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작가 특집] 김화진 "너무 쉽게 독자가 없다고 믿어버리지 마세요"
<월간 채널예스> 2023년 6월호
이상한 사람, 이상한 마음, 이상한 소리. '이상한'의 자리에는 사실 '그저 그런'을 넣어도 상관없어요. '좋아하는'을 넣어도 되고요. (2023.06.01)
예스24는 2015년부터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투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7년간 147명의 젊은 작가들을 소개했고, 180만 9798명의 독자가 투표에 참여했습니다. 올해도 6월 12일부터 7월 9일까지 투표를 진행합니다. 문학의 힘을 믿는 독자분들의 변함없는 응원을 기대합니다. |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16인'에 든 소감
독자들에게 이름이 기억되었다니 기쁘고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독자분들께서 소설을 읽고 어떤 것이라도 기억에 남은 게 있었기 때문에 후보에 들 수 있었겠지'라고 혼자 받아들이고 좋아하고 있습니다.
첫 책 『나주에 대하여』의 기억
제가 써 둔 여러 편의 소설들이 이런 제목과 이런 표지로 묶일 것이라고 상상한 적이 없었어요. 그런 좋은 일은 잘 상상하지 않게 돼요. 상상하지 않아서 더 좋았어요.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따라가기만 하면 되니까. 그 과정에서 담당해 준 편집자가 고민하여 선택한 모든 것들이 좋아서 멋있다는 생각을 했고요. 사소한 것 하나만 더 말하자면 두께가 도톰해서 좋았어요.
매일 실천하는 글쓰기 루틴
매일 실천하는 건 소설에 대해 생각하는 것밖에 없어요. 매일 쓰지는 못하니까요. 소설이 진행 중인 상태라면 머리 한구석에서 소설에 쓸 것들을 생각해요. 정확히 말하자면 소설의 비어 있는 부분을 생각하죠. 그 부분에 뭘 넣으면 좋을까. 시간이 날 때 생각하다가 넣어 봄 직한 게 떠오르면 메모해 두고요. 메모가 조금 쌓이면 집에 가서 그 부분에 넣어 봐요. 잘 맞는 것 같으면 좋고, 아니면 빼고, 그런 반복이에요.
글 쓰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세 가지
잘 써지지 않아도 완성하겠다는 마음. 잘 쓰고 싶다는 마음. 누가 잘/잘 못 썼다고 해도 믿지 않는 마음. 저의 성격에만 유효했던 마음일지 모르지만 뽑아 보았습니다. 대체로 저는 이 순서로 돌아가요. 쓰고 있을 때, 완성했을 때, 어딘가로 원고를 보낸 뒤 순이에요.
나는 쓰게 하는 사소한 것들.
이상한 사람, 이상한 마음, 이상한 소리. '이상한'의 자리에는 사실 '그저 그런'을 넣어도 상관없어요. '좋아하는'을 넣어도 되고요. 그런데 '이상하게 좋아야'하고 '이상하게 그저 그래야' 쓸 수 있는 것 같아요. 왜인지 모르겠지만 저한테만 이상하게 느껴지고 저한테만 이상하게 들리는 것들에 대해 왜 그럴까 생각하다가 그것에 대해 쓰게 되는 듯해요.
가장 좋아하는 작가
좋아하는 작가 너무 많아요. 저만 모르고 있다가 드디어 좋아하게 된 순간마다 좋고요. 요즘은 스티븐 킹의 소설들이 재밌어요. 읽은 지 얼마 안 됐거든요. 『나중에』부터 하나씩 읽어야지 하고 시작했어요. 늘 이상한 일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쓴다는 게 멋져요. 유령을 보는 소년도 나오는데, 문학 에이전시에 다니는 엄마도 나오는 게. 각자 다른 방식으로 외롭지만 결국 비슷하게 외로워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잘 쓰는 게 좋아요. 망가진 사람을 망가진 대로, 슬픈 마음을 슬픈 대로 쓰는 것도요. 많이 설명하지 않고 그런 사람이 있어, 그런 일도 있어, 하고 문장이 척척 걸어가는 것 같아요. 『나중에』에서 좋았던 부분이 많지만 남기라면 이 부분이 기억에 남아요.
"심지어 사랑조차도 결코 늘 강력하지만은 않다.
이런 얘긴 하고 싶지 않지만 증오야말로 아주 강렬하고 아주 오래 남는 감정이다."_80쪽
사람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말
"괜찮아." 저는 잘했을 때 "잘했어"보다 잘못했을 때 "괜찮아"가 더 좋아요. 그런데 꼭 들어야 하는 말은 아니니까, 못 들으면 못 듣는 대로 앞으로 가고 들으면 들은 대로 가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글쓰기 작업에 영감, 도움을 줬던 책
혼자서 네 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연작 소설을 쓰고 있을 때 이희주 작가의 연작 소설집 『사랑의 세계』를 읽었어요. 문예지에서 한 편만 읽었을 때에도 좋았는데, 모아 읽으니 더 좋다고, 연작으로 읽을 때의 쾌감이 있는 소설이라고 생각했어요. 그게 이상하게 저에게 더 힘이 되었던 것 같아요. 연작일 이유가 있는 소설들을 읽은 것이. 제가 쓴 연작이 그런 힘이 있는지는 모르겠고 언제나 자신은 없지만, 좋은 것을 보면 좋은 걸 쓰고 싶고 그게 동력이 돼요.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언젠가 당신의 독자를 만나게 될 거예요. 편집자도 심사위원도 결국 독자이니까요. 너무 쉽게 독자가 없다고 믿어 버리지 마세요.
지금 가장 주목하고 있는 것
저 혼자만 쑥스러워하는 말버릇 같은 걸 오래 생각하는 편이에요. 예를 들어 최근에 SNS 게시물 첫 장에 "~하다고 말 나오는 중인 00" 같은 문구를 엄청 많이 봤어요. '~'에는 주로 평판이 들어가고 '00'에는 연예인 이름이 들어가요. 평판은 부정적일 때도 있고, 긍정적일 때도 있는데요. 저는 그 표현이 이상하게 쑥스러워요. "말 나오다"라는 서술을 그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못 쓸 것 같아요. 혼자만 낯 가리는 단어나 표현들이 있잖아요. 그런데 그런 걸 보면, 어떤 방송에서 편집된 연예인의 모습을 캡쳐해 코멘트를 달아 다시 편집하는 사람을 상상해요. 그걸 소설에 쓸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런 걸 보면 언제나 그 뒤의 사람을 상상해 보는 것 같습니다.
*김화진 소설가. 2021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나주에 대하여」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22년 첫 책으로 『나주에 대하여』를 썼다. |
추천기사
관련태그: 채널예스, 예스24, 김화진, 나주에대하여, 만나고싶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