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환경의 날 특집] 엄마, 나 이제 소고기 안 먹을래!

환경의 날 특집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지금은 용감한 결정과 실천을 해야 할 절실한 때이다. (2024.06.04)

기후위기 시대,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채널예스에서 환경의 날을 맞아 전문가에게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물었습니다.


"엄마, 나 이제 소고기 안 먹을래!"

올해 만 12살인 막내가 선언했다. 아래의 그래프를 보고 내린 결론이다.


환경 일을 하는 엄마를 둔 아이로서 기후변화문제를 위해 자기도 뭔가를 하고 싶었는데, 본인이 유일하게 할 수 있는 일을 찾은 것이다. 자신이 먹는 음식을 선택하기.

환경의 날을 맞아 새삼 환경문제를 생각해 본다. 아니, 환경의 날이 아니어도, 국제적환경위기 쌍두마차인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파괴는 벌써 비싸진 음식값, 기상이변의 신기록 갈아치우기, 기후난민 등으로 우리의 삶 속속들이 파고들고 있다.

이 두 위기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 인간이 잘 먹고 잘살기 위해 했던 행위들의 결과이다. 화석연료를 써서 전례 없는 양의 에너지를 생산했고 인간들이 좋아하는 음식들을 만들기 위해 불과 몇 가지 동물과 식물로 전 생태계를 장악하고 있다. 이런 생태계 파괴는 자연이 스스로 기후를 조절하는 능력을 감소시켜 기후변화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이지경이 될 때까지 우리는 뭘 했을까?

유엔에서 국가들을 모아 기후변화는 29년, 생물다양성은 16년동안 매년 만나 해결하고자 노력해오고 있는데, 29년이면 정말 긴 시간이다. 영화 <Don’t look up>을 보고 인정하기 어려웠지만, 우리는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문제를 회피하거나 과소평가하고 있다. 처음엔 과학자들이, 지금은 기후변화를 이해하는 많은 이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를 해왔다. 심지어 공룡을 유엔에서 발표하게 함으로 “우리는 멸종되었지만 인간은 아직 기회가 있다”라고 경각심을 일깨우려 한 시도도 있다. 자본주의 사회의 속성을 이해하는 경제학자들은 ”추후 기후변화의 피해가 지금 기후변화를 막는데 쓰는 비용보다 훨씬 크다. 그러니 손해보지 말고 지금 투자해라“하고 경고했다.

우리는 아직도 너무 느리게 대응한다. 아마 모두 당장의 내 생활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당장 내 이익과 편의가 미래의 재앙보다 더 강한 행동의 동기가 되기 때문이 아닐까? 정부가 잘 해결하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를 하는 사람들도 많다. 실제로 국가규모의 에너지 전환, 대규모 생태계보호는 개인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정부는 정부의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속히 전기공급망을 개선하고 재생에너지가 싸고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식량생산을 regenerative(재생) 농법으로 개혁해야 한다. 그리고 생물다양성협약의 중요한 약속조항인 30x30 즉, 국토와 해양의 30%씩을 지정, 보호해야 한다. 자연히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서식지를 지켜주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야 인류는 건강한 생태계의 금쪽같은 혜택인 기후조절, 생물다양성, 탄소흡수, 오염정화, 기후적응 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환경재단이 준비한 21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 개막작은 이렇게 자연을 ”그냥 내버려“두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20년 넘게 해온 실험이자 도박을 한 부부의 이야기이다. 오래된 농사와 축산으로 더 이상 경제가치가 없어진 척박해진 땅을 자연에게 되돌려 주기로 한, 이 용감한 결정은 주변이웃의 심한 반대를 겪었지만 결국 생태계 복원이 되면서 많은 혜택을 그 지역 및 과학계에 선물하고 이 부부에게 더 큰 경제적 수입을 주었다. 한국에도 여의도에 수달이 돌아왔다. 조그만 숨쉴 공간을 자연에게 선물한 결과이다. 자연은 기회만 주면 놀라운 복원력을 보여준다. 너무 늦기 전에 자연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

12살 아이도, 영국 농장부부도 자기가 할 수 있는 뭔가를 찾아 실천하고 있다. 나도 소고기를 식단에서 완전히 제할 자신은 없지만 아이를 돕겠다 했다. 환경정책을 보고 투표하겠다 했다. 우리집이나 땅이 생기면 태양광도 달아보겠다 했다. 싸다고 쓸데없이 물건 사지 않고 지속가능하게 생산된 것들을 골라서 사서 오래 쓰겠다 했다. 베란다에 텃밭을 만들어 보겠다 했다. 주식투자도 친환경으로 하겠다고 했다.

외환위기때 금을 모아 위기를 이겨낸 것처럼 십시일반 우리가 가진 힘으로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고 뭐라도 해야 한다. 힘이 있으면 정책을 바꾸고, 돈이 많으면 투자를 기후문제 해결에 필요한 곳에 하고, 말을 잘하면 왜 위기인지 어떻게 우리 미래가 영향을 받을지 알리고, 공부를 잘하면 연구를 하고, 친구가 많으면 그들을 바꾸고, 물건을 사면 잘 사고, 끼니를 먹으면 채식위주로 먹고.

지금은 용감한 결정과 실천을 해야 할 절실한 때이다.


참고 : Ritchie, H., & Roser, M. (2020). "Environmental impacts of food production." Our World in Data. 소고기 1kg 생산 시 약 99.48kg 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 이는 829km를 자동차로 운전할 때 나오는 탄소량과 같음. 소고기 1kg의 물 사용 약 15,415리터: 약 154일 동안 매일 샤워하는 물의 양.



추천기사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강희원(환경재단 전문위원)

대기과학과 국제학을 공부하고 세계 여러나라에서 살았다. 한국에서 환경재단 국제협력 전문위원으로 근무중. 최근 관심사는 다음세대의 지구환경이다.

오늘의 책

이 세계가 멸망할지라도, 우리는 함께 할 테니

사랑은 우리를 좀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만든다. 그래서일까. 최진영 작가의 이번 소설집에는 사랑과 사람을 지키려는 마음으로 가득하다. 전쟁, 빈부격차 등 직면해야 할 현재와 미래를 이야기하면서도 그 속에 남아 있는 희망을 놓치지 않았다. 2024년 올해 꼭 읽어야 할 한국단편소설집 중 하나.

동시대 가장 주목받는 SF 작가 켄 리우의 단편집

『종이 동물원』 작가 켄 로우가 다시 한번 독보적인 13편의 단편소설로 돌아왔다. 다양한 주제와 강렬한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중국의 당나라 시대부터 근미래의 우주까지 시공간을 넘나들며, 기상천외하고 대담한 상상력을 선보인다. 강렬한 표제작 「은랑전」은 할리우드 영화로도 제작될 예정.

고객의 행동을 읽어라!

침대 회사 시몬스를 ‘침대를 빼고도’ 사람들이 열광하는 브랜드로 이끈 김성준 부사장의 전략을 담았다. 고객의 행동을 관찰하고 심리를 유추해 트렌드를 만든 12가지 비밀 코드를 공개한다. 알리지 않아도 저절로 찾아오게 만드는 열광하는 브랜드의 비밀을 만나보자.

우리의 세계를 만든 유목민들의 역사

세계사에서 유목민은 야만인 혹은 미개한 종족으로 그려져 왔으며 역사 속에서 배제되어 왔다. 이 책은 정착민 중심의 세계사에 가려져왔던 절반의 인류사를 들여다본다. 대륙을 방랑하며,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며, 문명과 문명 사이 연결고리가 된 유목민들의 삶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울림을 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