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역사를 바꾼 건 정치가 아닌 록앤롤 - 연극 <록앤롤>

록 음악을 자유롭게 듣는 것, 그게 자유야!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때문에 투쟁하고 대항하며 자유를 외치는 이 반항아들이 반가울 수 밖에. (2018. 12. 17)

9B63B631-5CD1-455F-B548-37AFC61FD5F2.jpeg

 

 

결코 멈출 수 없는 이유


연극 <록앤롤> 은 1968년 프라하의 봄부터 1989년 벨벳혁명까지 약 20년의 시간을 주인공 얀의 인생과 함께 엮어낸 작품이다. 체코 민주화 운동의 주변부에 있던 한 남자가, 자신의 자유를 억압당하고 부당한 정부의 탄압을 목격 한 후 민주화 운동의 중심부로 뛰어드는 과정을 느리지만 섬세한 호흡으로 그려낸다.

 

주인공 얀은 체코에서 태어나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유학을 한, 소위 엘리트 청년이다. 자유롭고 열정적인 영혼의 소유자답게 얀은 거침 없는 표현으로 가득한 록앤롤에 깊게 빠져든다. 체코에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설 무렵, 얀은 영국에서의 공부를 끝내고 고국으로 귀국한다. 그가 귀국을 하게 되는 과정에 딱히 정치적인 이유가 있는 건 아니다. 록앤록을 좋아한다는 이유로 심문을 받을 때에도 얀의 궁금증은 압수된 자신의 레코드판은 언제 받을 수 있는지 였으며, 친구이자 반체제 운동가인 페르디난드가 요청한 정부 대항 운동 서명에도 관심이 없다.

 

이처럼 극의 초반부에서 얀은 거룩한 신념을 가진 반정부 인사가 아닌, 그저 자신이 좋아하는 록앤롤을 들으며 작은 행복을 느끼는 평범한 시민으로 나온다. 허나 얀도 체코에 부는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피할 수는 없었다. 그저 “록앤롤”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이 하나의 음악 장르를 체코 정부가 탄압하고, 그들의 신봉자들을 감시하기 시작하면서 얀의 삶도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95E9BFE0-D2F3-42AF-ACE7-501EF9873F90.jpeg

 

 

<록앤롤> 은 2006년 영국에서 초연된 작품으로 초연 당시 런던 이브닝 스탠다드 연극부문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록앤롤>의 극작가 톰 스토파드는 체코 출신 영국 극작가로 토니상을 4회 이상 수상하고 영국 여왕으로 부터 기사작위까지 수여받은, 현존하는 영국 최고의 극작가 중 한 사람이다. 스토파드는 주로 인간과 사회의 문제에 대해 다루는 작품을 창작해오며 철학과 냉소, 블랙유머를 적절히 섞어 대중과 평단의 사랑을 받았다.

 

<록앤롤> 은 얀 뿐만 아니라, 스승이자 얀과 대비되는 인물로 그려지는 막스의 이야기 또한 중심부에서 이어가며 두 사람으로 대변되는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 두 사회 체제의 대립과 단면을 낯낯히 드러낸다. ”서로 의견이 다르고 생각이 다른 게 바로 인간입니다”라고 말하던 얀의 대사나, 엘레나와의 논쟁을 통해 이성이 아닌 인간의 감정에 대해 깨닫게 되는 막스의 모습은 이 작품의 주제를 관통한다.

 

연극은 무려 3시간이 넘는 긴 러닝타임으로 진행되지만 회전무대를 통해 영국과 체코 등 다양한 배경을 속도감 있게 보여주며 20여년의 시간을 매끄럽게 이어나간다. 그리스 고대 여시인인 사포를 비롯, 다소 상징적이고 관념적인 요소가 등장하여 이야기가 방대해지는 점이 조금 부담되긴 하지만 이 모든 것은 결말 부분에서 모두 이어진다. 결국 <록앤롤> 에 나오는 모든 이들은 모습은 조금 다르더라도, 뿌리 깊게 내리 박힌, 모순적이고 비합리적인 거대담론에 대항하는 ‘반항아’들이다. 그리고 그 반항아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를 바꾸기 위해 자신의 신념을 바쳐왔기에, 세상은 더 나은 방향으로 흘러올 수 있었다. 때문에 투쟁하고 대항하며 자유를 외치는 이 반항아들이 반가울 수 밖에.

 

자신이 옳다고 믿는 신념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모든 이들의 이야기가 담긴 연극  <록앤롤> 은 오는 12월 25일까지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된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임수빈

현실과 몽상 그 중간즈음

기사와 관련된 공연

오늘의 책

지정학의 시대, 돈의 미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주도로 확립된 세계의 질서는 점차 흔들리고 있다. 기축통화로 통용된 달러의 위상도 예전 같지 않으며 보편적 화폐에 대한 갈망도 커지고 있다. 변화하는 세계 질서를 이해하고 화폐와 비트코인의 미래를 오태민 저자의 인사이트로 잘 정리한 책이다.

인공지능이 요구하는 인간, 인문학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기술 챗GPT. 이 기술이 어디에서 활용되고, 업무 형태를 어떻게 바꿀지를 논한 책은 많았다. 그런데 대한민국 학자가 인간성, 인문학에 미칠 영향을 광범위하게 탐색한 책은, 단언컨대 『AI 빅뱅』이 최고다. 인간성, 인문학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에 내린 저주의 미스터리를 찾아서

김진명 작가의 2년 만의 신작 소설. 어느 날 대통령에게 의문의 ‘나이파 이한필베’라는 메시지가 도착한다. 이 메시지를 풀기 위해 대통령실 행정관 은하수는 고군분투하며, 대한민국에 내려진 저주의 정체를 쫓기 시작한다. 허구의 설정이지만 과거와 미래를 직면하게 하는 소설.

누구나 그 시간을 건너 어른이 된다

누구나 사춘기를 겪는다. 동물도 겪는다. 청소년 다람쥐는 방울뱀을 놀리고, 여우원숭이는 가장 가는 나뭇가지만 올라탄다. 이 책은 동물들의 성장기를 분석하여, '성장'이라는 인생의 여정을 매혹적으로 그려낸다. 세상의 모든 '새끼'들이 '어른'으로 자라는 과정은 경이로움마저 느껴진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