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2521 함께해서 즐거웠고 다시는

과몰입러의 슬픈 분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2521은 끝났다. 예상했던 결과로, 하지만 실망스러운 방식으로. (2022.04.08)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자우림의 노래 제목이다. 가사를 유심히 들어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꽃이 지는 계절에, 바람에 실려온 기억을 더듬으며, “영원할 줄 알았던 스물다섯, 스물하나”를 떠올리는 이야기라는 것을. 그러니까 모든 것이 지나가고 빛이 바랜 지금, 아름다웠던 시절을 돌아보는 이야기다. 

‘스물다섯, 스물하나’를 직접 타이틀로 가져오고, 배경 음악으로 삽입하기까지 한 드라마가 있다. 김태리와 남주혁 등 젊고 아름다운 배우들이 찬란한 모습을 빛낸, 드라마 <2521>이다. 중심 인물 나희도와 백이진의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과 끝나는 순간에 딱 한 번씩, 김윤아의 목소리가 울려 퍼진다.

이쯤 되면, 이 드라마의 결말은 어렴풋이 정해져 있었다고 봐야한다. 드라마의 작가 혹은 연출자가 처음으로 자우림의 노래를 삽입하기로 한 순간, 희도와 이진이의 미래는 동화 같은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알려준 것과 같다. 

그렇게 두어 달이 흐른 지난 주말, <2521>은 끝났다. 예상했던 결과로, 하지만 실망스러운 방식으로. 그리고 지금 나와 같은 K드라마 과몰입러들은 단단히 화가 났다. 누군가는 이 드라마가 언해피엔딩인 것은 뻔하지 않았냐고, 청춘은 원래 지나가는 거라고 훈계를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나희도와 백이진이 헤어져서 화가 났는가? 그렇지 않다. 아무도 자우림의 노래를 듣고 “김윤아 선생님, 왜 옛사랑이 이뤄지지 않는 가사를 쓰셨지요?” 하고 화를 내지 않는다. 영화 <라라랜드>를 보고 “데이미언 셔젤 감독님, 왜 관객을 우롱하셨죠?” 하고 화를 내는 사람도 매우 드물 것이다.

<2521>을 사랑했던 시청자들은 무엇에 화가 났는가? 드라마가 애써 쌓아 올린 캐릭터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성이 붕괴된 것에 화가 난 것이다. 16회라는 긴 시간 속에서 인물들이 만나고 사랑하다가 헤어지고, 각자의 삶을 살다가 지난 시절을 아련하게 떠올리는 전체적인 과정의 설득력과 밸런스를 기대해 보았는데 그것의 어설픔과 용두사미에 화가 난 것이다. 2521 관련 유튜브 영상에 댓글을 남긴 어느 네티즌이 이를 명쾌하게 정리하여 지적하기도 했다.(링크:  //theqoo.net/dyb/2406291207)

물론, <2521>에는 빛나는 순간들도 많았다. 함께 울고 웃으며 초봄을 보내게 해 준 이 드라마에 고마운 마음도 크다. 늘 그렇듯 과몰입이 문제일지도 모른다. 오늘도 이렇게 케이드라마 과몰입러는 슬픈 분노를 억눌러본다. 새롭게 몰입할 다음 드라마가 기다리고 있으니까…….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김상훈

나답게 읽고 쓰고 말하기 위하여.

오늘의 책

조셉 머피 박사의 최고 역작

조셉 머피의 대표작이자 시리즈의 완결편. 역사상 가장 뛰어난 자기계발서란 찬사를 받으며 수백만 부자들에게 영감을 준 책이다. 조셉 머피 박사가 잠재의식에 관해 40년간 연구해 온 통찰을 다양한 사례와 실천 방법을 제시해 삶의 극적인 변화를 이끌도록 돕는다.

너와 내게 들려주고 싶은 말

여기는 작은 동물들이 사는 숲. 털이 보송보송한 동물들이 속상해보이는 아이에게 다가가 슬며시 말을 건넵니다. 그 말속엔 사랑과 응원이 가득해요. 다정한 마음을 말로 전하기는 겸연쩍었다면 이 책을 건네보세요. 내가 늘 너를 이렇게 생각한다고, 소중한 사람에게 또 자신에게 전할 마음들.

일러스트로 보는 꽃과 나무 이야기

우리에게 친숙한 37가지 꽃과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자라나는 나무 37가지에 대한 간단한 지식과 감각적인 일러스트가 돋보이는 책. 기존 도감에서 볼 수 없었던 색채로 표현된 74가지 꽃과 나무는 가까이 있었지만 멀게 느껴졌던 자연의 세계로 독자를 초대한다.

제27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수상작

외로운 아이의 마음을 살피는 섬세한 시선이 빛나는 임수현 작가의 동시집. 밤이면 그림자들이 가는 세계, 개도 사람도 정어리도 같은 말을 쓰는 세계에서 아이들은 더 이상 외롭지 않다. 이 유쾌한 뒤죽박죽 상상 놀이터에서 한나절 신나게 놀고 온 어린이들의 마음은 오늘도 부쩍 자란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