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자 장재현 감독 관람!  영화인들이 바라본 뮤지컬 <검은 사제들>
원작자 장재현 감독 관람! 영화인들이 바라본 뮤지컬 <검은 사제들> 원작 영화 감독 장재현 “원작에 충실하면서도 기발하게 각색된 이야기” 윤성은 영화 평론가 “인물들의 고뇌가 절절이 전해지는 슬프고 아름다운 오컬트” 2021.03.22 기획사 제공
장재현감독 윤성은 영화문화 평론가 검은사제들 예스24 오늘의 문화 이슈 채널예스
평론가 임진모가 뽑은 ‘내 인생의 10곡’
평론가 임진모가 뽑은 ‘내 인생의 10곡’ 당대 최고의 인기가수를 통해 우리가 긴급 동의한 것은 오랜 핵심정서, 바로 서구에 대한 동경과 선망이었다. 2020.07.17 이즘
평론가 임진모 내 인생의 10곡 최고의 인기가수 핵심정서
[특별 기고] 백희나 작가의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 수상이 갖는 의미 –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 평론가
[특별 기고] 백희나 작가의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 수상이 갖는 의미 –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 평론가 세계적인 문학상을 수상한 백희나 작가가 아직도 다음 작업 세계를 선보일 수 있는, 상대적으로 젊은 거장이라는 사실은 독자로서 감사한 일이다. 그러나 그가 다음 작업을 할 수 있게 될 것인가는 백희나의 책 속 공동체가 아니라, 현실의 우리 공동체가 대답해야 할 일인 것 같다. 2020.04.09 김지은(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
백희나 작가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 김지은 아동청소년문학 평론가
이재민 웹툰 평론가 “독해력의 쾌감을 찾아야 한다”
이재민 웹툰 평론가 “독해력의 쾌감을 찾아야 한다” 만 편이 넘는 작품 중 나의 인생작을 만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자신이 어떤 작품을 먼저 보는지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2020.01.31 신연선
이재민 웹툰 평론가 독해력 덕후 웹툰
이동진 “평론은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세계”
이동진 “평론은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세계” 왜 저랬는지 스스로 질문해야 해요. 왜 저 영화는 시간순으로 진행하지 않고 마지막에 나올 걸 처음에 넣어서 줄거리를 꼬았는가, 왜 저 영화는 배우가 정면으로 카메라를 쳐다보는가, 왜 저기서는 모두 여자만 죽는가… 질문하지 않으면 평론은 불가능해져요. 2019.10.22 정의정
이동진 평론가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질문 평론
어린이책 평론가 한미화 “책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어린이책 평론가 한미화 “책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부모님이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이끌어준다면 아이들은 반드시 성장한다. 속도가 느리더라도 반드시 성장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시간을 정해 놓고 하루에 조금씩이라도 함께 책을 읽는 일이다. 2019.09.18 엄지혜
아홉살 독서 수업 저학년 한미화 평론가 독서
오혜진 평론가 “한국문학, 걱정보다는 ‘분석’을”
오혜진 평론가 “한국문학, 걱정보다는 ‘분석’을” 비평가가 특정 작품이나 현상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의견을 가질 수 있지만, 그건 즉물적인 감정이 아니죠. 비평은 정치적ㆍ역사적 성찰과 분석이고, 그 결과는 그 작품에 대한 호오를 밝히는 데만 소용되는 게 아니라 우리가 앞으로 갱신할 미적 감각과 상상력의 방향을 가늠하는 데 참조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2019.06.10 손민규(인문 PD)
오혜진 평론가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 분석 한국문학
[책읽아웃] 편집자라서 좋은 시인과 평론가 (G. 서효인 시인, 박혜진 평론가)
[책읽아웃] 편집자라서 좋은 시인과 평론가 (G. 서효인 시인, 박혜진 평론가) 매일 책을 읽고, 매일 책을 만지는, 그리고 매일 기록까지 한 놀라운 성실함의 두 분 서효인 시인과 박혜진 평론가 나오셨습니다. 2019.01.31 오은(시인)
읽을 것들은 이토록 쌓여가고 서효인 시인 박혜진 평론가 책읽아웃
『미식 대담』 저자 이용재 인터뷰
『미식 대담』 저자 이용재 인터뷰 불확실한 현실에서 더 불확실한 미래를 바라보며 사는, 그래서 불안함을 안고 살지만 그 불안함에 잠식되지 않도록 버티는 국면에서 재미있는 읽을거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2018.09.20 출판사 제공
미식 대담 이용재 평론가 버티기 요리
출판 칼럼니스트 한미화 “누군가 내 소개로 책과 만난다면”
출판 칼럼니스트 한미화 “누군가 내 소개로 책과 만난다면” 동화 속 주인공들이 어린 시절 제 모습하고 유사성이 있거나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을 하면 완전히 무장해제되는 기분이 들더라고요. 돌이켜 보면 나라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고 싶어 했기 때문에 어린이 책을 읽었다고 생각해요. 2017.04.04 정의정
한미화 평론 출판 칼럼니스트 출판 평론가
반이정 “예술과 비예술 사이의 구분은 가능할까”
반이정 “예술과 비예술 사이의 구분은 가능할까” 미술의 형질이 많이 변했거든요. 미술인지 아닌지 모르겠는 게 요즘 미술의 주류예요. 이렇게 형질이 아주 많이 바뀐 미술을 형질이 아주 많이 바뀐 평론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죠. 읽히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실패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2016.03.25 지예원
예술 판독기 미술 평론가 반이정
장인의 경지를 보여준 『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의 작가, 故 최성일
장인의 경지를 보여준 『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의 작가, 故 최성일 그는 책을 그저 상찬하지 않는다. 칭찬 일색인 리뷰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아홉을 칭찬해도 한 가지 지적 정도는 잊지 않는다. 2011.07.06 한미화
평론가 최성일 장인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