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재미를 느낀 때는 언제부터였나요?
‘신경질이 많고, 식은 땀을 흘리고, 배가 자주 아프고, 오줌 싸는 아이들’을 위한 허약 체질 개선제를 입에 달고 살았던 유년기부터였습니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았는데, 책꽂이에 있는 세 살 터울 언니의 전집 중에서 유독 『삼국지』 , 『로빈슨 크루소』 ,『기암성』 , 『걸리버 여행기』 같은 호방한 모험기만 수십 번 반복해 읽거나 국어사전을 가지고 놀았어요. 국어사전을 펼칠 때면 늘 작은 흥분이 일었거든요. 아무 데나 펼쳐서 한 장 한 장 사전을 넘겨보면 가슴이 뛰고 우와우와 소리가 절로 났죠. 모르는 단어를 새로이 알게 될 때 암실에서 손을 더듬거리다가 문을 활짝 여는 것처럼 머리가 개운하게 느껴졌어요.
독서는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되는 대로 살고 싶지 않다면, 어떤 식으로든 내 삶을 일정한 방향으로 끌고 가고자 한다면 자기 생각의 주인이 되려고 노력해야겠죠. 우리 머릿속에는 알게 모르게 뿌리내린 당위, 고정관념, 관성적 생각이 아주 많으니까요. 독서는 나의 생각, 느낌, 소망이 어떻게 생겨났고, 어디에서부터 왔는지 알게 하는데 큰 도움을 줘요. 책을 읽을 때는 혼자 고요함 속으로 빠져들지만, 그것이 결코 ‘고립’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오히려 고립에서 벗어나 타자와 ‘연결’되는 시간이죠. 세상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우기 위해, 타인의 입장이 되어 보는 상상력을 발휘하기 위해 책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요즘 저자님의 관심사는 무엇이며 그 관심사와 관계하여 읽을 계획인 책이 있나요?
왜 사람들이 미술관에서 그림을 볼 때 자기 느낌을 발언하는 것을 유독 두려워하는지 궁금합니다. 작품과 마주쳐서 자기 안에서 피어 오르는 느낌에 집중하고 그것을 포착하기 보다는 사전에 지식을 많이 쌓아야 미술 작품 앞에 섰을 때 이해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이렇게나 많은 이유가 뭘까 고민하고 있어요. 『동물원이 된 미술관』 , 『느낌의 미술관』 을 읽었고 『예술은 어떻게 거짓이자 진실인가?』 , 『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 『취향의 정치학』을 읽으려고 구입해두었습니다.
저자님의 최근작과 관련하여, 독자들에게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북유럽 그림이 건네는 말』 을 읽으실 독자분들께 한국현대미술가 최정화 작가님이 하신 이 말씀을 전하고 싶네요. “Your Heart is My Art. 당신의 생각이 올바릅니다. 자신감만 가지세요. 미술사도 필요 없고, 설명서도 필요 없고, 현재 당신이 느끼는 그것을 기념합시다.”
명사의 추천
몸의 일기
다니엘 페나크 저 | 문학과지성사
이 소설은 한 아버지가 평생 동안 몰래 써온 일기장을 딸에게 남겼다는 설정에서 시작합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딸에게 도착한 일기장에는 아버지의 유년기부터 죽음을 맞이한 80대까지의 몸의 변화가 기록되어 있죠. 일기라고 하면 흔히 떠올리는 내면 일기가 아니라 오로지 몸에 관한 일기입니다. 독자는 순식간의 그의 일기장 안으로 초대받아 80여 년의 시간을 통과해 낸 한 남자의 육체, 그 미약한 시작에서부터 터질듯한 절정의 생명력과 쇠락의 애잔함까지 경험하게 됩니다. 저는 남자가 아니고, 몽정을 경험해보지도 않았고, 전립선이 비대해져서 방광을 누르는 느낌이 무엇인지 모르는데도 책을 읽는 내내 셀 수 없을 만큼 여러 번 공감했고, 탄식했고, 뭉클했습니다. 신체 기관이 보내주는 신호, 그러니까 오감을 포착해 언어화하는 재능에 질투를 느꼈어요. 이런 글을 쓸 수 있다면 여한이 없을 것 같아요.
다른 방식으로 보기
존 버거 저/최민 역 | 열화당
미술사가 가르쳐주는 '정론'을 잘 흡수하는 것이 제대로 된 예술 감상이라고 믿었던 때가 있었어요. 하지만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 를 읽은 후에는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결코 그림을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내가 누구의 시선으로 아름다움과 아름답지 않음을 판단하고 있었는가 자문하고 각성하는 계기가 되어준 최초의 책이었습니다.
여자를 바라보는 남자를 바라보는 한 여자
시리 허스트베트 저/김선형 역 | 뮤진트리
시리 허스트베트는 제가 최근 가장 맹렬하게 읽고 있는 작가입니다. 미술관에서 그림과 마주할 때 제 안에서 벌어지는 작용의 정체를 정확하고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 책입니다. 젠더 렌즈로 미술사, 미술계를 바라볼 때 어떤 해방감과 지적 쾌감이 느껴지는지 알려준 책이기도 하죠. 무엇보다 '우리는 사실에 입각한 외부의 현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과거에 정립된 패턴들을 통해 우리가 바라보는 것을 능동적으로 창출한다. 이런 학습된 패턴은 자동적이다 못해 무의식에 가깝다. 다른 말로 하면, 우리는 우리의 과거를 동반해 미술작품에 접근한다' 같은 빛나는 사유가 책 곳곳에 숨어 있어요.
리스본행 야간열차
파스칼 메르시어 (페터 비에리) 저/전은경 역 | 들녘
『자기결정』 , 『삶의 격』 등 페터 비에리가 쓴 철학서도 무척 좋아하지만, 그가 쓴 소설 『리스본행 야간열차』 를 가장 좋아해요. 감정을 언어로 번역하려는 시도가 얼마만큼 섬세해질 수 있는지, 뭉툭하게 덩어리진 생각을 어디까지 쪼개어 펼쳐낼 수 있는지 보여주거든요. 미학성을 추구한 결과라기보다는 촘촘한 사유의 결과로 보여지는 아름다운 문장도 너무나 매력적이고요, 무언가를 찾아나선 여행자에 감정이입해 낯선 이국과 낯선 생각의 지평을 마구 헤매고 다닐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입니다.
다시 태어나다
수전 손택 저/김선형 역 | 이후
제 글쓰기의 시작, 뿌리, 시초, 밑바닥, 원천, 그러니까 제 글쓰기의 가장 처음은 일기였어요. 열여덟 살 때부터 쓰기 시작한 일기가 없었다면 저는 글 쓰는 방법을 영영 터득하지 못했을 거예요. 그래서인지 작가들이 남긴 일기장을 출간한 책이 있으면 무조건 구입해 읽는 편입니다. 이 책은 수전 손택이 남긴 백여 권의 일기 중 청년 시절이라 할 수 있는 1947년(14세)~1963년(30세)까지의 일기를 묶은 책입니다. 일기에는 오락가락하는 감정, 크고 작은 사건은 물론 손택이 본 영화, 오페라, 연극, 읽은 책, 읽어야 할 책, 머릿속을 떠다니는 소설 아이디어 등도 기록되어 있어요. 쉼 없이 읽고 보고 듣고 느끼고 썼으며, 자신에게 조금의 흔적이라도 남긴 모든 것을 기록했죠. 집요한 기록에의 의지를 닮고 싶어서 책상 가장 가까운 곳에 이 책을 꽂아둡니다.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