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요조 “첫사랑은 모르는 게 약”

11월 27일, 제7회 예스24 문화축제 열려 올해의 주제는 ‘나에게 첫사랑 같은 책, 영화, 노래’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제7회 예스24 문화축제’가 지난 11월 27일, 서울 광진구 악스코리아에서 열렸다. 예스24 회원 1천여 명이 참석한 ‘콜라보레이션 파티’는 영화평론가 이동진의 사회로 소설가 김영하, <무한도전> 김태호 PD, 발레리나 김주원, 뮤지션 요조, 장미여관이 출연했다.






11월 27일, 서울 광진구 악스코리아에서 ‘제7회 예스24 문화축제’가 열렸다. 예스24 회원 1천여 명이 참석한 ‘콜라보레이션 파티’는 영화평론가 이동진의 사회로 소설가 김영하, <무한도전> 김태호 PD, 발레리나 김주원, 뮤지션 요조, 장미여관 등이 출연했다.

오프닝 공연을 선보인 요조는 올해 콜라보레이션 파티의 주제인 ‘첫사랑’에 대해 “모르는 게 약”이라고 답했다. 요조는 “내 첫사랑은 중학교 3학년 때 만나서 25살까지 사귄 친구다. 어쩔 수 없이 서로가 서로의 인생에서 처음인 것이 너무 많았다”며 “서로의 삶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관계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금은 ‘모르는 게 약’이 되어버린 까닭은? 12월 첫째 주, <채널예스>에서 공개된다.

요조는 ‘첫사랑 같은 영화’로 주성치의 <파괴지왕>을 꼽았다. 요조는 “주성치의 광팬이라서 여러 번 만날 기회가 있었다. 만나게 되면 전하고 싶은 말을 중국어로 작문을 해서 달달 외우기도 했는데, 막상 두려웠다. 너무 좋아하지만 만나고 싶지 않은? 만났을 때 내가 가진 이미지나 느낌이 깨지면 어떡하지? 직접 만난다고 생각하니까 덜컥 겁부터 났던 기억이 난다.”며, “이제는 기회가 있어도 안 만나기로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요조는 주성치를 모티프로 슈팅스타 작곡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만들기도 했다.

‘예스24 문화축제’는 책, 영화, 음악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는 문화를 조성하고자 2007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예스24 회원들을 위한 행사다.


[관련 기사]

-다정하고도 씩씩한 쓸쓸함 - 요조(Yozoh)
-마이 네임 이즈 요조, 요조의 달콤한 첫번째 프러포즈
-김태호 PD “내게 첫사랑 같은 영화는 <시네마천국>”
-장미여관 “우리에게 첫사랑 같은 음악은? 봉숙이”
-1971년, 여성 싱어송라이터의 시대가 시작되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엄지혜


eumji01@naver.com

요조, 기타 등등

<요조> 저13,320원(10% + 5%)

노래와 함께 조곤조곤 흐르는 요조의 이야기 그리고 이 계절을 함께할 30개의 기타악보들 홍대 인디 뮤직의 아이콘 요조가 작가로서 ‘공식적’으로 선보이는 ‘첫 책’ [요조, 기타 등등]은 노래를 따라 이야기가 흘러가고, 그 노래들을 연주할 수 있는 기타악보가 이어지는, 꽤 특별하고 흥미로운 에세이집이다...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타인을 담아 내는 이석원의 섬세한 시선

일상 속에서 만났던 소중한 것들에 대한 이석원의 에세이. 저자의 담백한 문장들과 사진들이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가닿았을 때, 얼마나 부드러워지고 따스해지는지 느껴볼 수 있다. 타인을 함부로 판단하지 않고, 이석원만의 시선으로 이해해보려는, 섬세한 마음을 가득 담았다.

인생을 바꾸는 일상 기록의 힘

베스트셀러 『거인의 노트』로 기록의 중요성과 방법을 전한 대한민국 1호 기록학자 김익한 교수의 후속작이다. 일상 기록을 통해 인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한 달 단위 기록의 중요성부터 일상 기록 방법, 기록이 가져오는 삶의 변화를 각 장으로 나눠 정리해 알려준다.

원만하게 관계 맺기

관계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문요한 저자의 신작. 가족, 친구, 연인, 동료와 어색하거나 불화한 적이 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본인의 애착 유형, 경청과 자기돌봄 등 관계에서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개념을 임상 사례와 함께 친절히 알려준다. 판단의 언어에서 헤아림의 언어로 나아가보자.

단숨에 읽는 최소한의 서양미술사

미술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랐던 이들을 위한 미술 교양서. 미술 양식과 작품을 시대순으로 따라가며 인문학적으로 해설한다. 미술사에 숨겨진 인과관계는 미술사조와 작품 이해에 큰 도움이 되며, 방대한 양의 서양미술사가 원인과 결과로 이루어진 하나의 이야기임을 알려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