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짜 넣는 노동] 마르크스의 자본을 공부하는
하나의 생산과정(노동과정이 곧 가치증식과정)을 마르크스가 두 개의 다른 ‘제목’으로 쓴 것이다.
글 : 출판사 제공 사진 : 출판사 제공
2019.05.10
작게
크게

메이데이 1.jpg

 

메이데이 2.jpg

 

메이데이 3.jpg

 

메이데이 3-1.jpg

 

메이데이 4.jpg

 

메이데이 5.jpg

 

메이데이 6-1.jpg

 

메이데이 7.jpg

 

메이데이 8.jpg

 

메이데이 9.jpg

 

 

 

 

 

 

노동과정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이 책   『생명을 짜 넣는 노동』  을 마무리하면서 저자 고병권은 ‘논전’이 시작되었음을 선포한다. 마르크스의 『자본』에서 주장과 항변 형식의 논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하나의 목소리와 또 하나의 목소리가 부딪치고 있다. 아직 전면화하지 않았지만 양쪽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한 목소리가 ‘잉여가치율’이나 ‘이윤율’이라 부르는 것을 다른 목소리는 ‘착취도’라고 부른다. 잉여노동의 시간을 ‘이윤’이라 부르는 사람과 ‘착취’라고 부르는 또 한 사람.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생명을 짜 넣는 노동고병권 저 | 천년의상상
아직 전면화하지 않았지만 양쪽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한 목소리가 ‘잉여가치율’이나 ‘이윤율’이라 부르는 것을 다른 목소리는 ‘착취도’라고 부른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생명을 짜 넣는 노동 #노동과정 #착취도 #이윤
0의 댓글

생명을 짜 넣는 노동

<고병권>

출판사 | 천년의상상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