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에세이 대(對) 소설 <내부자들>

무엇이 쓰기 좋은가?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배우는 연기를 잘할수록 더 어려워진다는 말이다. 연기를 잘해냈기에 전작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그 후부턴 자기 과거를 갱신하는 연기력을 보여줘야 한다. 과거가 훈장이자 동시에 뛰어넘어야 할 벽이 되는 것이다.

이런 말은 뭣하지만, 지면을 채워야 하니 말한다. 내 공식적인 직업은 소설가다. 하나, 생계를  에세이나 칼럼을 써서 해결하기에, 소설가인지 에세이스트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느릿느릿 글을 써서 여유자적하게 살기에는 소설가가 좋다. 적당히 바쁘게 살기에는 에세이스트가 좋다. 하지만 한국사회의 특성인지 ‘에세이스트’라는 발음이 어려워서 그런지, 어딜가나 나를 항상 소설가라 부른다. 소설은 별로 안 쓰고 에세이를 잔뜩 쓰는데도 말이다. 가는 데마다 ‘소설가’라 불리면서 소설을 안 쓸 수도 없는 노릇이다. 왜 이런 말을 하느냐면, 소설은 에세이보다 훨씬 쓰기 어렵기 때문이다. 가능하기만 하다면, 평생 소설 따위는 쓰지 않고 에세이만 주구장창 쓰다가 얼렁뚱땅 소설가라 불리면서 사는 게 편하다. 소설을 쓸 때마다 이전 작품과는 다른 ‘무언가’를 쏟아 내야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는 이런 고민을 가장 많이 하는 사람들이 배우라고 생각한다. 


movie_image.jpg


영화 <내부자들>에서 배우 ‘류태호’는 대기업의 비자금을 관리하는 재무팀장이다. 그가 무슨 생각인지 비밀 파일을 검사에게 넘기려다가, 그만 납치되고 만다. ‘류태호’ 씨는 의자에 꽁꽁 묶인 채 벌벌 떠는 표정을 짓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이 살벌한 장면이 꽤나 친숙하게 느껴졌다. 그렇다. 그는 자그마치 12년 전 <살인의 추억>에서 동네 변태로 분하여 송강호에 의해 의자에 묶인 적이 있었다. 그 때의 벌벌 떨던 표정이 12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기억에 남아 ‘아, 이 장면 너무 친숙한데!’하고 느끼고 만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배우는 상당히 불리하다. 


한데, 이 배우 ‘류태호’를 꽁꽁 묶게 한 사람은 이병헌이다. 이병헌이 누구인가. 그는 십년 전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 배우 김영철에 의해 산매장 당해 죽을 뻔한 인물이 아닌가. 나는 영화를 보며, ‘아아. 이거 너무 하는구먼. 당해 본 사람이 이해해줘야 하는 거 아니야?’하며 봤다. 그러다 ‘인과응보’,‘종두득두’,‘출이반이’ 같은 사자성어가 떠올라, ‘아아, 저 친구 저러다 또 당하는 거 아닌가?’라고 생각했다. 아니나 다를까 이십여 분 뒤에 또 다시 의자에 묶여 ‘으으으’ 하며 치를 떨고 있었다. ‘사필귀정’이라 했던가. 예감이 맞았다는 말을 하려는 게 아니다. 배우는 연기를 잘할수록 더 어려워진다는 말이다. 연기를 잘해냈기에 전작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그 후부턴 자기 과거를 갱신하는 연기력을 보여줘야 한다. 과거가 훈장이자 동시에 뛰어넘어야 할 벽이 되는 것이다. 


movie_image (1).jpg


배우 류태호와 이병헌의 몇 장면만 보더라도, 전작이 떠올라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됐다. 물론 나처럼 이것저것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배우는 참으로 피곤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길게 돌아왔지만, 결국 소설 역시 배우들의 작업 못지않게 새로움을 전해야 한다. 다들 ‘어깨에 힘을 빼고 쓴다’고 하지만, 전작과는 조금이라도 다른 무엇을 담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약간의 기시감이라도 느껴지면, ‘아, 그 작가는 책 제목은 다른데, 쓰는 것마다 비슷해서 열 권을 읽어도 한 권을 읽은 것 같아’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다면, 에세이는 어떠냐고? 누가 죽는 사건으로 시작하건, 옆 집 개가 편식을 한다는 이야기로 시작하건, 결국은 ‘작가 색깔대로 글을 풀어갈 것’이라고 독자들은 기대한다. 물론, 모든 독자와 이에 대해 따져보진 못했다. 하지만, 만나본 독자는 대부분 ‘어차피 최 작가님은 자기 쓰고 싶은 대로 쓰잖아요’ 하며 단념하듯 말했다. 그러니까, 전작과 같은 방식으로 쓴다는 것은 소설에서는 지루함을 안겨주지만, 에세이에서는 묘한 안정감을 선사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에세이 쓰기가 훨씬 간편하고 즐겁다. 에세이 청탁 많이 주세요. 호호호. 



[추천 기사]


- <나이트크롤러>를 위한 헌정소설
- 내가 사랑한 수다 <한밤의 아이들>
- 영화라는 삶의 미장센 <러브 액추얼리>
- 사랑의 완성에 필요한 세 가지 〈말할 수 없는 비밀〉
- 나의 인턴 시절 이야기 <인턴>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최민석(소설가)

단편소설 ‘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로 제10회 창비신인소설상(2010년)을 받으며 등단했다. 장편소설 <능력자> 제36회 오늘의 작가상(2012년)을 수상했고, 에세이집 <청춘, 방황, 좌절, 그리고 눈물의 대서사시>를 썼다. 60ㆍ70년대 지방캠퍼스 록밴드 ‘시와 바람’에서 보컬로도 활동중이다.

오늘의 책

끝나지 않는 오월을 향한 간절한 노래

[2024 노벨문학상 수상] 1980년 5월 18일부터 열흘 간의 광주, 그리고 그 이후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작가의 철저한 노력으로 담아낸 역작. 열다섯 살 소년 동호의 죽음을 중심으로 그 당시 고통받았지만, 역사에서 기록되지 않은 인물들의 이야기를 꺼내 보이면서 그 시대를 증언한다.

고통 속에서도 타오르는, 어떤 사랑에 대하여

[2024 노벨문학상 수상] 2023 프랑스 메디치 외국문학상 수상작이자 가장 최근작. 말해지지 않는 지난 시간들이 수십 년을 건너 한 외딴집에서 되살아난다. 깊은 어둠 속에서도 “지극한 사랑”이 불꽃처럼 뜨겁게 피어오른다. 작가의 바람처럼 이 작품은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다.

전세계가 주목한 한강의 대표작

[2024 노벨문학상 수상] 2016년 인터내셔널 부커상을 수상한 장편소설이자 한강 소설가의 대표작. 보이지 않는 영혼의 고통을 식물적 상상력으로 표현해낸 섬세한 문장과 파격적인 내용이 큰 울림을 만들어낸다. 폭력의 악순환을 끊고,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나무가 되고자 한 여성의 이야기.

더럽혀지지 않는 어떤 흰 것에 관한 이야기

[2024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 소설가의 아름답고 고요한 문체가 돋보이는, 한 편의 시와 같은 작품.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고, 그 사이를 넘나드는 소설이다. ‘흰’이라는 한 글자에서 시작한 소설은 모든 애도의 시간을 문장들로 표현해냈다. 한강만이 표현할 수 있는 깊은 사유가 돋보인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