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처음에는 꼼짝없이 침대에 누워서 지내야 했는데, 어머니가 목수에게 부탁해 누운 채로도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이젤을 만들어 주었다
2010.05.04
|
마틸데 칼로(Matilde Kahlo)
결혼 전 성은 칼데론(Calderon)
프리다 칼로는 열여덟 살 때 끔찍한 교통사고를 겪었고, 그 후 치료를 위해 자주 입원해야 했다. 처음에는 꼼짝없이 침대에 누워서 지내야 했는데, 어머니가 목수에게 부탁해 누운 채로도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이젤을 만들어 주었다. 이후로 평생 동안 그녀는 자신의 삶을 묘사하는 그림들을 그리게 되었다. “나는 나 자신을 그린다. 자주 외롭고, 또 내가 가장 잘 아는 주제가 나이기 때문이다.”
그녀가 그린 특이한 가계도는 그녀의 출신 배경을 잘 보여 준다. 그림 아래쪽 한가운데 그려진 어린 프리다는 멕시코시티의 코요아칸에 있는 자기 집 뜰에 서 있다. 그녀는 이 파란 집에서 태어나 죽었고, 이제 그 집은 그녀의 작품들을 보존하는 박물관이 되었다. 부모님의 모습은 그들의 결혼사진을 보고 그린 것이다. 프리다가 들고 있는 붉은 리본 중 한쪽은 아버지를 빙 둘러 올라가 아버지의 부모님에게 닿는데, 이들은 독일 출신으로 그들이 건너온 바다 위쪽에 그려져 있다. 리본의 다른 쪽은 어머니를 빙 둘러 올라가 어머니의 부모님에게 닿는데, 이들은 험한 산과 멕시코 특유의 선인장 들판 위쪽에 그려져 있다. 어머니의 허리띠에는 탯줄로 연결된 태아로서의 프리다가, 그리고 그 아래쪽에는 수태 장면이 꽃가루받이하는 선인장과 나란히 그려져 있다.
마틸데 칼로는 수녀원에서 자란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아주 엄격했다. “어머니는 종교에 대해 히스테리컬했다. 우리는 식사를 할 때마다 기도를 해야 했다”고 프리다는 회고했다. 어머니는 딸의 결혼 상대가 부유하지만 추하고 불신자일 뿐 아니라 공산주의자인 디에고 리베라인 것을 아주 못마땅하게 여겼다.
결혼사진을 바탕으로 한 부모의 초상은 그녀가 자신의 가계를 강조하는 다른 작품들에서도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가장 충격적인 것은 자기가 태어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인데, 이것은 아마도 어머니가 돌아가시던 무렵의 작품인 듯 어머니는 흰 천에 덮인 모습이다. 장면 전체는 출산하는 여신을 새긴 아즈텍 조각과도 비슷한 동시에, 비탄에 잠긴 성모 마리아, 즉 마테르 돌로로사(mater dolorosa)의 이미지에 지배되고 있다.
프리다 칼로는 자신의 출생 연도를 실제보다 3년 후인 1910년이라고 주장하곤 했다. 1910년은 멕시코 혁명이 일어난 해였다.
※ 운영자가 알립니다
<어머니를 그리다>는 매주 수요일, 총 10회 연재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9개의 댓글
추천 기사
추천 상품
필자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prognose
2012.03.31
앙ㅋ
2012.03.30
샤랄라
2010.05.14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