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MD 리뷰 대전] 우울증은 도시 탓일까

『도시에 산다는 것에 대하여』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받아들일 준비가 된 고통은 감내할 수 있다. 도시에서의 삶도 그렇지 않을까? (2019. 02. 14)

도시에.jpg

 

 

 

알고 맞는 매와 갑자기 맞는 매 중 어떤 게 아팠는지 돌이켜보면, 후자였던 듯하다. 받아들일 준비가 된 고통은 감내할 수 있다. 도시에서의 삶도 그렇지 않을까? 교통 체증, 나쁜 공기, 소음, 불확실성, 빠른 템포, 표면적인 대인 관계 등 도시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이해한다면 이로부터 받는 괴로움도 줄일 수 있다. 정신과 전문의가 쓴 이 책은 도시인의 정신 건강을 다룬다. 저자는 도시를 사랑한다. 도시의 매력을 이야기하며, 행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건 탈도시가 아니라 도시에 머물며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제하려는 노력이라 강조한다.


 

 

도시에 산다는 것에 대하여마즈다 아들리 저 | 아날로그
도시 스트레스는 정확히 무엇이고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결국 사람들이 도시를 벗어날 수 없다면, 그곳을 유익한 공간으로 바꾸는 데는 무엇이 필요할까? 이상적인 도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손민규(인문 PD)

티끌 모아 태산.

도시에 산다는 것에 대하여

<마즈다 아들리> 저/<이지혜> 역14,220원(10% + 5%)

심각한 대기 오염, 복잡한 교통, 들끓는 범죄, 고독·우울·신경과민… 온갖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도시, 그런데도 사람들은 왜 몰려드는 걸까? “이 책은 ‘행복’이나 ‘편안함’ 같은 단어와는 도저히 어울릴 것 같지 않던 도시라는 공간을 완전히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해준다.”_ 《쥐트도이체 차이퉁》 ..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ebook
도시에 산다는 것에 대하여

<마즈다 아들리> 저/<이지혜> 역11,060원(0% + 5%)

“우리는 도시를 벗어날 수 없다. 그렇다면 그 안에서 어떻게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모두에게 유익한 이상적인 도시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오늘도 하늘이 회색빛이라 마스크를 챙겨 쓴다. 버스 정류장 코앞까지 왔는데 타야 할 버스가 막 출발하려는 게 보인다. 달리면서 손을 흔들어 버스를 간신히 잡아..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소설이 우리를 위로하는 방법

수천 년을 산 나무의 힘으로 한 명만 살릴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주인공 목화. 특별하지만, 잔인한 이 운명으로 인해 생명의 무게와 죽음의 의미를 깨달아 간다. 그 과정을 보며 오늘을 살아가는 ‘단 한 사람’ 우리 역시 위로와 감동을 받는다. 2023년 이상문학상 수상 작가인 최진영의 신작.

고립된 현대인을 향한 냉철한 분석

스마트폰으로 늘 연결된 현대인이지만 외로운 건 왜일까? 『피로사회』 저자 한병철은 서사가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서사와 스토리를 대조하며 현대사회를 설명한 이 책은 시대를 예리하게 통찰한다. 바쁘게 사는데 공허한가? 『서사의 위기』가 이유를 알려줄 것이다.

중요한 것은 타고난 유전자가 아니다

DNA가 작동하는 방식을 바꿈으로써 우리의 몸과 마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후성유전학. 데이비드 무어는 환경과 맥락에 따라 바뀌는 유전체와 유전자에 새겨진 경험의 대물림에 대해 살펴보며, 경험이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바꾸는 것을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가장 쉬운 달러 투자

달러 투자의 신 박성현 저자가 알려주는 달러 투자 입문서다. 기축통화인 달러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와 기본 원리부터 세븐 스플릿을 이용한 실전 투자법까지 모두 담았다. 원화 및 엔화 투자도 함께 다루고 있으며 단계별로 따라하고 예제를 풀며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되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