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미묘의 언박싱 케이팝] 음반 포맷에도 진심, 에이티즈 'SPIN OFF'

에이티즈 'SPIN OFF : FROM THE WITNESS'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세 트랙 모두 케이팝의 양식미와는 닮은 듯 선연히 다른 전개를 보여주면서도 에이티즈 특유의 위급하고 어질어질한 세계 표현을 재현하고 있다. 스핀오프를 같은 세계관 속 다른 서사라고 표현한다면, 이 리믹스들은 음반 제목처럼 에이티즈의 스핀오프라 부를 만하다. (2023.01.11)


대중음악 평론가 미묘의 ‘언박싱 케이팝’ 칼럼이 격주 수요일 연재됩니다.
최신 이슈부터 앨범 패키지에 담긴 이야기까지 지금 케이팝의 다채로움을 전합니다.


KQ엔터테인먼트 제공

에이티즈에 붙는 이름표 중, '마라맛'이라는 게 있다. 이 맛은 대체로 어둡고 극적인 콘셉트와 격렬하고 자극적인 곡, 혼란도를 가중하는 장난끼나 이를 음악적으로 담아내는 극단적인 구조와 장치 등을 그 성분으로 한다. 에이티즈가 데뷔 초기에는 친구들을 사랑하는 낙천적인 해적이었던 것 같은 기분도 들지만, 어쨌든 매우 탈일상적인 콘셉트를 비중 있게 지니고 출발했으니 아주 엉뚱한 데로 튄 것은 아니다. 또, 사람이 모험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일이 있게 마련 아닌가.

신곡 'HALAZIA'도 상당한 '마라맛'을 전해준다. 어둡고 절박한 어조와 내용의 가사, 포스트아포칼립스 세계를 무대로 삼는 뮤직비디오, 개성이 뚜렷한 래핑들의 교차, 날카로운 고음과 으슥한 저음이 공존하는 보컬 같은 것들이다. 후렴이 전통적인 팝의 문법에서 친숙함과 안심감을 주는 대목이라면, 이들에게 후렴은 혀를 더 아프게 할 시간이다. 특유의 주술적인 테마로 은근하게 긴장을 주다가는 느닷없이 새로운 빌드업이라도 하는 양 8비트로 킥이 떨어지며 BPM을 두 배로 올리는 고양감을 주는 가운데 고음을 연타한다. 그런 후렴의 마지막 한 줄은 2분 48초를 지나면서 새로운 클라이맥스를 만들어내는 데에 재활용된다. 긴박한 브레이크비트와 거친 챈팅, 찢어질 듯한 신스의 난동으로 이어지는 후반부는, 마지막에 새로운 결정타를 쏟아붓는다. 에이티즈가 이미 몇 번 멋지게 선보인 바 있는 방식이다.

'HALAZIA'가 수록된 싱글 <SPIN OFF : FROM THE WITNESS>에는 세 곡의 리믹스도 수록돼 있다. 'WIN' 원곡은 황당하면서도 매우 인상적인 가사 한 줄('우리 배는 편도로만 가')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며 무겁고 공허한 드롭 타입의 후렴으로 넘어가거나, 후반에 강렬한 빌드업-드롭으로 화려한 후주를 덧댔다. 'June One Remix'는 그에 준하는 다채로운 섹션을 두되 케이팝보다는 EDM의 흐름으로 이어붙이며 맹렬하게 질주한다. 이미 'HEAT-TOPPING Ver.'으로 변주된 바 있는 'I’m The One'의 이드너리(Eden-ary) 버전은 원곡의 뜨거움을 차가운 공간으로 전환하고 보다 확실하게 드롭을 구성하면서 일렉트로닉으로 '재해석'하는 듯한 대칭을 보여준다. 드라이브감 있는 뉴웨이브 사운드에 애상을 담았던 'Take Me Home'은 이디오테입(IDIOTAPE)을 만나 교통안전에 대한 우려를 일으킬 정도의 저돌적인 폭주로 변했다. 세 트랙 모두 케이팝의 양식미와는 닮은 듯 선연히 다른 전개를 보여주면서도 에이티즈 특유의 위급하고 어질어질한 세계 표현을 재현하고 있다. 스핀오프를 같은 세계관 속 다른 서사라고 표현한다면, 이 리믹스들은 음반 제목처럼 에이티즈의 스핀오프라 부를 만하다.

‘HALAZIA’의 가사나, 쇠사슬을 끄는 인간의 근력으로 (아마도) 초자연적인 존재를 거스르는 장면 같은 것은 사실, 싱글 제목이 주장하는 ‘증인의 말’보다는 영웅 서사 주인공의 시점에 가깝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커버아트의 깃털처럼, 홀연히 사라진 것의 실낱 같은 흔적이라는 모티프는 작품 전체에 잘 스며들어 있다. 리미널 스페이스와 폐허의 개념적 중간 어딘가에 위치한 뮤직비디오 속 공간이 패키징에서도 스케치처럼 등장하고, 뮤직비디오도 ‘있었던 것’과 ‘남은 것’의 대조를 꾸준히 보여준다. 마침 이것은 서사의 스핀오프이자 아이돌의 싱글이다. 많은 것을 제공하지만 또한 얽매일 필요는 없는 가벼움에도 잘 부합하는 모티프다.

이 싱글은 CD가 포함된 'WITNESS Ver.'과 두 가지의 'POCAALBUM Ver.'로 발매됐다. 최근 환경 재앙과 관련해 케이팝 산업에서는 대안적인 패키징 포맷이 더러 등장하고 있다. CD를 빼고 패키징을 간소화하며 음원은 전용 플랫폼에서 디지털 감상권을 제공하되, 음반이 갖는 또 한 가지 매우 중요한 가치, 즉 소장품으로서의 물성은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싱글은 포토카드를 진열하는 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이색적이다. 또한 미니 CD 사이즈의 '미니어처 디스크'가 포함돼 있는데 이것이 조금 애매하다. 물론 두꺼운 포토북의 탄소 발자국도 무시 못하나, 대안적 패키징의 중요 어젠다는 플라스틱 소비 감축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아무 것도 기록되지 않은 이 작은 원반이, 오늘날 판매되지만 감상되지 않는 수없이 많은 CD들과, 음반이자 '굿즈'로서의 가치 측면에서 사실상 전혀 차이가 없다는 점만은 무척 흥미로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리믹스에 다소 인색한 케이팝에서, 에이티즈는 데뷔 1년을 조금 넘긴 2019년 말에 리믹스 앨범을 발매한 바 있었다. 또한 국내 커리어와 별개로 진행되기 십상인 일본 발매반을 세계관 연작에 포섭해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발매한 국내곡의 일본어 버전을 수록하며 이뤄진 재배치는, 리패키지의 ‘기술’을 새롭게 하는 시도로 볼 만했다. 그에 이어서, <FROM THE WITNESS>의 서사적 테마 설정과 리믹스에 관련한 일련의 음악적 선택들은 이들이 음반 포맷에 관한 고민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한다. '마라맛'에 가려지기 십상이지만, 에이티즈의 진한 맛이 우러나오는 재료 중 하나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미묘(대중음악평론가)

오늘의 책

유현준이 엄선한 근현대 세계 건축

인간은 건축과 함께 산다. 건축물을 통해 우리 자신과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 유현준 저자가 감명받은 30개의 근현대 건축물을 책 한 권에 모았다. 유럽, 북미, 아시아의 멋진 건축을 소개함으로써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지, 미래의 건축은 어때야 하는지를 모색한다.

한여름밤의 꿈같은 7일간의 파리 미술 여행

프랑스 공인 문화 해설사인 저자가 직접 고른 7개의 미술관, 40개의 명화들을 소개하는 미술 교양서. 10초에 한 작품씩 봐도 벅찬 루브르 박물관부터 모네를 가장 많이 소장한 마르모탕 미술관까지, 친절한 설명과 안내를 따라가다 보면 7일간의 파리 명화 기행이 꿈처럼 펼쳐질 것이다.

우정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

유지혜 작가 신작 에세이. 전작들에서 특유의 감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그는, 이제 삼십대의 단단함으로 돌아왔다. 자신을 흠뻑 적시고 더 넓은 세계로 연결해준 다양한 우정의 모습들을 데리고. 매번 연결되는 그 마음들은 차근히 쌓여 또 다른 내가 될 것임을 전하는 이야기.

경제레터 '어피티' CCO가 들려주는 경제교양

경제상식도 알고 실전 재테크도 해봤지만, 한국경제를 이해하기 어려웠던 이들을 위한 입문서. 증권파동부터 깡통전세까지, 경제 이슈의 뿌리가 되는 핵심 사건 속 역사를 들려준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경제사를 듣다보면 오늘의 경제 뉴스 흐름을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