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을 안방에 심은 송골매
송골매는 1978년 < TBC 해변가요제 >에 참가한 배철수 주도의 항공대 캠퍼스 밴드 ‘활주로’를 모태로 한다. 당시 멤버는 배철수, 이봉환, 지덕엽, 이응수였고 1980년에 「세상만사」가 수록된 첫 앨범을 발표해 인기를 얻었다.
2012.02.22
작게
크게
공유
서울 홍대의 클럽이나 공연장에서는 인디 밴드들의 약진을 발견할 수 있지만 아직 지난해 ‘나가수’나 ‘케이팝’과 같은 현상의 단계는 아니다. 젊은이들이나 주류의 대안 음악을 갈망하는 층에서만 관심을 모은다. 인디 음악의 주종이 록임을 감안할 때 이 말은 록이 현재 맘껏 피어난 상황은 아니라는 뜻이다.
인디 밴드가 설령 주류 미디어인 TV에 출연해도 아이돌 댄스그룹이나 가창력을 내세운 발라드 가수만큼 빠르게 대중적 화제를 흡수하지는 못한다. 여전히 대한민국 음악 판은 댄스와 발라드 틀 속에서 구동한다. 록은 잘 보이지 않는다. 록을 하는 팀이 있더라도 본격적인 수준이라기보다는 흉내 내는 정도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과거에는 어떠했는가. 한마디로 1980년대는 록의 시대였다. 아마도 개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록이 펄펄 살아있었기에 1980년대가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로 규정되는지도 모른다. 조용필, 윤수일, 김수철 등 당대를 대표하는 가수들부터 그 시절에는 각각 밴드 ‘위대한 탄생’, ‘윤수일밴드’, ‘작은 거인’과 함께 록을 주요 콘텐츠로 하는 밴드음악을 했다. 비록 그 시대에 들어와 이전의 폭발적인 사운드에서 서정적인 음악으로 기조가 달라지긴 했지만 3인조 형제 록밴드 ‘산울림’도 위풍당당했다. 대학가에선 쉴 새 없이 록밴드가 나왔다.
록은 주류에서 포효했다. 이 시기의 많은 록밴드 가운데 단연 손꼽히는 팀이 ‘송골매’일 것이다. 배철수와 구창모가 이끈 송골매는 공연무대나 야간업소에서도 맹활약했지만 TV에도 자주 모습을 비췄다. 당시 TV의 음악은 완전히 기성가수들의 것이었다. 10대와 20대들은 쉽게 텔레비전에 나올 수 없었다.
배철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송골매는 그런 풍토를 뚫고 TV에서 젊은이들의 정서를 대변했고 록으로 가장 대중적으로 팬들에게 다가선 그룹이다!” 이 얘기는 송골매와 같은 록밴드의 분발로 당시 TV 시청자들은 그 음악을 굳이 록이라고 목청 높여 말하지 않았을 뿐 일상적으로 록을 접했다는 말이다. 일반인들이 가장 자연스레 록을 많이 들었던 시절이 바로 1980년대였다.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록의 존재감에 의해 1980년대 중후반에는 ‘들국화’, ‘부활’, ‘시나위’, ‘백두산’과 같은 언더그라운드 록밴드도 출현하기에 이른다.
송골매는 1978년 < TBC 해변가요제 >에 참가한 배철수 주도의 항공대 캠퍼스 밴드 ‘활주로’를 모태로 한다. 당시 멤버는 배철수, 이봉환, 지덕엽, 이응수였고 1980년에 「세상만사」가 수록된 첫 앨범을 발표해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멤버들의 군대문제로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게 되자 배철수는 좀 더 큰 그림을 그리게 된다.
<해변가요제>에서 탁월한 연주력을 발휘해 자신의 활주로를 놀라게 했던 ‘블랙 테트라’(이들의 곡 「구름과 나」는 빅히트했다)가 생각났고 그들과 함께 음악을 해야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리하여 블랙 테트라의 멤버인 구창모, 김정선, 오승동이 합류하게 되었다. 당시 배철수의 판단과 결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악적 열정에 충만했던 그는 노래 잘하는 구창모와 발군의 연주솜씨를 자랑한 김정선과 오승동, 그들의 빼어난 실력이 절실했다.
그는 구창모에게 함께 해보자는 제의를 하기 위해 구창모가 있었던 오색약수터라는 암자를 찾아 산에 오르는 열의까지 보였다. 조금 과장하면 유비가 제갈량을 찾기 위한 ‘삼고초려’ 격이랄까. 리더 자리를 구창모와 나누어야 했지만 오로지 그의 관심사는 좋은 연주의 음악이었다. 구창모 역시 음악 욕심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았다. 마침내 배철수와 구창모의 의기투합이 성사되었다.
구창모는 당장 1982년 신년에 발표한 송골매 2집에서 능력을 뽐냈다. 송골매의 대표작이자 지금도 노래방의 애창 레퍼토리인 「어쩌다 마주친 그대」는 바로 구창모 작곡이다. 기타와 베이스로 구성한 이 곡의 전주 리프는 요즘 밴드들도 벤치마킹하는 ‘리프의 명작’으로 평가 받는다. 올해는 「어쩌다 마주친 그대」가 히트 3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배철수가 부른 「그대는, 나는」도 사랑받아 배철수의 위상은 여전했지만 그룹의 저울추는 이때부터 「모두 다 사랑하리’ 등 주요 곡을 부른 구창모로 기울었다. 김수철이 써준 이 곡으로 송골매는 록 밴드로는 드물게 < MBC 서울국제가요제 >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후에도「처음 본 순간」, 「빗물」, 「한줄기 빛」, 「난 정말 모르겠네」 등 그룹의 히트 퍼레이드는 계속되었다. 송골매는 CF 모델로도 분했고 대학생 소재의 영화에도 출연하는 등 청춘의 아이콘으로 솟아올랐다. 하지만 순항하던 그룹은 4집을 끝으로 구창모의 탈퇴라는 쇼크를 당하면서 좌초의 위기를 맞는다. 솔로의 가능성을 높게 점친 제작자들의 끝없는 섭외로 구창모가 솔로독립에 나선 것이다.
솔로 구창모는 「희나리」, 「아픔만큼 성숙해지고」, 「문을 열어」 등을 연속 히트시키며 당대 최고의 가수로 부상했다. 배철수는 팀을 추슬러 같은 해 「하늘나라 우리 님」으로 가요 톱10의 정상에 오르는 등 위신을 지켰지만 그것으로 전성기는 끝이었다. 6집부터 9집까지의 앨범은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1990년에 발표한 9집에서 「모여라」가 잠시 화제를 모았을 뿐이다. 배철수가 그해 MBC 라디오의 디스크자키로 변신하면서 사실상 송골매는 역사 속으로 들어갔다.
송골매를 회고하면서 젊은이들의 힘찬 연주와 개성을 내세운 음악, 그 로큰롤이 주류 미디어에서 힘쓰지 못하는 요즘의 현실이 개탄스럽다. 록이 부재하다는 것은 역으로 현재의 주류 음악이 가수마다 그룹마다 개성적이지 못하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올해는 인디 밴드를 비롯해 록 음악이 분전하는 한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록의 활기는 다름 아닌 청년문화의 외침이기 때문이다.
`
인디 밴드가 설령 주류 미디어인 TV에 출연해도 아이돌 댄스그룹이나 가창력을 내세운 발라드 가수만큼 빠르게 대중적 화제를 흡수하지는 못한다. 여전히 대한민국 음악 판은 댄스와 발라드 틀 속에서 구동한다. 록은 잘 보이지 않는다. 록을 하는 팀이 있더라도 본격적인 수준이라기보다는 흉내 내는 정도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과거에는 어떠했는가. 한마디로 1980년대는 록의 시대였다. 아마도 개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록이 펄펄 살아있었기에 1980년대가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로 규정되는지도 모른다. 조용필, 윤수일, 김수철 등 당대를 대표하는 가수들부터 그 시절에는 각각 밴드 ‘위대한 탄생’, ‘윤수일밴드’, ‘작은 거인’과 함께 록을 주요 콘텐츠로 하는 밴드음악을 했다. 비록 그 시대에 들어와 이전의 폭발적인 사운드에서 서정적인 음악으로 기조가 달라지긴 했지만 3인조 형제 록밴드 ‘산울림’도 위풍당당했다. 대학가에선 쉴 새 없이 록밴드가 나왔다.
록은 주류에서 포효했다. 이 시기의 많은 록밴드 가운데 단연 손꼽히는 팀이 ‘송골매’일 것이다. 배철수와 구창모가 이끈 송골매는 공연무대나 야간업소에서도 맹활약했지만 TV에도 자주 모습을 비췄다. 당시 TV의 음악은 완전히 기성가수들의 것이었다. 10대와 20대들은 쉽게 텔레비전에 나올 수 없었다.
|
배철수는 이렇게 설명한다. “송골매는 그런 풍토를 뚫고 TV에서 젊은이들의 정서를 대변했고 록으로 가장 대중적으로 팬들에게 다가선 그룹이다!” 이 얘기는 송골매와 같은 록밴드의 분발로 당시 TV 시청자들은 그 음악을 굳이 록이라고 목청 높여 말하지 않았을 뿐 일상적으로 록을 접했다는 말이다. 일반인들이 가장 자연스레 록을 많이 들었던 시절이 바로 1980년대였다.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록의 존재감에 의해 1980년대 중후반에는 ‘들국화’, ‘부활’, ‘시나위’, ‘백두산’과 같은 언더그라운드 록밴드도 출현하기에 이른다.
송골매는 1978년 < TBC 해변가요제 >에 참가한 배철수 주도의 항공대 캠퍼스 밴드 ‘활주로’를 모태로 한다. 당시 멤버는 배철수, 이봉환, 지덕엽, 이응수였고 1980년에 「세상만사」가 수록된 첫 앨범을 발표해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멤버들의 군대문제로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게 되자 배철수는 좀 더 큰 그림을 그리게 된다.
<해변가요제>에서 탁월한 연주력을 발휘해 자신의 활주로를 놀라게 했던 ‘블랙 테트라’(이들의 곡 「구름과 나」는 빅히트했다)가 생각났고 그들과 함께 음악을 해야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리하여 블랙 테트라의 멤버인 구창모, 김정선, 오승동이 합류하게 되었다. 당시 배철수의 판단과 결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음악적 열정에 충만했던 그는 노래 잘하는 구창모와 발군의 연주솜씨를 자랑한 김정선과 오승동, 그들의 빼어난 실력이 절실했다.
|
그는 구창모에게 함께 해보자는 제의를 하기 위해 구창모가 있었던 오색약수터라는 암자를 찾아 산에 오르는 열의까지 보였다. 조금 과장하면 유비가 제갈량을 찾기 위한 ‘삼고초려’ 격이랄까. 리더 자리를 구창모와 나누어야 했지만 오로지 그의 관심사는 좋은 연주의 음악이었다. 구창모 역시 음악 욕심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았다. 마침내 배철수와 구창모의 의기투합이 성사되었다.
구창모는 당장 1982년 신년에 발표한 송골매 2집에서 능력을 뽐냈다. 송골매의 대표작이자 지금도 노래방의 애창 레퍼토리인 「어쩌다 마주친 그대」는 바로 구창모 작곡이다. 기타와 베이스로 구성한 이 곡의 전주 리프는 요즘 밴드들도 벤치마킹하는 ‘리프의 명작’으로 평가 받는다. 올해는 「어쩌다 마주친 그대」가 히트 3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배철수가 부른 「그대는, 나는」도 사랑받아 배철수의 위상은 여전했지만 그룹의 저울추는 이때부터 「모두 다 사랑하리’ 등 주요 곡을 부른 구창모로 기울었다. 김수철이 써준 이 곡으로 송골매는 록 밴드로는 드물게 < MBC 서울국제가요제 >에 출전하기도 했다.
|
이후에도「처음 본 순간」, 「빗물」, 「한줄기 빛」, 「난 정말 모르겠네」 등 그룹의 히트 퍼레이드는 계속되었다. 송골매는 CF 모델로도 분했고 대학생 소재의 영화에도 출연하는 등 청춘의 아이콘으로 솟아올랐다. 하지만 순항하던 그룹은 4집을 끝으로 구창모의 탈퇴라는 쇼크를 당하면서 좌초의 위기를 맞는다. 솔로의 가능성을 높게 점친 제작자들의 끝없는 섭외로 구창모가 솔로독립에 나선 것이다.
솔로 구창모는 「희나리」, 「아픔만큼 성숙해지고」, 「문을 열어」 등을 연속 히트시키며 당대 최고의 가수로 부상했다. 배철수는 팀을 추슬러 같은 해 「하늘나라 우리 님」으로 가요 톱10의 정상에 오르는 등 위신을 지켰지만 그것으로 전성기는 끝이었다. 6집부터 9집까지의 앨범은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1990년에 발표한 9집에서 「모여라」가 잠시 화제를 모았을 뿐이다. 배철수가 그해 MBC 라디오의 디스크자키로 변신하면서 사실상 송골매는 역사 속으로 들어갔다.
|
송골매를 회고하면서 젊은이들의 힘찬 연주와 개성을 내세운 음악, 그 로큰롤이 주류 미디어에서 힘쓰지 못하는 요즘의 현실이 개탄스럽다. 록이 부재하다는 것은 역으로 현재의 주류 음악이 가수마다 그룹마다 개성적이지 못하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올해는 인디 밴드를 비롯해 록 음악이 분전하는 한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록의 활기는 다름 아닌 청년문화의 외침이기 때문이다.
`
|
글 / 임진모(jjinmoo.izm.co.kr)
36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ttao21
2023.07.14
marypark91
2023.07.14
신청인원 1명
nuri1206
2023.07.13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