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위한 프로그레시브 록 입문곡 10선
이즘 특집
무수한 장르 명곡 중 국내에서 특히 사랑받았거나 개인적인 추억이 있는 작품들을 열 곡으로 간추렸다. 아무쪼록 이 리스트가 프로그레시브 록과 조금이나마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2022.08.12)
로큰롤은 흑인 교회의 열정적 의식에 어원을 두나 '몸을 야하게 움직인다'라는 속뜻도 있다. 원초성과 본능에 뿌리 둔 음악이 로큰롤이다. 단순명료했던 1950년대 초기 로큰롤은 1960년대에 이르러 다양한 장르로 분화했고 그 중심엔 비틀스가 있었다.
1960년대 후반은 록 음악의 예술적 전성기였다. 도전적인 밴드들은 고전 음악, 재즈와 전위 음악의 양식을 도입해 록의 외연을 확장했다. 그렇게 탄생한 프로그레시브 록은 복잡한 구조의 대곡(大曲) 지향적 음악, 다채로운 악기 사용과 소리의 실험 등을 특징으로 예술성의 극한에 다다랐다.
태생적 한계도 있다. 장르명이 주는 왠지 모를 차별감, 록의 기본 속성에서 빗나가버린 현학적인 스타일로 인해 대중과 멀어졌다. 이후 마릴리온을 위시한 1980년대의 네오 프로그레시브 록, 드림 시어터를 필두로 1980년대 후반부터 점화된 프로그레시브 메탈이 나왔으나 대중적 장르로 보긴 어려웠다.
록의 여러 하위 장르 중에서 현대의 대중음악가들에게 미친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고 3~4분 러닝타임에 익숙한 리스너들에게 복잡다단한 곡들은 생경하다. 하지만 프로그레시브 록 뮤지션들이 바라본 아득한 예술성은 마니아들의 지지와 함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무수한 장르 명곡 중 국내에서 특히 사랑받았거나 개인적인 추억이 있는 작품들을 열 곡으로 간추렸다. 아무쪼록 이 리스트가 프로그레시브 록과 조금이나마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비단 '프로그레시브 록'이라는 장르에 한정하지 않더라도 핑크 플로이드는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록밴드 중 하나다. 가장 유명함과 동시에 조금은 이질적인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인데 다른 밴드들과 비교 불가한 압도적 상업적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다.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 네 차례 1위를 기록했고 '가장 많은 앨범을 판매한 록밴드' 리스트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약 28년 만의 신곡 'Hey, hey, rise up!' 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기도 했다.
1973년 작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빌보드 앨범차트에 무려 962주간 올랐다. 처음부터 끝까지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구성에 '알란 파슨스'가 매만진 초현실적 사운드는 청취를 초월한 음악적 체험이다. 동전 소리로 시작하는 'Money'는 배금주의에 메스를 대고 클레어 토리(Clare Torry)의 처절한 가창이 'The great gig in the sky'를 수놓았다. 서늘한 자명종 소리와 몽환적인 코러스, 데이비드 길모어의 기타 솔로를 지닌 'Time'은 덧없는 시간을 향한 비관주의다. 1980~90년대 공익 광고의 BGM으로 쓰이며 국내에 알려졌다.
강렬한 인상의 앨범 커버에 담긴 음악은 진중하고 깊었다. 1969년 발매 당시 킹 크림슨의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은 비틀스의 <Abbey Road>를 밀어내며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고 와전되었으나 대신 역대 최고의 '프로그레시브 록 앨범'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오로지 가사만 담당했던 작사가 피터 신필드와 윈도우 효과음을 창조한 기타 철학자 로버트 프립, 후에 AOR(어덜트 오리엔티드 록) 밴드 포리너에 합류하는 이언 맥도널드의 '1기 킹크림슨' 유일 작이다.
플루트로 서정 미학을 확립한 'I talk to the wind'와 전위적인 재즈 록 '21st century schizoid man' 등 앨범의 수록곡 전부가 걸출하지만, 국내에선 의심의 여지 없이 'Epitaph'였다. 죽음에 대한 신필드의 철학은 비틀스가 'Strawberry fields fover' 도입부에 사용한 건반악기인 멜로트론 연주와 어우러지며 음울한 분위기를 조성했고 그렉 레이크의 보컬은 어느 때보다 처연하다. 검열 정책으로 예술 작품이 난도질 당했던 1970~80년대에 역설적으로 인기를 끈 이 곡은 어떠한 주술처럼 당대의 청년들을 홀렸다.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은 고전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였다.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를 차용한 'A whiter shade of pale'은 영국 1위, 미국 5위까지 오른 최초의 프로그레시브 록 히트곡이 되었고, 바로크풍의 오르간 선율과 밴드의 창립자 개리 브루커의 절절한 음성이 장르의 형식적 규범을 세웠다. 영화 <빅 칠>과 <락앤롤 보트>가 이 곡을 사용해 인지도 효과를 보았다.
춤을 추다가 얼굴이 창백해진 여인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갈피를 잡기 힘든 노랫말에 설왕설래가 있었다. 섹슈얼한 관계의 은유와 신비라는 통설은 1967년의 히피 시대와 맞물려 설득력을 얻었으나, 곡의 작사가 키스 라이드는 "퇴폐를 직설적으로 이미지화했다"라며 반박했다. 1960년대를 대표하는 이 명곡은 사라 브라이트만과 유리스믹스의 애니 레녹스를 비롯한 수많은 뮤지션들에 의해 커버되었고 브릿 어워드가 선정한 '1952년부터 1977년 사이에 발표된 가장 뛰어난 영국 싱글'에 퀸의 'Bohemian rhapsody'와 함께 공동 1위에 오르기도 했다.
1세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무디 블루스는 'For my lady'과 'Your wildest dreams', 'Melancholy man' 같은 대중적인 노래를 다수 발표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실험적이었다. 이들은 고전 음악과 록을 5 대 5 비율로 섞어 심포닉 록의 청사진을 제시했고 한 남자의 하루를 다룬 <Days Of Future Passed>로 콘셉트 앨범의 미학을 드러냈다. 활기찬 분위기의 'Lunch break: peak hour'와 건반 연주가 리드미컬한 'Tuesday afternoon'으로 이어지는 구성이 탁월하다.
리드보컬이자 기타리스트 저스틴 헤이워드가 작사 작곡한 'Nights in white satin' 은 여자친구가 선물한 새틴에서 착상한 개인적인 이야기다. 전형적인 역주행 곡으로 발표 당시에는 차트 입성을 못 했지만 3년 후 1972년엔 빌보드 싱글차트 2위까지 올랐다. 건반 주자 '마이크 핀더'는 멜로트론으로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을 구사하며 악기의 효용성을 입증했다. 3~4분대의 싱글 버전들이 존재하지만, 후반부 시 낭독이 포함된 7분여의 앨범 버전에서 진가가 드러난다.
메탈리카를 제치고 1989년 제31회 그래미 어워드의 헤비메탈/하드록 부문을 수상해 화제가 되기도 한 '제쓰로 툴'은 목가적인 포크부터 헤비메탈까지 방대한 음악 세계를 품었다. 수십 가지 악기를 연주하는 재주꾼 이안 앤더슨은 밴드의 알파이자 오메가로 기괴한 표정과 율동이 제스로 툴의 진중한 음악과 묘한 마찰을 일으킨다.
'Living in the past'는 1969년에 영국 싱글차트 3위까지 오른 히트곡이다. 데이브 브루벡의 'Take five'처럼 독특한 5박자 리듬은 이안 앤더슨의 플루트 연주와 어우러져 신비감을 발산한다. 프랑스 68운동을 비롯한 반문화, 반체제의 혁명 시대를 부정하고 '너와 사랑을 나누겠다'라는 본능에 충실한 가사는 곡 분위기와 조화를 이룬다. 이 곡 이외에도 최고의 기타 리프 중 하나로 거론되는 'Aqualung' 등 명곡을 다수 보유했고, 국내에선 전설적인 라디오 프로그램 <전영혁의 음악세계>가 배출한 연주곡 'Elegy'가 사랑받았다.
1983년 빌보드 1위 곡 'Owner of a lonely heart'의 매끈한 사운드로 거장 밴드의 귀환을 알렸지만 이들의 진면목은 1970년대에 있다. 'Roundabout'가 수록된 <Fragile>은 1971년 11월에 나왔고 'Starship trooper'가 수록된 <The Yes album>이 1971년 2월, 로저 딘이 구상한 몽환적인 앨범 커버에 단 세 곡이 들어간 <Close To The Edge>가 1972년 9월에 발매되어 2년도 안 되는 기간에 창작력을 폭발시켰다. 변화무쌍한 악곡 전개를 소화하는 최정상급 연주력은 후배 밴드들에 절망과 자극을 동시에 안겨줬다.
스코틀랜드 글래스고로 가는 길에서 만난 교차로를 모티브로 한 8분여의 대곡은 잘 짜인 곡 구성과 선명한 선율로 빌보드 싱글차트 13위까지 올랐다. 도입부를 비롯한 악곡의 중심엔 많은 후배에게 영감을 준 크리스 스콰이어의 베이스 연주가 있고, 마술 같은 릭 웨이크먼의 건반 연주가 힘을 보탰다. 지속적인 멤버 교체가 있었으나, 팬들은 이 곡을 연주한 '존 앤더슨'(보컬), '스티브 하우'(기타), '크리스 스콰이어'(베이스), '빌 브루포드'(드럼), '릭 웨이크먼'(키보드)의 라인업을 최고로 친다. 영화 <스쿨 오브 락>의 잭 블랙은 피아노를 다루는 동양계 학생 로렌스에게 <Fragile> CD를 건네며 "'Roundabout'의 건반 솔로를 필청하렴"이라고 강조했다.
'키보드계의 지미 헨드릭스' 키스 에머슨은 건반으로 기타에 맞먹는 카리스마를 보여줬고 거대한 신시사이저에 칼을 꽂는 퍼포먼스로 충격을 선사했다. 사이키델릭 록 그룹 나이스부터 후기 영화 음악 작업까지 다채로운 경력을 쌓았으나 2016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기타 대신 키보드 연주를 전면으로 내세운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는 무소르그스키와 바흐를 재해석하고 거대 아르마딜로에 대한 콘셉트 앨범 <Tarkus>를 발표하는 등 실험적 행보를 보였다.
시작부터 비범했다. 1970년에 나온 1집 <Emerson, Lake & Palmer>의 첫 곡 'The barbarian'은 '야만인'이라는 제목처럼 야성적인 사운드를 들려줬고 'Knife edge' 속 에머슨의 해먼드 오르간 연주도 날카롭게 빛났다. 각각 헝가리 작곡가 벨라 바르톡과 바흐의 작품을 편곡해 고전 음악의 변용이라는 정체성을 명확히 했다. 베이스 주자 그렉 레이크가 12살에 작곡한 간결한 코드 진행의 'Lucky man'은 드러머 칼 파머의 연주가 리드미컬하고 에머슨의 무그 신시사이저 후주는 그 어떤 건반 악기에서 느끼기 힘들었던 두께감을 선사했다. 국내에선 'C'est la vie'와 'From the beginning'이 애청곡이었다.
눈물 떨구는 낙타와 똬리 튼 백조, 설원 위 마법사의 뒷모습까지 카멜의 앨범 이미지는 음악만큼 다채롭다. 빌보드 앨범차트 100위권 안의 앨범이 하나도 없을 정도로 위의 밴드들에 비해 상업적 성과는 옅지만 특유의 서정미로 국내에서 특히 사랑받았다. 프로그레시브 록의 한 조류인 캔터베리 신을 대표하는 밴드 카라반과 멤버를 공유해, 재즈의 즉흥성을 수용했으며 심포닉한 곡 구성으로 마릴리온 같은 1980년대 네오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들의 음악적 전성기는 <The Snow Goose>, <Moonmadness>가 나온 1970년대 중반이지만 국내에선 1984년 작 <Stationary Traveller>가 주목 받았다. 서독과 동독의 이념 갈등을 담은 이 콘셉트 앨범에서 'Long goodbyes' 는 차분한 전개와 아름다운 선율로 라디오 친화적인 노래가 되었다. 단 두 장의 앨범에만 참여했던 크리스 레인보우의 보컬이 인장을 남겼고, 밴드의 구심점 앤드류 레이티머의 플루트와 기타 연주가 곡 분위기를 살렸다.
영국이 불붙인 프로그레시브 록 열풍은 전 유럽을 걸쳐 퍼져나갔다. 카약과 포커스 등이 네덜란드서 활약했고 독일은 '크라우트록'(1960년대 말 서독에서 탄생한 실험적인 록 음악)이라는 파생 장르로 '캔', '노이!' 같은 밴드를 배출했다. 유럽 프로그레시브 록 지형도의 큰 대륙을 형성한 이탈리아 밴드들은 독일과 반대되는 서정미로 국내 팬들의 지지를 받았다. 디제이 성시완의 레이블 시완레코드는 '라떼 에 미엘레', '방코', 'PFM' 등 이름도 독특한 밴드들을 소개했고 지금도 마니아들의 수집욕을 자극하고 있다.
18세기 이탈리아의 고전 음악가 토마소 알비노니의 작품을 록으로 재해석한 'Adagio'는 『햄릿』의 명대사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의 한 대목을 'To die, to sleep, maybe to dream'(죽거나, 잠들거나 꿈꾸거나)으로 변용했다. <Concerto Grosso Per I New Trolls>의 다른 곡 '1° Tempo: Allegro'는 기타와 바이올린의 거친 매력을 보여줬고, 20분이 넘는 마지막 곡 'nella'로 즉흥 연주의 대서사시를 완성했다. 국내에선 프랑스 가수 질베르 베코의 샹송을 하모니가 강조된 록으로 커버한 'Let it be me'가 유명하다.
캐나다의 국민 밴드 러시는 초기에 레드 제플린 스타일의 카랑카랑한 하드록을 들려줬지만, 가상도시 메가돈(Megadon)을 배경으로 한 콘셉트 앨범 <2112>으로 프로그레시브 록의 총아로 떠올랐다. 이 앨범은 강력한 금속성 사운드로 드림 시어터와 같은 프로그레시브 메탈 그룹을 예언했다. 단 세 명이 주조해낸 완벽한 연주력은 추종자를 양산했으나 대중 친화적인 발라드곡의 부재로 국내 인지도는 저조하다.
캐나다 앨범차트에서 1위, 미국에서 3위를 차지한 1981년 작 <Moving Pictures>는 가장 높은 상업적인 성과를 거뒀다.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악곡 전개와 뉴웨이브 신스팝을 접목한 사운드로 접근성을 높였고 2020년 작고한 닐 피어트의 드러밍이 돋보이는 연주곡 'Yyz'와 대중적인 'Limelight' 등 명곡을 다수 포함했다. 닐 피어트와 캐나다 출신 시인 겸 작사가 파이 뒤부아가 함께 작사한 'Tom sawyer'는 마크 트웨인 소설 속 주인공의 모험 정신과 트리오 꽉 찬 연주로 캐나다 국가(國歌)의 위상을 넘봤다.
프로그레시브 록의 바다는 넓고 깊어 미처 언급 못한 밴드들이 많다. 연극적인 무대 장치와 노랫말의 문학성으로 장르의 심연을 파고들었던 제네시스는 피터 가브리엘과 필 콜린스라는 1980년대 대표 뮤지션을 배출했다. 브라이언 페리와 브라이언 이노라는 독보적 캐릭터를 보유했던 록시 뮤직은 흥겨운 카바레 풍 사운드 아래 놀라운 실험성을 숨겨두었고, 따스한 선율로 국내 팬들에게 친숙한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와 하드 록 전설 딥 퍼플도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분류되곤 한다. 미국 프로그레시브 록의 대표적인 밴드들인 캔사스와 스틱스도 빼놓을 수 없다.
서두에 언급한 대로 위의 열 곡은 국내에 잘 알려졌거나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작품들을 개인적 시선으로 모아놓은 것이다. 더욱 다양한 선택지와 객관성 확보를 위해 영국 미디어 회사 퓨처(Future)의 프로그레시브 록 전문 잡지 <프로그(PROG)>의 2017년 3월호가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로그레시브 록 100곡' 중 상위 10곡을 소개한다. 영미권 전문가들의 시각과 국내 감상자들의 성향을 비교하며 감상의 폭을 넓혀보길 바란다.
*아티스트 - 곡명 / 앨범명(발표연도)
1. 제네시스 - 'Supper's ready' / <Foxtrot>(1972) 2. 예스 - 'Close to the edge' / <Close To The Edge>(1972) 3. 제네시스 - 'Firth of fifth' / <Selling England By The Pound>(1973) 4. 핑크 플로이드 - 'Shine on your crazy diamond pt.1' / <Wish You Were Here>(1975) 5. 킹 크림슨 - '21st century schizoid man' /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1969) 6. 핑크 플로이드 - 'Echoes' / <Meddles>(1971) 7. 예스 - 'Awaken' / <Going For The One>(1977) 8. 제쓰로 툴 - 'Thick as a brick pt.1', 'Thick as a brick pt.2' / <Thick As A Brick>(1972) 9. 킹 크림슨 - 'Starless' / <Red>(1974) 10. 러시 - '2112' / <2112>(1976) |
추천기사
관련태그: 채널예스, 예스24, 뮤직스페셜, 이즘특집, 프로그레시브록, 록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57,200원(19% + 1%)
32,600원(19% + 1%)
20,800원(19% + 1%)
42,200원(19% + 1%)
23,400원(19% + 1%)
20,800원(19% + 1%)
31,600원(0% + 1%)
31,600원(0% + 1%)
22,500원(0% + 1%)
22,500원(0% + 1%)
23,300원(0% + 1%)
30,400원(0% + 1%)
35,400원(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