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의 한 장면
슈퍼히어로가 극장가에서 인기 장르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는 현재와 다르게 1980년대는 미지의 존재와 모험과 공포가 결합한 ‘서스펜스 액션 어드벤처’의 시대였다. 스티븐 스필버그는 인간 친화적인 외계인이 등장하는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는 이 시리즈가 지닌 초월의 힘이 일종의 ‘연대’에 있음을 보여주는 신작이다. 트레버(핀 울프헤드)와 피비(맥케나 그레이스) 남매는 할아버지가 유산으로 남긴 시골집으로 이사 온다. 대낮에도 빛이 잘 들지 않아 유령의 집과도 흡사한 이 집에 들어오면서 남매는 이상한 일을 겪는다.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의 신호를 따라 트레버는 창고에서 먼지를 뒤집어쓴 자동차 ‘엑토-1’을 발견하고, 피비는 양성자 광선의 ‘프로튼 팩’을 발견한다. 과연 이게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궁금하던 차 피비는 유령 ‘먹깨비’를 발견한다.
트레버가 엑토-1을 몰고 피비가 프로튼 팩을 발사해 먹깨비를 포획하는 데 성공한 남매는 이들 무기가 37년 전 뉴욕에 출몰한 유령을 물리쳤던 고스트 버스터즈 멤버의 것이라는 걸 알게 된다. 당시의 유령들이 이곳 시골 마을에 나타났다! 과자 봉지를 뚫고 ‘마시멜로 맨’들이 하나둘 나타나 동네 월마트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뿔 달린 사악한 유령 ‘테러 독’이 부활을 꿈꾸는 고저 왕국을 지키겠다고 마을을 위협에 빠뜨린다. 트레버와 피비, 그리고 피비의 친구 팟캐스트(로건 킴)와 트레버와 썸을 타는 럭키(클레스터 오코너)가 ‘라이징’ 고스트 버스터즈가 되어 이에 맞선다.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의 제이슨 라이트먼 감독은 <툴리>(2018) <인 디 에어>(2010) <주노>(2008) 등의 연출자로 유명하다. 이들 작품은 인생의 위기를 맞은 주인공을 내세워 극복하는 과정에 의미를 부여하며 삶의 긍정성을 부각한 저예산의 작품이었다. 블록버스터와 거리가 있는 작품을 만들었던 제이슨 라이트먼이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의 메가폰을 잡은 건 <고스트 버스터즈>가 특별한 의미를 담은 작품이라서다. 제이슨 라이트먼의 아버지는 이반 라이트먼이고, 이반 라이트먼은 <고스트 버스터즈>와 <고스트 버스터즈 2>(1989)를 연출한 감독이다.
이반 라이트먼과 제이슨 라이트먼은 이번 작품에서 부자(父子) 관계를 초월해 각각 제작자와 감독으로 호흡을 맞췄다. “농장에서 프로톤 팩을 찾은 열두 살 소녀가 떠올랐다. 이 소녀가 이곤 스펭글러의 손녀로 나오면 어떨까?’ 이것이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였다.” 아들 제이슨 라이트먼이 영화의 아이디어를 공유하자 이반 라이트먼은 감정이 흔들렸다. “시나리오를 처음 읽고는 울고 말았다. 스케일이 큰 영화로 자신의 비전을 실현하겠다는 생각, 세상을 구원한다는 보다 큰 콘셉트로 가족애를 구현한다는 설정이 감동적이었다.”
영화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 공식 포스터
이반 라이트먼이 언급한 ‘가족애’는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에서 핏줄의 의미를 넘어 결이 다양하다. 라이트먼 부자의 협업은 이미 언급했고, 극 중 원년 멤버의 손녀와 손자가 임무를 물려받는다는 설정의 이번 영화는 ‘고스트 버스터즈’를 매개로 세대와 세대가 손을 잡고 연대의 역사를 이어간다는 보다 확장된 통합의 개념으로 나아간다. 팬이라면 피비가 쓴 둥근 안경의 형태를 통해 이들 남매가 원년 고스트 버스터즈 멤버 중 이곤 스팽글러의 손자와 손녀라는 사실을 눈치챌 수 있다.
이곤 스팽글러 역의 해롤드 래미스는 2014년 7월 희귀 혈관질환으로 사망했다. 해롤드 래미스는 이골 스팽글러 연기는 물론 각본가로도 참여해 <고스트 버스터즈>가 세상에 나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이슨 라이트먼이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의 아이디어를 떠올린 건 해롤드 래미스의 사망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는 <고스트 버스터즈>의 리부트이면서 해롤드 래미스를 기리는 의미도 담고 있다. 그래서 극 중 유령은 고스트 버스터즈 멤버들이 포획해야 하는 빌런의 역할 뿐 아니라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초월한 존재이기도 하다.
국내 제목과 다르게 원작의 부제는 사후의 생명을 뜻하는 ‘애프터라이프 Afterlife’이다. 해롤드 래미스는 더는 영화에 출연할 수 없지만, 사후의 세계에서 어떤 형태가 됐든 <고스트 버스터즈 라이즈>와 함께하지 않을까, 라는 의도가 담긴 원제처럼 이 영화의 결말은 주인공들이 악한 유령을 물리치고 맞이하는 해피엔딩과는 다른 차원의 감동을 선사한다. 원년 멤버와 라이징 멤버, 피를 나눈 가족과 가족 같은 동료, 성과 세대와 인종과 이승과 저승 등 모든 경계를 넘어선 초월과 연대의 가족애가, 아들이 쓴 시나리오를 본 이반 라이트먼이 그랬듯 눈시울을 뜨겁게 적신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Writer Avatar](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8/e/b/9/8eb9815e842b742c777b4dd5c195a3be.png)
허남웅(영화평론가)
영화에 대해 글을 쓰고 말을 한다. 요즘에는 동생 허남준이 거기에 대해 그림도 그려준다. 영화를 영화에만 머물게 하지 않으려고 다양한 시선으로 접근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클레어
202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