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소녀들아! 공학에서 미래를 찾자
4차 산업혁명시대 소녀들아! 공학에서 미래를 찾자 여성 공학자가 드물었던 시대, 일찍이 공학 분야에 뛰어든 저자 오명숙 교수에게 여성과 공학에 대한 이야기를 심도 있게 들어보자. 2020.10.20 출판사 제공
지금은 공학소녀시대 오명숙 4차 산업 시대 여성공학 문수진 채널예스 예스24
10대 청소년이 공학을 알게 된다면!
10대 청소년이 공학을 알게 된다면! 공과 대학에 진학하지 않더라도 이 책을 통해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어떻게 맞이하고, 받아들일 것인지 한 번쯤 돌아보셨으면 합니다. 2019.01.07 출판사 제공
10대에게 권하는 공학 한화택 공학자 공학 미래 사회
공학자 윤태웅 “젊은 친구가 필요한 이유”
공학자 윤태웅 “젊은 친구가 필요한 이유” 우리가 쌓은 경험, 연륜이 언제나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건 아니잖아요. 현재의 문제에 과거의 해법을 제시하는 사람은 꼰대가 될 수밖에 없어요. 2018.11.07 엄지혜
윤태웅 공학자 젊은 친구 떨리는 게 정상이야 꼰대
[다운빌로 스테이션] 호쾌한 우주 전쟁 서사시
[다운빌로 스테이션] 호쾌한 우주 전쟁 서사시 지구와 우주의 균형은 깨졌다. 지구가 아니라 펠을 시작점으로 삼아 더 먼 곳에 스테이션을 건설하는 세력들이 생겼기 때문이다. 2018.07.10 출판사 제공
다운빌로 스테이션 우주 공학 천문학 신세계
뇌를 바꾼 공학
뇌를 바꾼 공학 왜 선진국들은 앞 다투어 뇌 연구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것일까? 그 이유는 인간의 수명 연장과도 무관하지 않다. 21세기 들어 서양 의학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인간의 뇌는 아직도 알고 있는 사실보다 모르는 사실이 훨씬 더 많은 미지의 대상이다. 2015.07.22 채널예스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 뇌공학 프롤로그
수포자였던 영문과 교수가 수학과 코딩을 가르치게 되기까지
수포자였던 영문과 교수가 수학과 코딩을 가르치게 되기까지 '수포자' 여러분께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은 우리가 그토록 싫어 했던 건 '수학'이 아니라 '수능 수학'이었다는 것을 알았으면 합니다. 오늘부터라도 '문과', '수포자'와 같은 우리를 규정지었던 단어들에서 벗어나 '나 안에도 수학의 유전자가 있었구나!'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2022.01.18 출판사 제공
코딩 수포자 수학을읽어드립니다 남호성 언어공학 수학공부 7문7답 예스24 채널예스 수학
[나는 오늘도 보건소로 출근합니다] 오늘도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는 모든 사람에게
[나는 오늘도 보건소로 출근합니다] 오늘도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는 모든 사람에게 임상병리사로 살아온 17년간의 삶과 진솔한 이야기! 감염병의 시대, 우리가 알아야 할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법 2020.10.26 출판사 제공
예스24 채널예스 나는 오늘도 보건소로 출근합니다 김봉재 성공학 자기계발책
배명진 교수 “나의 서재는 소리다”
배명진 교수 “나의 서재는 소리다” 배명진 교수에게 작업실은 세상에 단 하나뿐이다. 바로 ‘소리공학연구소’. ‘소리공학’은 그가 처음 만든 말이다. 우리말 ‘소리’와 과학과 기술을 대표하는 ‘공학’이라는 단어를 합성해서 만든 말이다. 2013.12.23 손민규(인문 PD)
배명진 소리공학 배명진 교수의 소리로 읽는 세상
정유선 교수 “100% 인내 끝에 오는 200% 행복을 만끽한다”
정유선 교수 “100% 인내 끝에 오는 200% 행복을 만끽한다” 최근 『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고 싶다』를 펴낸 정유선 박사는 뇌성마비를 극복하고 미국에 건너가 조지 메이슨 대학 최고 교수의 자리에 오르기까지의 가슴 뛰는 이야기를 담았다. 보완대체 의사소통기기라는 컴퓨터 음성기기의 도움을 받아 강의를 하는 정유선 교수는 강의를 위해 일주일 내내 홀로 리허설을 한다. 이 지루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교수가 된 이후 단 한 번도 거르지 않은 것이 ‘최고 교수’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2013.11.28 채널예스
정유선 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고 싶다 보조공학 조지 메이슨
로봇이 인간을 구하는 세상, 멀지 않았다 - 데니스 홍
로봇이 인간을 구하는 세상, 멀지 않았다 - 데니스 홍 시각 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 침몰하는 배, 원전 폭발과 같은 참사의 현장 속에 뛰어들어 인명을 구하는 로봇이 있다면 어떨까. 하나는 이미 거의 실현 된 상황이고 나머지 하나 역시 적지 않은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바로 재미교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박사의 주도하에 이뤄지는 일들이다. 로봇이 인간을 구하는 세상. 그것이 그의 꿈이다. 2013.03.25 황정호
로봇 다빈치 꿈을 설계하다 홍원서 데니스 홍 로봇공학자
유전자 조작 옥수수 종자, 한국에선 버젓이 유통 - 몬산토 Monsanto
유전자 조작 옥수수 종자, 한국에선 버젓이 유통 - 몬산토 Monsanto GMO 시장의 마이크로소프트라고 불릴 정도로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몬산토는 처음부터 생명공학사업으로 시작한 기업이 아니었다. 몬산토는 1901년에 약제사였던 존 퀴니가 미국 미주리 주의 세인트루이스에 설립한 회사로 몬산토라는 기업명은 아내의 결혼 전 성을 따서 만든 이름이다. 식품첨가물 사카린을 생산하여 코카콜라에 납품하는 것으로 시작한 몬산토는 1902년부터는 카페인과 바닐린을 생산하면서 규모를 늘려갔고… 2012.09.24 김민주
유전자변형농산물 생명공학 MUST KNOW 세계 100대 기업 몬산토 GMO
“저는 컴퓨터비판가가 아니라 사회비판가입니다”
“저는 컴퓨터비판가가 아니라 사회비판가입니다” 『이성의 섬』(모명숙 옮김, 양문, 2008)은 컴퓨터공학자 요제프 바이첸바움(Joseph Weizenbaum, 1923-2008)이 독일의 저널리스트 군나 벤트(Gunna Wendt)와 가진 회고록 성격의 인터뷰집이다. 2008.07.16 최성일
컴퓨터공학자 요제프 바이첸바움 사회비판가 이성의 섬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