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낯선 기억들] 철학자 김진영의 난세 일기

『낯선 기억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우리에게는 저들이 희망이고, 저들에게는 우리가 희망인 거지” (2020.10.05)



『낯선 기억들』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다. 한 장은 ‘낯선 기억들’이란 이름으로 〈한겨레〉에 연재했던 칼럼 글이고, 다른 한 장은 매거진 〈나·들〉에 실었던 ‘데드 레터스 혹은 두 목소리’라는 세월호 관련 글이다. 두 개의 장 사이사이로는 선생이 생전 노트에 자필로 꾹꾹 눌러 적었던 여러 편의 글이 더해졌다. ‘난세 일기’라는 말에서 자칫 어렵고 딱딱하다는 인상을 받기 쉽지만, 『낯선 기억들』 속 선생의 글은 여전히 곧고 아름답다. 이병률 시인의 표현을 빌리면 ‘서정을 비추는 등대의 불빛’ 같고 ‘우리를 붙드는 삶 속의 어떤 울림’ 같은 문장들이 읽는 내내 가슴을 뭉근하게 데운다.

‘낯선 기억들’ 장에서 선생은 어느 검사의 죽음, 사라지는 노숙자들, 백남기 농민, 촛불이 모인 광장처럼 거칠고 불편하고 힘없고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 ‘데드 레터스 혹은 두 목소리’에서는 살아 있는 엄마가 죽은 아이에게, 죽은 아이가 살아 있는 엄마에게 보내는 두 장의 편지를 대신 배달한다. 그리고 그 모든 글의 끝에서 우리는 ‘사람이 끝이면 모두가 끝이다’라고 외치는 선생을 만난다. 산 자의 모습으로 죽은 자의 모습으로 인간다움이란 마침표를 붙들고 서 있는 선생을 만난다.

『아침의 피아노』가 죽음 앞에서 바라본 삶의 아름다움과 사랑의 마음을 담은 책이고, 『이별의 푸가』가 이별의 아픔과 부재의 마음에 대해 이야기한 책이라면, 『낯선 기억들』은 난세를 지나왔고 여전히 그 사이의 어딘가를 살아가는 중인 ‘나’, 개인으로서의 ‘나’가 아닌 수많은 ‘나’, 즉 ‘우리’에 대한 책이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오늘의 책

부와 성공을 부르는 아침 습관의 힘

힘들었던 과거를 극복하고 글로벌 사업가로 성공하는 데 가장 큰 원동력이 된 켈리 최 회장의 아침 루틴을 소개한다. 생각의 중요성을 강조한 전작 『웰씽킹』에 이어 생각을 행동으로 바꾸는 실천법을 알려준다. 100일, 하루 20분 모닝 루틴으로 원하는 삶에 다가가 보자.

평생 건강 솔루션

『당신도 느리게 나이 들 수 있습니다』 정희원 작가가 두 번째로 출간한 감속 노화 실천법. 지금 생활 습관이 20년 후 내 모습을 결정한다면? 생애 주기에 따라 생활 요소를 조절해 노화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오늘부터 당장 따라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실천법을 소개한다.

공중그네 닥터 이라부의 17년 만의 귀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친 우리에게 기발한 진단으로 웃음을 되찾아줄 닥터 이라부가 돌아왔다. 오쿠다 히데오의 업그레이드된 유머러스함으로 이라부와 마유미 콤비가 더욱 강력해졌다. 환자들에게 기발한 처방법을 내리면서 다시금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마법 같은 소설.

우리는 대체 왜 그 '행동'을 할까?

"왜 인간은 서로에게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끔찍하게 굴고, 때로는 더할 나위 없이 너그러워지는가?" 우리 본성의 '특별한 잔인함'과 '희소한 이타성', 그 양면성에 대한 역작. 집필에만 10년 이상 걸린 이 책은 인간 본성을 다양한 학문 분야를 넘나들며 종합해 살펴본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