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보이' 해부하기 - 『올드보이』
2004.11.23


이미 DVD가 나온 지도 오래 되었으니, 모든 수수께끼를 풀어놔보자. 오대수가 연금된 이유는, 혀를 잘못 놀렸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시절, 이우진의 누나가 누군가와 정사를 하는 장면을 보고, 그것을 무심코 친구에게 말한 것이다. 오대수는 그 상대가 이우진이라는 것도 몰랐다. 이우진의 누나는 그런 소문이 퍼지자 자살을 한다. 근친상간을 했던 그들은, 거대한 죄의식에 침윤되어 있었다. 우진의 죄의식은, 누나가 자살을 한 후 오대수에게로 향한다. 극도의 죄의식이 극도의 분노와 공격으로 변해버리는 것이다. 다분히 기독교적인 원죄와 구원의 이야기다. 근친상간이나, 이를 뽑는다던가 하는 구체적인 장면들이 충격적으로 다가오긴 하지만, 사실 영화 <올드보이>는 다분히 상식적인 이야기다.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혀를 뽑는다는 설정도 그렇다.
하지만 원작은 다르다. 고토를 가둔 카키누마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로 복수를 시작한다. 어떤 시각으로 보자면, 그 이유는 너무나도 사소하다. 하지만 카키누마란 인간이 대체 누구인지를 알게 되면, 생각이 조금 달라진다. 고토와 카키누마의 담임선생이었던 쿠사마는 말한다. 너희 둘은 일종의 과잉이었다고. 보통의 아이들과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카키누마를 딱히 악이라고 부를 수는 없지만, 그가 어둠, 카오스, 허무의 상징인 것은 분명하다. 전학생인 카키누마는 고토를 보는 순간, 그가 자신의 반대축에 서 있는 동류(同類)임을 안다. 카키누마가 유일하게 자신을 이해할 수도 있다는 것을. “부정적인 성향의 그 녀석은 이 나라의 파행적인 인간들이나 작가, 깡패, 살인자까지도 용서하지만 진실한 아웃사이더에게는 공포를 느꼈던 걸 거야.”

“가치관이 다른 놈들이 서로 피 터지게 집착해서 상대를 멸망시키려는 어설픈 전쟁....이 사회는 그런 하찮은 것에서 인간들이 사는데 자극을 느끼게 할만큼 유치의 극에 달했을 지도 몰라”라고 말하는 고토의 분석은 옳다. 『올드보이』는 버블 경제가 끝나고 10년 불황으로 빠져든 일본에서, 끈질기게 세계의 의미를 파고든다. 더욱 근원적인 어떤 신화로 접근하는 것이다. 세계의 진정한 가치는 과연 무엇인지, 인간이란 존재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말해주려 한다. 카키누마는 근원적인 고독, 어둠이었다. 타인이 보는 순간 가까이 하기를 꺼려할 만큼 근원적이다. 그것을 알고 있는 카키누마는 세상의 지배자가 되기를 원한다. 표면이 아니라, 어둠 속에 존재하는 지배자가 되기를 원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 위치에 선다고 해서, 그의 근원적인 결핍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그래서 고토를 불러낸 것이다. 자신처럼 고독하게 10년을 보낸 후, 자신의 반대편에 서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오대수도, 고토도 어떤 죄를 저질렀기 때문에 연금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차이가 있다. 오대수는 혀를 잘못 놀렸고, 그래서 혀를 자른다. 일종의 미필적 고의인 것이다. 그건 기독교에서 말하는 원죄같은 것이다. 원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희생을 치르고, 구원을 받아야 한다. 오대수는 혀를 자르고, 최면술사의 구원을 받는다. 그러나 고토는 죄가 없다. 그는 단지 하나의 존재였을 뿐이고, 카키누마가 분노를 느낀 것뿐이다. 그건 마치 신화 속 신들의 대결처럼 느껴진다. 선악도, 진정한 승자와 패자도 없는 대결. 그러나 의미심장한.
19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hui1102
2019.06.23
시나브로
2019.06.21
심쿵달콩
2019.06.20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