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아웃] 주인공 48세, 소설은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한다
한자(황정은): 저는 이 소설을 삶을 모험과 탐구로 겪어 낸 어느 여성의 이야기로 읽었어요. / 단호박: 압도되는 이야기였어요. (2024.06.13)
등록일: 2024.06.13
[책읽아웃] “기록은 세상을 조금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마중물” (G. 추적단 불꽃 원은지)
조금 더 피해자의 나은 선택지가 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었어요. 글을 쓰고 기사를 써서 그런 일을 할 수도 있지만, 만나고 같이 이야기도 듣고 피해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하는 걸 기자는 다 할 수 없으니 아웃리처로 살아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2024.06.13)
등록일: 2024.06.13
[젊은 작가 특집] 박서련 “정성껏 만든 책에는 재미가 깃든다”
‘한편’이라는 말을 꽤 자주 씁니다. 환기의 말이라서 좋아하나 봐요. 지나치게 많이 쓴다는 걸 의식해서 오히려 좀 덜 쓰려고 노력하기도 합니다. (2024.06.14)
등록일: 2024.06.12
[젊은 작가 특집] 단요 “분과를 가로지르며 하나로 결합시키는 책을 좋아해요”
나 자신이 어떤 구조 속에서 결정되는 존재임을 인식하는 데에 그치는 대신, 그 안에서 다시 영향력을 생성하는(권력을 행사하고 폭력을 행하는) 존재임을 받아들이고 그로 인한 결과를 똑바로 마주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여깁니다. (2024.06.14)
등록일: 2024.06.12
[젊은 작가 특집] 성해나 “내년까지는 장편소설을 완성하고 싶어요”
‘웃음’이라는 단어를 자주 써요. 웃음 속에는 충족만 어려 있진 않은 것 같아요. 희도 있고, 비도 있고, 뒤섞일 때도 있죠. 제 소설 속 웃는 사람들을 유심히 찾아주시길 바라요. (2024.06.14)
등록일: 2024.06.12
[젊은 작가 특집] 청예 “쉽게 읽히는가.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
모국어로 된 글을 읽었음에도 이해가 좌절되는 순간 책에게 느끼는 배신감은 상상 이상이다. 내 책을 읽는 독자님은 당신의 문해력과 상관없이 배신감을 느끼지 않았으면 한다. (2024.06.14)
등록일: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