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에서 날 기다리는 『빨강머리 앤』
글ㆍ사진 채널예스
2007.04.05
작게
크게


작가 이름과 제목 그리고 디자인만 봐도 ‘이건 재밌는 책이 분명해!!’라며 확신에 가득 차 구입한 책이 늘어나는 만큼, 읽지 못하고 점점 쌓여가는 책도 늘어가는 듯합니다.

전에도 한 번 쓴 것 같지만, 책장에 있는 책 중 읽지 못한 책이 1/3쯤 되는 걸 보면서 “아, 이건 분명히 집착이자 낭비야. 다음부턴 제발 충동구매 좀 자제하자!!”라며 심각하게 고민한 적이 있습니다만, 하루키의 에세이집을 읽으며 하루키도 똑같은 고민을 하지만 늘어나는 책은 자신의 의지로는 어쩔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글을 보곤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맘에 드는 신간 서적을 열심히 찾았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듯 사놓고 못 읽는 책은 서머셋 몸의 ‘면도칼에도 철학이 있다’라는 말처럼 한 권 한 권 나름대로 이유와 사정을 지니고 있습니다만, 정말 읽고 싶어 샀지만 방대한 양에 손을 대지 못하는 책이 있으니 바로 로시 모드 몽고메리의 『빨강머리 앤』입니다.

사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도 100번쯤 졸고 200번쯤 하품하고 400번쯤 기지개를 켜며 불굴의 의지로 완독했고, 도스토예프스키 전집은 두 달 가까이 방에만 틀어박혀 한 장 한 장 정성스레 넘겨가며 경탄에 경탄을 거듭했던 적도 있습니다만, 역시 생활 사이클의 여유가 넘칠 때나 가능했던 일이고 지금의 생활 사이클에서 10권이 넘는 책에 손을 댄다는 게 생각처럼 쉽지가 않네요.

어렸을 때 미야자키 하야오가 연출하고 다카하타 이사오가 감독한 <빨강머리 앤>을 보면서 즐거워했던 기억에 선뜻 구입한 완역판이지만 먼지만 쌓여가는 것 같아서 안타까울 뿐입니다. 대리독서기계라도 생겨서 대신 독서를 해주고 메모리 칩 같은 걸 이용해 제 머릿속에 넣어준다면 정신없이 바쁠 때도 보고 싶었던 책을 맘껏 머릿속에 넣을 수 있겠지만 역시나 한 장 한 장 읽어가며 상상하고 감동하는 시간적인 행복만큼은 전달해 줄 수 없겠죠.

어서 바쁜 일을 마무리하고 『빨강머리 앤』을 읽고 싶습니다.

빨강머리 앤
루시 모드 몽고메리 저/김유경 역 | 동서문화사(고정일)

저자 몽고메리가 30살 때부터 쓴 『빨간 머리 앤』은 아름다운 섬의 자연을 배경으로 모두 10권의 앤 시리즈가 있다. 어릴 때 부모를 잃고, 11살 때 고아원에서 그린게이블즈의 매슈와 머릴러 남매에게 맡겨진 앤. 작은 일에도 기쁨을 느끼는 천재이자 뛰어난 상상력과 명랑한 수다로 주위를 매료시키는 빨강머리 앤이 소녀에서 아가씨로, 부인이 되기 까지의 이야기는 어른들에게도 어렸을 때에 읽은 동화에 대한 향수를 강하게 불러 일으키는 생동감있는 작품이다.
79의 댓글
User Avatar

djatjsgk114

2020.01.27

1명 신청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막 대학교 2학년이 되는 21살 여대생입니다.

tv드라마 학교 2013에 나온 풀꽃을 14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들었습니다. 저 시인은 어떤 사람이길래 이리도 담담하게 사랑을 고백하나 궁금했습니다. '나태주'라는 시인의 이름과 '풀꽃'이라는 시에서 오는 느낌이 너무 젊고 풋풋해서 시인님의 사진을 봤을때는 놀라운 마음이 컸습니다. 사랑을 담아내는 표현들이 너무 예뻐서, '나중에 내가 나이가 먹으면 나도 저런 감정을 가지고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시인님의 신간이 나오면 꼭 한권씩 구입하여 한장 두장 곱씹으며 읽는게 자연스러워졌습니다. 장문의 글과는 다르게 해석하는 재미와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재미도 쏠쏠하구요!

시는 저에게 친구이자 선생님이자 동생..같은 존재입니다. 함께 웃고 울고, 천진난만한 단어로 기쁘게도 해주는.

꼭 강연에 초청되어 1월 31일, 시와 함께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만쥬

2020.01.27

2명 신청합니다.

살다가 힘들 때, 누구나 한 번쯤 돌아보게 되는 매력이 있는 글을 쓴다는 건 아주 반짝이는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나태주 시인님이 그런 분이 아닌가 싶네요.
답글
0
0
User Avatar

minky98

2020.01.26

1인 신청합니다!

고등학생 때 사는 일이라는 시를 통해 나태주 시인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가족사진, 꽃그늘 등 좋아하는 시들이 더 많아진만큼 시인이 더 좋아진 거 같아요! 문학을 좋아하고 더 좋아하게 되고 싶습니다 꼭 목소리 듣고 힘받고 싶어요!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마르셀 프루스트> 저/<김창석> 역

ANNE 앤 세트 개정판

<루시 모드 몽고메리> 저/<김유경> 역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Writer Avatar

루시 모드 몽고메리

자신을 닮은 사랑스러운 캐릭터 ‘앤’의 이야기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작가. 캐나다 여성 최초로 문학예술왕립학회 회원이 되었고, 대영제국 훈장(OBE)을 받았다. 유명한 『빨간 머리 앤』의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1874년 캐나다 동부 지역인 프린스 에드워드 섬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는 그녀가 남긴 일기, 원고 등이 있는데, 그녀의 생가는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캐나다 세인트로렌스 만에 위치한 프린스에드워드 섬에서 나고 자랐다. 생후 21개월만에 어머니를 잃고 캐번디시에서 우체국을 경영하는 외조부모의 손에 맡겨져 자랐는데,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뛰놀며 섬세한 감수성과 작가적 재능을 키웠다. 아버지는 재혼하여 서부로 떠났다.‘앤’ 이야기 속 이 시골 마을에서 몽고메리는 앤과 같은 감수성을 키우고 지역 신문에 시를 발표하며 작가로서 재능을 키워갔다. 서정적인 묘사와 표현들은 이때의 경험에 기반한 것이다. 10세부터 창작을 시작하였으며, 15세 되던 해에는 샐럿타운 신문인 [패트리어트]에 시 「케이프 르포르스 위에서」가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샬럿타운에 있는 프린스 오브 웨일스 대학과 핼리팩스에 있는 댈하우지 대학에서 공부한 후 교사가 되었으나, 스물네 살 때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외할머니를 위해 캐번디시로 돌아와 우체국 일을 도왔다. 틈틈이 글을 써 잡지에 시와 소설을 발표했으며 신문 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18개월 만에 완성한 『빨간 머리 앤』 원고를 여러 출판사에 보냈지만 거절당하고, 2년 뒤 다시 수정해 보스턴 출판사에 보내 비로소 출간했다. 열한 살에 우연히 이웃 독신 남매의 집에 어린 조카딸이 와서 사는 것을 보고 짧은 글을 썼던 것이 훗날 『빨강 머리 앤』의 모티브가 되었다. 재혼한 아버지와 잠시 함께 살았지만, 계모와의 불화와 향수병으로 캐번디시로 돌아왔다. 1908년에 출간된 『빨강머리 앤』의 희망적이고 명랑한 고아 여자아이의 성장 이야기는 캐나다 독자들의 열렬한 호응을 얻었다. 이듬해인 1908년 미국에서 출간된 후 세계적인 인기를 끌어서 『에이번리의 앤』, 『레드먼드의 앤』 등 10여 편의 속편을 발표했다. 1911년에 외할머니가 돌아가시자 약혼자였던 이완 맥도널드 목사와 결혼한 뒤, 작가로 활동하며 1935년에는 대영제국 훈장을 받기도 했다. 1941년 몽고메리는 약물에 의존해야 할 정도로 건강이 극도로 악화되었고, 1942년 토론토의 저택에서 68세로 세상으로 떠났다.작품은 향토를 무대로 하여 순진한 소녀가 인생 행로를 걸어가며 꺾이지 않고 성장해 가는 과정을 그린 청춘 소설인 동시에 가정 소설을 많이 썼다. 1942년 68세에 세상을 떠난 그녀는 생전에 20여 권의 소설과 2권의 시집을 남겼으며, 2009년에는 그녀의 아들이 단편과 시를 묶어 『블라이스가의 단편들』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