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국어 공부] 아름다운 시로 다시 시작하는 국어 공부
한국 근현대사의 대표 시 감상, 그 속에 숨은 우리말의 원리를 찾아보는 재미
글ㆍ사진 출판사 제공
2021.12.14
작게
크게


시인은 자신이 품고 있는 시상을 표현하기 위해 국어사전에 들어 있는 수많은 단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시어를 선택한다. 그런데 이들을 어떻게 엮어서 하나의 완성된 생각을 만들어 냈을까? 다른 말로 하면 시인이 어떻게 이들 단어들을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여 자신의 시상을 품어 내도록 만들었을까. 거기에 쓰인 것이 바로 '문법'이라고 불리는 원리이다. 문법은 단어를 엮어 의미를 만들어내는 규칙인 것이다.

시를 쓰는 사람이 아닌 우리가 구태여 문법을 배워야 하는 이유, 그 첫째는 언어의 기본 원리를 터득해 정확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좀 더 수준 높은 언어생활을 하기 위해 문법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둘째는 수준 높은 글쓰기 능력을 익히기 위해서이다. 문법을 알면 새로운 단어를 활용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뜻을 한없이 표현해 낼 수 있다. 문법을 알면 다음은 어휘력을 익히면 된다. 하지만 한국어는 여느 언어보다 문법이 까다로워 공부하기가 만만치 않다. 『시로 국어 공부 : 문법편』에서 시를 통해 문법을 배운다면 문법 공부의 딱딱함이나 고루함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시로 국어 공부 : 문법편
시로 국어 공부 : 문법편
남영신 저
마리북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 예스24 # 카드뉴스 #시로국어공부 #국어 #국어공부 #문법
0의 댓글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Writer Avatar

남영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세종국어문화원장(전), (사)국어문화운동본부 이사장(현)으로 있다. 평생을 바른 우리 말글 쓰기를 위해 앞장서서 일해 왔다. 토박이말에 어떤 말이 있는지 궁금해서 국어사전을 찾아보았는데 토박이말을 찾기는 마치 쌀에서 뉘를 찾는 것과 같았다. ‘돌살’, ‘마상이’, ‘추임새’같이 우리 문화와 관련된 말은 없는데, 대부분 한자어인 데다가 일본인 이름과 일본 지명이 길게 풀이되어 있었다. 우리말을 살려야겠다는 생각에 토박이말을 모아 사람들이 찾아 쓰기 쉽도록 분류하여 1987년 『우리말 분류 사전』을 펴냈다. 이 사전은 그 뒤에 토박이말이 모든 국어사전에 오르게 된 바탕이 되었다. 그러고 나서 많은 사람들이 막연하게 낱말을 이해하고 씀으로써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는 점에 눈을 돌렸다. ‘낱말 뜻을 정확하게 알고, 상황에 가장 알맞은 말을 골라, 낱말 표기를 정확하게 하고 국어 문법에 맞게 쓰자.’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삼아 공무원과 기자 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한 달에 한 번 시민들과 함께 우리말 바로쓰기 공부를 계속해 오고 있다. 『우리말 분류 사전』(1987) 『우리말 용례 사전』(1995) 『ㅎㆍㄴ+국어 대사전』(2008) 같은 사전들을 엮었고,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2001) 『나의 한국어 바로쓰기 노트』(2002) 『국어 한무릎공부』(2005) 『기자를 위한 신문 언어 길잡이』(2014) 『글쓰기는 주제다』(2014) 『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2017) 같은 책들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