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나를 아프게 하는 착한 사람들

나카지마 요시미치의 『차별 감정의 철학』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동준 군 어머니의 바람은 소박했다. 내 앞에서 ‘아무도 자식 얘기를 하지 마라’는 부탁이 아니라 ‘나도 자식 얘기 하고 싶다’는 간청에 가깝다. (2018. 04. 13)

1.jpg

                                     언스플래쉬

 


오빠가 서른 초반에 병을 얻은 뒤, 엄마는 모임만 다녀오면 눈물지었다. 특히 명절이나 생일 등 가족 행사에서 다른 친척이 자식 얘기 하는 걸 견디지 못했다. 오빠 또래의 사촌들이 취직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다는 평범한 얘기는 그런 평범한 삶에서 멀어진 (듯 보이는) 자식을 둔 엄마를 소외시켰고 스스로의 처지를 비관하게 했다. 운명의 얄궂음일까. 유독 공개적인 자식 사랑으로 엄마를 힘들게 했던 한 친척의 생일날, 엄마는 갑자기 돌아가셨다.

 

장례를 치른 후 외숙모가 말했다. 엄마가 외숙모에게도 하소연을 종종 했다고 한다. 유일한 기댈 곳이었을지도 모른다. 외숙모는 짝 채워 장가까지 보낸 외아들을 사고로 잃는 큰 아픔을 겪었다. 그렇지만 그 후 친지 누구도 당신 앞에서 자식 얘기를 일절 하지 않았다면서,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그런 배려를 받지 못한 네 엄마가 많이 힘들었을 거라고 말했다. 그때만 해도 사실 나는 엄마의 괴로움에 공감하기보다 엄마의 나약함을 원망했다.

 

가족 얘기가 그 자체로 차별과 배제의 언어가 될 수 있음을 깨달은 건 다른 개별적 죽음, 그리고 사회적 비극을 접하면서다. 세월호 유족은 다른 사람하고 술 마시면 감정표현을 제대로 할 수 없어서 유족들끼리 만난다고 했다. 눈치 보지 않고 웃고 싶을 때 웃어도 되고 울고 싶을 때 울어도 되니까. 가족지상주의 사회에서 가족이 온전치 못한 이들이 감당해야 하는 일상의 소외는 비슷한 풍경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철학자 나카지마 요시미치는 차별 감정의 철학』 에서 이렇게 말한다.

 

“모든 애정의 표명 중에서 가족애의 표명만이 안전한 특권을 가진다. 어떠한 빈축도 사지 않고 어떠한 비판도 받지 않는다. 이는 가족 복이 없는 사람, 가족이 없는 사람, 아니 한발 더 나아가 가족을 사랑할 수 없는 사람, 가족을 미워하는 사람, 원망하는 사람, 인연을 끊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잔혹한 현실이다.”(140쪽)

 

얼마 전 2014년 1월 20일 일터에서 동료의 괴롭힘으로 자살한 현장실습생 김동준 군 어머니를 만났다. 근황을 얘기하던 어머니는 가족 모임에 나가기가 싫다며 눈시울을 적셨다. 조카들을 보면 아이 생각이 나고, 동준 군 외할머니는 죽은 지 몇 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운다고 핀잔을 주고, 마음 정리 잘 하라고 형제들은 당부하는데 그 자리가 불편하다고, 그렇다고 안 가면 더 걱정하니까 안 갈 수도 없다고 했다.

친구들 모임은 좀 낫지만 사정은 비슷하다. 한창 친구의 아이들이 군대 갈 즈음이라 만나면 군대 보내고 면회 가고 제대한 얘기가 화제다. 같이 기뻐하고 안도하다 문득 울컥한다. “나 눈물 나, 니 아들 잘났어.” 속내를 터놓기도 하지만 답답하다. 분명 그 자리에 있는 이들이 나를 아프게 했는데 나한테 뭐라고 말한 게 아니고 때린 것도 아니라서 그게 “미치고 환장할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2.jpg

          언스플래쉬

 

 

나는 어머니와 페이스북 친구다. 동준 군 또래인 내 아이의 군 입대와 제대 소식을 SNS에 올렸다. 막연히 생각은 했다. 혹시 이 포스팅을 군의문사 유가족이 본다면 마음이 아프겠다고. 그러나 자식을 군에 보내는 두려움조차 누군가에겐 복에 겨운 투정처럼 여겨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진 이르지 못했다. 동준 군의 어머니처럼 세월호 사건으로 자식을 잃은 부모도 여느 집 청년의 군 입대 소식에 눈물지었을지 모르겠다. 아이는 떠나도 부모의 자식으로는 나이를 계속 먹는다.

 

동준 군 어머니의 바람은 소박했다. 내 앞에서 ‘아무도 자식 얘기를 하지 마라’는 부탁이 아니라 ‘나도 자식 얘기 하고 싶다’는 간청에 가깝다.

 

“죽고 없지만 우리 아들 얘기 할 수 있다고 봐요. 근데 내가 얘길 하면 사람들이 초 긴장해요. 옆구리 쿡쿡 찌르거나, 아예 맘 아프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고. 나도 어느 정도 풀어야만 감정이 사라지는데 계속 누르고 있어야 되잖아요. 친구들한테도 그랬어요. 니들이 애들 군대 얘기 손자 얘기 할 때 나도 맨날 생각나고 슬퍼. 그래도 나는 웃으면서 니들 얘기 듣고 잘했다고 하는데, 친구라면서 내가 동준이 얘기하면 왜 불편해하냐고요. 살고 죽고 아프고 병들고 생로병사도 삶이에요. 결혼하고 연애하는 것만 삶이 아닌데, 그것도 삶이고 그 과정을 이기는 것도 삶인데 왜 그런 얘기를 편안하게 못 들어 넘기냐. 그게 서운하죠.”

 

우리 엄마도 아픈 자식 얘기를 어디서든 후련하게 할 수 있었으면 울화가 풀렸을까. 조금 더 오래 살았을까. 동준 군 어머니 말씀에서 엄마가 감내한 외로움의 크기를 짐작한다. 피붙이인 나도 감정노동을 거부했다. 나 역시 인생 최대의 난국을 보내는 중이어서 같이 무너질까 봐 엄마를 더 피했다. 만약 어느 자리에서든 엄마가 위축되지 않고 괜찮은 척도 하지 않고 당당하게 자기 슬픔을 떠들었다면, 듣는 사람들이 동정이나 입막음이 아닌 토닥이는 눈길로 들어주었다면 적어도 “자신의 존재가 통째로 세상에서 삭제되는 ‘시선의 차별’”(85쪽)을 겪진 않았을 것 같다.

 

동준 군 어머니는 자식이 그리울 땐 가끔 기사를 검색해 읽는다고 했다. 그렇게 아이를 기억하는 게 슬프지만 그게 세상과 자식 이야기를 나누는 방법인 것이다. 아이가 허술한 시스템에 의해서 죽었고, 그렇게 자식을 보낸 사람들은 아이를 배려하지 못한 세상과 사람에 대한 분노가 있다고, 그것을 표현하는 것도 받아들이는 것도 자연스러웠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우리 엄마의 친척이, 동준 군 어머니의 친지가 그랬듯이 “악의 없는 농담과 별생각 없는 자랑”에 차별의 싹이 숨어 있다. “사회적으로 낙오자도 사회적 부적격자도 아닌 ‘선량한 시민’인 그들이 차별 감정을 생산하고 있다.”(92쪽) 이처럼 ‘악독한 권력자’가 아닌 ‘선량한 시민’에 의해 생산되는 차별 감정이기에 이것을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저자는 진단한다.

 

방법은 이것이 유일하다. 자기 안에 숨은 나태함과 눈속임과 냉혹함과 끊임없이 싸우기. “나는 차별하지 않는다는 확신에 빠져 있는 한, 나는 ‘옳다’는 태도를 견지하는 한, 사람은 차별 감정과 진지하게 마주할 수 없다.”(205쪽)

 

어김없이 돌아온 슬픔의 달 4월, 타인의 아픔을 알아채지 못하는 나의 나태와 둔감을 경계하며 세월호에서, 세월호만큼 위태로운 일터에서 침몰당한 아이들과 자식을 잃은 부모들을 생각한다. 그들은 어떤 표정을 지으며 숱한 자식 이야기가 오가는 그 쓸쓸한 자리를 견뎠을까.

 


 


 

 

차별 감정의 철학나카지마 요시미치 저/김희은 역 | 바다출판사
드러내도 되는 악의와 반드시 숨겨야 하는 악의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펼치는 사유를 따라가다 보면 자신과 타인을 숱하게 속여 온 기만이라는 가면과 마주하게 된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3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ㆍ사진 | 은유(작가)

글 쓰는 사람.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쓰기의 말들』, 『글쓰기의 최전선』, 『폭력과 존엄 사이』 등의 책을 썼다.

차별 감정의 철학

<나카지마 요시미치> 저/<김희은> 역10,800원(10% + 5%)

불쾌, 혐오, 경멸, 공포… 타인을 향한 부정적 감정은 어디서 오는가? 왜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을 차별하고 혐오할까? 이제껏 당연하게 여겨 오던 것들로부터 우리가 아무것도 남길 수 없다면 어떨까. 당연하기는커녕 우리의 생각과 사소한 습관들마저 잘못된 것이고, 이제는 하루빨리 버려야 할 것이라면 어떨까. ..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끝나지 않는 오월을 향한 간절한 노래

[2024 노벨문학상 수상]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 간의 광주, 그리고 그 이후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작가의 철저한 노력으로 담아낸 역작. 열다섯 살 소년 동호의 죽음을 중심으로 그 당시 고통받았지만, 역사에서 기록되지 않은 인물들의 이야기를 꺼내 보이면서 그 시대를 증언한다.

고통 속에서도 타오르는, 어떤 사랑에 대하여

[2024 노벨문학상 수상] 2023 프랑스 메디치 외국문학상 수상작이자 가장 최근작. 말해지지 않는 지난 시간들이 수십 년을 건너 한 외딴집에서 되살아난다. 깊은 어둠 속에서도 “지극한 사랑”이 불꽃처럼 뜨겁게 피어오른다. 작가의 바람처럼 이 작품은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다.

전세계가 주목한 한강의 대표작

[2024 노벨문학상 수상] 2016년 인터내셔널 부커상을 수상한 장편소설이자 한강 소설가의 대표작. 보이지 않는 영혼의 고통을 식물적 상상력으로 표현해낸 섬세한 문장과 파격적인 내용이 큰 울림을 만들어낸다. 폭력의 악순환을 끊고,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나무가 되고자 한 여성의 이야기.

더럽혀지지 않는 어떤 흰 것에 관한 이야기

[2024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 소설가의 아름답고 고요한 문체가 돋보이는, 한 편의 시와 같은 작품.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고, 그 사이를 넘나드는 소설이다. ‘흰’이라는 한 글자에서 시작한 소설은 모든 애도의 시간을 문장들로 표현해냈다. 한강만이 표현할 수 있는 깊은 사유가 돋보인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