박사의 선택은 달랐다. 오래전 그는 경영과 경제전반에 대해 대중적인 글과 아울러 강연, 기고, 방송, 경영컨설팅 등으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나갔다. 그리고 지금 고전을 통한 삶의 지혜를 대중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2012.09.24 황정호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공병호의 고전강독 공병호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월경하는 지식의 모험자들 (한길사)은 경계를 뛰어넘어 지식 분야의 첨단을 넘나든 76명의 선구적 사상가와 예술가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혁명적 발상으로 세상을 바꾸는 프런티어의 가장 극적인 사례로 백남준과 피터 싱어를 꼽을 수 있다. 이 책에 포함된 유일한 한국인인 백남준은 전화에 대한 통찰-전화의 역사는 1백년이 넘었건만 전화에 대한 논서는 단 네 편에 불과하다는-만으로도 거인의 풍모를 실감하게 한다. 2003.10.06 최성일
윤리학자 피터 싱어
청소년을 위한 '제로웨이스트로 먹고 살기'
청소년을 위한 '제로웨이스트로 먹고 살기' 이 책은 '나는 무슨 일을 하며 살아가게 될까?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정말 제대로 먹고 살 수 있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대한 대답이자 '위기에 처한 행성을 살아갈 지구의 청소년을 위한 가장 나다운 일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새로운 대답이다. 2022.11.04 출판사 제공
나는윤리적최소주의자지구에삽니다 윤리적최소주의자 환경보호 예스24 7문7답 소일 제로웨이스트 채널예스
가까스로 지켜지는 인간의 영토
가까스로 지켜지는 인간의 영토 『여수』는 세련되고 정교한 윤리의 작동을 그리는 시집이 아니다. 오히려 아무리 애써도 그것이 잘 작동되지 않고 있음을 그려내는 시집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삶이란, 이 수많은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수많은 관련들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이어질 수 있는 것임을 믿고 있는 시집이다. 2017.04.04 황인찬(시인)
여수 윤리 서효인 사랑
[MD 리뷰 대전] 사람답게 일하는 세상을 꿈꾸다
[MD 리뷰 대전] 사람답게 일하는 세상을 꿈꾸다 사람과 세상을 이해하는 것이 인문학의 기본이다. 인문 교양 MD는 잘 살기 위해 책을 읽는다. 그리고 책으로 말한다. 브리핑은 거들 뿐. 2016.11.08 김도훈(문학 MD)
사람 세상 노동윤리 가족윤리
윤리적 여행에 대하여
윤리적 여행에 대하여 잘못을 변명하는 것은 괜찮다. 다음에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만 한다면 말이다. 이런 작은 노력을 꾸준히 이어간다면 우리는 여행을 하는 것만으로도 주변의 여러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좋은 여행자로 점점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2016.08.23 김명철
여행자 윤리적 여행 구걸 행복한 여행
윤리와 정치란 바로 이런 거라네
윤리와 정치란 바로 이런 거라네 윤리와 도덕은 나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다. 그렇다고 내가 ‘도덕가’연 하는 건 아니다. 윤리?도덕과 관련한 내 정체성을 살피던 중, 에리히 케스트너에 대한 평전에서 그 해답을 얻었다. 2005.07.19 최성일
페르난도 사바테르 윤리 정치 철학자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