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앞으로 5년 결정적 미래
공유 경제, 소유에 대해 새롭게 접근한다
“공유 경제는 결국 생산 시스템의 문제”
‘풍요의 시대’가 가고 ‘저성장 고부채 시대’가 도래하면서 꼭 소유하지 않아도 될 것은 잠시 남의 것을 빌려 해결하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자신이 쓰지 않는 것을 남들과 공유하는 것이 바로 ‘공유 경제’의 아이디어이다. 공유 경제는 ‘정글 자본주의’에서 비롯된 양극화가 낳은 새로운 시대의 ‘맹아’인 셈이다.
현재 미국의 연방부채는 약 12조 달러고 GDP의 약 76%에 달한다. 이미 재정적자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는 유럽은 말할 것도 없다. 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등 이른바 ‘PIGS’ 국가들은 국가 부도 위기에까지 몰렸다. 일본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220% 이상에 달한다. 2012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가채무 규모는 약 450조 원 수준으로 GDP 대비 35% 정도다.
또 다른 문제는 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복지지출이 늘고, 이에 따라 우리 정부의 재정적자가 빠르게 누적되면서 국가 채무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2년 말 450조 원 정도였던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2014년 말 500조원을 훌쩍 넘어서 2016년에는 600조 원대에 이를 전망이다. 복지는 한 번 제공하기 시작하면 중단하기 어렵고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불가역성’을 특징으로 한다. 막대한 복지 재원에 대한 충분한 재원 마련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하지만 복지를 통한 혜택은 반가우나 그 비용을 자신이 지는 것은 바라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정서다. 증세 없는 복지 확대는 결국 막대한 재정수지 적자와 국가채무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관련태그: 공유 경제, 앞으로 5년 결정적 미래
세계적인 석학들의 지식을 한자리에 모아 새로운 직관을 배우고, 창의적 해법으로 5년 후 미래를 예측하는 ‘2018 글로벌 시나리오’를 위해 꾸려진 특별취재팀 6인이다.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최근 글로벌 환경에서 미래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예측서를 만들기 위해 전세계 미래학자들의 좌장인 제롬 글렌,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업체 AT커니의 로디시나 회장, 오바마 대통령의 경제 교사인 오스탄 굴스비 등 국내외 전문가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또한 글로벌 펀드매니저 100인의 설문조사까지 아우른 방대한 작업을 거쳐 미래를 읽는 5개의 프리즘을 완성했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콜롬비아대학교에서 MBA를 수료한 황종덕 기자는 머니투데이 혁신전략 팀장이자 키플랫폼 총괄 디렉터로서 팀의 중심에서 컨퍼런스를 이끌었다. 또한 5년 후 미래를 내다보는 글로벌 시나리오의 총괄 디자이너 역할을 겸했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콜롬비아대학교에서 MBA 과정을 마친 이상배 기자는 세계적인 연사들을 인터뷰하는 등 주요 콘텐츠 취재 총괄을 맡았다. 이 밖에도 국제부와 정치부를 거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와 선진국 재정 위기 등을 밀도있게 취재한 조철희 기자뿐만 아니라 신희은, 박소연, 하세린 기자가 기획부터 취재, 집필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했다.
<머니투데이 특별취재팀> 저13,500원(10% + 5%)
오바마 대통령의 경제 교사 오스탄 굴스비부터 정부와 기업이 먼저 찾는 하버드 경제학자 대니얼 앨트먼, 전 세계 미래학자들의 좌장인 제롬 글렌까지 세계적 석학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 예측한 5년 후 글로벌 트렌드! 경영자, 주식 투자자, 금융권 임직원, 그리고 재테크에 관심을 가졌거나 일반 기업에서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