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차우진의 사운드 & 노이즈
걸 그룹의 섹시하고 복잡한 모험
걸스데이, 레인보우블랙, 달샤벳
2014년이 시작되면서 흥미롭게 생각하는 건 그동안 ‘듣보잡’으로 여겨지던 걸 그룹들의 동시적인 변화다. 물론 이런 경향은 작년부터 예감되었던 것이기도 하겠지만 일단은 거의 동시에 이런 변화가 감지된다는 점에서 흥미롭게 여기게 된다. 맞다. 걸스데이와 레인보우 블랙, 달샤벳에 대한 얘기다.
이들에 대한 얘기를 하기 전에 먼저 지금 한국의 메이저 음악 산업의 구조변화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혹시 모르니 팩트보다 관점에 가깝다는 점도 밝혀둔다. 나는 한국의 메이저 음악 산업이 2009년 이후 아이돌과 비-아이돌로 완전히 양분되었다고 본다. 강조하건데 음악 시장이 아니라 ‘산업’이다(헷갈려서인지 많이들 섞어 쓰는 경우도 있는 것 같지만, 특히 대중문화 안에서 이 둘은 엄밀히 구분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가수의 데뷔를 포함해 음악을 만들고 판매하고 유통하는 것에 이르는 거의 전반적인 구조가 아이돌 대 비-아이돌의 이층 구조로 정립되었다는 얘기다. 이 맥락에 포함되는 건 싱어/송라이터든 댄스가수든 마찬가지다. 이런 구조에서 ‘사업’을 시도하려는 주체는 필연적으로 아이돌 가수를 발굴, 육성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한다. SM이나 YG처럼 소위 ‘잘 나가는 회사들’에 해당하는 얘기만은 아니다. 아이돌 가수의 곡에 외국 작곡가들이 많아지는 것, 기존의 독립적으로 활동하던 프로듀서들이 직접 아이돌 가수를 제작하는 것, 소년공화국이나 와썹처럼 유니버설 뮤직이나 소니 뮤직이 직접 아이돌 가수를 제작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아이돌이 현재 주류 가요의 보편적인 형식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이때 아이돌 산업의 기반으로서 팬덤이 더욱 중요해진다. 아이돌 산업은 어느 정도 확고한 이성애적 가치관 위에 존재한다. 가끔 ‘BL’이나 ‘백합물’ 같은 하위문화의 동성애 코드가 개입하기도 하지만, 아이돌 팬덤은 명백히 스타와 팬 사이의 이성애적 관계에서 형성된다. 특히 보편적으로 문화 산업의 주요 소비자들이 여성들이었다는 점(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 전부터 여성들은 대중문화의 주요 소비자들이었다)은 산업의 주체들(그러니까 기획사들)로 하여금 보이그룹을 더 공식화된 것으로 여기게 만들었다. 이런 이유로 보이 그룹은 보통 12살 정도의 여학생들을 팬덤의 대상으로 삼고, 그들이 고등학생이 될 때까지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리라는 기대를 갖게 된다. 누나 팬에게마저도 이들은 어쨌든 ‘오빠’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자 아이돌은 다르다. 보통 10대 소년들은 음악보다 게임에 열중하고, 그래서 걸 그룹은 조직화되지 않는, 파편화된 남성 팬덤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걸 그룹은 보이그룹들처럼 안정적인 팬덤을 기반으로 삼지 못한 채 주로 20대 이상의 성인 남성들이 집중된 군대나 학교, 지자체의 행사 같은 한시적인 시장을 노리게 된다. 특히 소녀시대, 카라, 2NE1, 브라운아이드걸스 같은 메이저 걸 그룹이 대중적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았던 2009년 이후는 걸 그룹의 경쟁이 가장 치열해진 때였고, 그만큼 메이저와 마이너 걸 그룹의 대비도 선명해졌다. 이 맥락에서 여자 아이돌 그룹의 ‘병맛’ 아이덴티티가 형성된다. 오렌지 캬라멜과 크레용팝을 이 분야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들의 정체성이나 존재감이 너무 뚜렷했다는 점이다.
관련태그: 걸스데이, 레인보우블랙, 달샤벳, Something, Cha Cha, B.B.B
8,900원(19% + 1%)
11,900원(20% + 1%)
11,100원(18%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