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4월 23일 '세계 책의 날' 기념 일러스트 - 책 읽는 풍경(남자 편)

세계 책의 날 기념 김한민 작가의 책 읽는 풍경 일러스트를 감상해보세요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봄과 책 사이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남자의 풍경. 그가 들고 있는 책은 무엇일까요?

hanmin_bom_수정.jpg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르헤스는 '책과 밤을 함께 주신 신의 아이러니'를 말했지만,
                                                                    책과 봄을 함께 주신 것도 만만치 않은 아이러니다.
                                                         책을 보라는 건지, 풍경을 보라는 건지... 행복한 고민이다.


                                                                                                                                   김한민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2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그림, 김한민

1979년 서울 출생이다. 대학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했고 그림책과 만화 등 이미지로 이야기하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그리스 비극의 가면 제작사를 다룬 만화 『유리피데스에게』, 그림책 『웅고와 분홍돌고래』를 쓰고 그렸으며, 동물학자인 형과 함께 어린이를 위한 동물 행동학 책 『Stop!』을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거미 여인의 키스』(민음사 세계 문학 전집 특별판) 등 다양한 작품에 디자이너이자 삽화가로 참여했다. 데뷔작인 『유리피데스에게』부터 지금까지, 자연과 동물에 대한 관심으로 많은 동물 캐릭터를 창조해 이야기에 등장시키는 작가다. 『혜성을 닮은 방』의 세계에서 사서 찬찬(펭귄), 식물 언어 통역사 앙리(게) 등이 자연스럽게 인간과 공존하고 소통하는 것 역시 같은 맥락에 놓여 있다. 또, 어린 시절 스리랑카와 덴마크에서 살았고 2년간 페루 북부의 도시 치클라요에서 자동차 정비 분야 자원봉사자로 활동했던 경험을 살려 책 속에 다양한 지역적, 문화적 색채를 불어넣고 있다. 최근 그래픽 노블 『카페 림보』, 그림책 『사뿐 사뿐 따삐르』를 출간했다.

오늘의 책

누가 왜 괴물 부모가 되는가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우리사회는 본격적으로 괴물 부모와 마주하게 됐다. 일부의 일탈이 아니다. 많은 부모가 괴물이 되었다. 이들은 교실을 교란하고, 자식마저 망친다. 이 책은 우리보다 먼저 괴물 부모 문제를 겪은 홍콩과 일본 사례를 검토하며 대처법을 모색했다.

마음을 치유하는 그림책 처방전

고민을 듣기 위해 교실에 세워진 우체통. 학생 저마다의 사연에 조언을 주고, 마음을 보듬는 그림책을 추천해 온 이현아 선생님은 더 많은 아이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책을 펴냈다. 상황에 맞는 선생님의 마음 약 편지와 처방받은 그림책을 읽다 보면 어느덧 생채기 난 마음엔 새살이 돋아날 것이다.

6,000년 세계사를 단숨에!

53만 역사 유튜버 쏨작가의 첫 책. 오늘날 꼭 알아야 할 세계사의 핵심을 한 권으로 정리했다. 고대 문명부터 강대국의 발전 그리고 오늘날 세계정세의 흐름까지, 속도감 있게 전개되는 저자만의 스토리텔링은 세계 역사의 결정적 장면과 최소한의 역사 교양을 흥미진진하게 전달한다.

외로운 드라큘라가 전하는 따스한 위로

『티나의 종이집』 김개미 작가의 신작 동시집. 혼자 살아가는 드라큘라 아이를 통해, 어른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아이들의 외로움과 두려움을 들여다 본다. 어린이라고 무조건 밝고 즐겁기만 해야할까? 이젠 우리 아이 마음 속 외로움에 따스한 위로를 전할 때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