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법정스님이 사랑한 道의 음식

법정 스님의 『홀로 사는 즐거움』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법정스님은 말년에 인적이 드문 산중에서 홀로 오두막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춥고 눈 내리는 겨울이면 더 고립된 생활로 겨울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 스님을 겨울이 올 때마다 시끌시끌 세속의 장터로 유인하는 미끼(?)가 있었으니 바로 ‘산중 잔치’에 쓸 싱싱한 무를 구하기 위해서였다.

ed-radishes-318155_1920.jpg

 

가을, 겨울 무는 한마디로 산삼 부럽지 않은 보약 음식이다. 무는 본디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돕는 식품으로 유명하다. 특히 무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소화효소는 몸 안으로 들어온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촉진시키고 위 통증과 위궤양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식후에 속이 더부룩하고 가스가 차는 등의 불쾌감이 느껴질 때 무를 먹으면 큰 효과를 볼 수가 있다. 위장 기능이 약해졌을 때도 무를 갈아먹으면 좋은 효과를 볼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술 마시고 난 다음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높아져 두통과 구토 증세 등의 불쾌감이 나타날 때 무를 먹으면, 무에 함유된 전분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가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더부룩한 증상을 완화시키며 특히 아세트알데히드가 몸 밖으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런가 하면 무는 소염 작용과 해열 작용이 있어 감기에 걸렸을 때 코막힘, 발열, 어지러움, 두통 등의 증상에 효과가 있고, 기침이나 목이 아플 때도 효과가 있다. 무에는 식이섬유도 풍부하여 장내 노폐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여 해독기능이 있다. 설사나 변비에도 좋은 식품이다. 특히 변비와 설사가 반복될 때 이는 위장이 약해졌다는 증거로 이때 무를 많이 섭취하면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처럼 가을 겨울 제철을 맞은 무의 고마운 효능을 나열하다 보니 필자는 글만큼이나 정갈하게 무소유의 삶을 실천하다 가신 법정스님의 따사로운 문장들이 생각난다. 생전에 노스님의 소박하고도 담박했던 식탁의 한 켠을 정겹게 나누고 싶다. 

 

법정스님은 말년에 인적이 드문 산중에서 홀로 오두막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춥고 눈 내리는 겨울이면 더 고립된 생활로 겨울나기 쉽지 않았다. 그런 스님을 겨울이 올 때마다 시끌시끌 세속의 장터로 유인하는 미끼(?)가 있었으니 바로 ‘산중 잔치’에 쓸 싱싱한 무를 구하기 위해서였다. 스님은 장에 직접 내려가서 무를 한 배낭 짊어지고 오두막에 와서 그걸 개울물에 씻어 물기를 말린 뒤 싹둑싹둑 썰어서 무말랭이 감을 손수 만드셨다. 오두막 윗묵에 종이를 깔고 잘게 썬 무를 말리던 노(老) 수행자의 소박하고도 고즈넉한 모습을 상상해본다.

 

‘무 말랭이는 조근조근 씹을수록 깊은 맛이 난다. 나처럼 성질이 급한 사람도 무말랭이 먹을 때만은 천천히 씹어 그 특유한 맛을 음미한다. 송나라 때의 왕신만이라는 학자는 이런 말을 했다.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어 먹을 수 있다면 백 가지 일을 이룰 수 있다‘ 기름지게 먹기를 좋하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죽을 때까지 알 수 없겠지만 담백하게 먹는 사람들은 이 말뜻을 이내 알아차릴 것이다. - 『홀로 사는 즐거움』

 

이왕 무 이야기를 꺼냈으니 무 자랑을 좀더 하자. 무에는 안토크산틴이라는 항산화성분이 풍부한데 이는 호흡기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몸 안으로 들어오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감기를 예방한다.

 

영양적으로 무는 성분의 94%가 수분으로 비타민 C가 100g당 12mg으로 풍부하고, 칼륨, 칼슘, 식이섬유와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다. 무는 잎과 뿌리의 영양성분에 큰 차이가 있는데, 무의 잎에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라이신, 비타민, 칼슘 등이 뿌리보다 많이 들어있어 피부 미용과 감기예방에 효과적이다.

 

 

 

 

img_book_bot.jpg

홀로 사는 즐거움 법정 저 | 샘터
『오두막 편지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신작 산문집. 법정 스님을 얼마전에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와 길상사의 회주 등 모든 직함을 벗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삶과 침묵을 선언하셨다. 존재에 대한 성찰을 위해 끝없이 정진하는 진정한 수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이 책은 홀로사는 즐거움을 말하지만 결국 홀로 있는 것은 함께 있는 것임을 설파하는 책이다.



[추천 기사]

- 엄마의 맛 나가사키 카스테라
- 맥주를 부르는 계절 <대구피시&칩스>
- 이슬람과 유대인은 왜 돼지고기 섭취를 혐오할까
- 지구촌 소스 ‘마요네즈’의 국적은?
- 순수함이 필요해! 리코타 치즈 샐러드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
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김연수(의학전문기자 출신 1호 푸드테라피스트)

의학전문기자 출신 제1호 푸드테라피스트 / 푸드테라피협회장

홀로 사는 즐거움

<법정> 저8,820원(10% + 5%)

『오두막 편지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신작 산문집. 법정 스님을 얼마전에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와 길상사의 회주 등 모든 직함을 벗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삶과 침묵을 선언하셨다. 존재에 대한 성찰을 위해 끝없이 정진하는 진정한 수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이 책은 홀로사는 즐거움을 말하지만 결국 홀로 ..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타인을 담아 내는 이석원의 섬세한 시선

일상 속에서 만났던 소중한 것들에 대한 이석원의 에세이. 저자의 담백한 문장들과 사진들이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가닿았을 때, 얼마나 부드러워지고 따스해지는지 느껴볼 수 있다. 타인을 함부로 판단하지 않고, 이석원만의 시선으로 이해해보려는, 섬세한 마음을 가득 담았다.

인생을 바꾸는 일상 기록의 힘

베스트셀러 『거인의 노트』로 기록의 중요성과 방법을 전한 대한민국 1호 기록학자 김익한 교수의 후속작이다. 일상 기록을 통해 인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한 달 단위 기록의 중요성부터 일상 기록 방법, 기록이 가져오는 삶의 변화를 각 장으로 나눠 정리해 알려준다.

원만하게 관계 맺기

관계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문요한 저자의 신작. 가족, 친구, 연인, 동료와 어색하거나 불화한 적이 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본인의 애착 유형, 경청과 자기돌봄 등 관계에서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개념을 임상 사례와 함께 친절히 알려준다. 판단의 언어에서 헤아림의 언어로 나아가보자.

단숨에 읽는 최소한의 서양미술사

미술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랐던 이들을 위한 미술 교양서. 미술 양식과 작품을 시대순으로 따라가며 인문학적으로 해설한다. 미술사에 숨겨진 인과관계는 미술사조와 작품 이해에 큰 도움이 되며, 방대한 양의 서양미술사가 원인과 결과로 이루어진 하나의 이야기임을 알려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