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개그콘서트> 멤버 중에 가장 책을 많이 읽는 개그맨은?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 출판 기념 기자간담회 박성호, 김준호,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KBS <개그콘서트> 대표 개그맨 박성호, 김준호,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가 자신의 개그철학과 일상을 담은 에세이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를 펴냈다. 출간을 기념해 2월 20일,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14년째 일요일 밤 안방극장을 책임지고 있는 KBS <개그콘서트>. 개그맨 지망생들에게는 꿈의 무대인 그곳에서 가장 오랫동안 활약하고 있는 박성호와 김준호, 차세대 주자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가 대한민국 개그맨들의 현재와 고민을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를 통해 털어놓았다. 2년 전부터 준비한 책으로, 인터뷰어 위근우 기자가 개그맨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는 단순히 개그맨들의 일상 이야기를 넘어, 대한민국에서 개그맨으로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웃음을 만들기 위해 그들이 어떠한 노력을 하고 고민을 하고 있는지를 솔직하게 담았다. 방송에서 보이는 모습이 전부가 아닌 개그맨들, 하나의 유행어가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지, 책을 통해 공개했다.




개그맨 지망생들에게 필독서로 자리잡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는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의 주인공 박성호, 김준호,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가 참석해, 책을 출간하기까지의 과정과 고민에 대해 가감 없이 밝혔다. 5명의 멤버 중 최고 선배인 박성호는 “개그맨 생활 16년 만에 책을 내게 되어 의미가 깊다. 다섯 명이 어떤 생각을 하기에 이런 웃음이 나올까, 이런 생각들이 책에 모두 담겨있다. 각자의 개성과 마음을 알아볼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효는 “웃기는 개그맨들이지만 우리에게도 다른 면이 있다는 걸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단순히 개그맨 지망생들을 위한 책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5명의 개그맨들은 기자간담회 내내 농담을 이어갔지만 책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사뭇 진지한 태도를 보이며,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에 대한 남다른 소감을 전했다.

어떤 자리에든 선배들보다 항상 20분 먼저 온다는 최효종은 “이 책이 개그를 준비하는 후배들의 필독서로 자리잡아 스테디셀러가 됐으면 좋겠다”며, “책을 쓰면서 나에 대해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우리 개그맨들은 개그를 만들 때 정말 많은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한다. 가끔 내가 하는 이야기를 듣고 ‘뭘 알고 지껄이냐’고 반감을 보이는 분들도 있는데, 그런 오해를 풀고 싶었다. 행동 하나, 단어 하나하나 모두 생각하고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KBS 공채 25기로 가장 막내로 책에 참여한 신보라는 “학창시절, 꿈에 대한 두려움이 많았다. 그랬던 평범한 학생이 개그우먼이 돼서 무대에 서기까지 어떠한 과정이 있었는지, 지금 어떤 마음인지를 담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




김준호, <개그콘서트> 표절논란에 대해 입장 밝혀

최근 <개그콘서트> ‘건달의 조건’이 일본 개그맨팀 카우카우의 ‘야쿠자부자’를 표절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일이 있었다. 김준호는 이에 대해 공식석상에서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김준호는 “개그 아이디어를 짤 때, 우리 아이디어인 줄 알고 썼는데 어릴 적 기억 속의 코미디인 경우도 많다. 이럴 때 표절시비가 나오면 우리는 정말 멘붕이다. ‘건달의 조건’의 경우에는 일본 개그맨 측에서 의혹을 풀어줘 현명하게 잘 해결됐다”며, “아직까지 개그 아이디어는 상도덕 문제로 양해를 구하는 수준이다. 음악은 저작권을 인정 받지만 유행어는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 저작권이 아무 것도 없어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원효는 “개그맨들이 아이디어 회의를 할 때 비슷한 의견들이 종종 나온다. 내용이 겹칠 때도 많은데, 그럴 때는 오히려 서로의 의견을 조합해서 하나로 만들려고 노력한다. 표절 의혹도 관심과 애정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효종은 “개그의 목적은 웃음 하나이기 때문에 방향도 비슷할 수밖에 없다. 인터넷이 발달되면서 우리가 모방한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비슷한 개그가 과거에 있었다는 게 발견되면 표절시비가 붙는다. 이렇다고 우리가 주저한다면 개그 소재는 줄 수밖에 없다. 때문에 우리도 최대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하고 비슷한 것이 없는지도 유심 있게 찾아보고 있다”고 시청자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5명 중에 가장 독서를 많이 하는 개그맨, 최효종

박성호, 김준호,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 중에 가장 책을 많이 읽는 개그맨은 누구일까. 박성호는 “일단 김준호는 아니다. 읽은 시간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고, 김준호는 “명언 베스트를 꾸준히 읽고 있다. 방송에 종종 써먹을 때가 많다”라고 받아 쳤다. 김원효는 “잡지도 책 아닌가요? 다양한 이야기를 접하기 위해 잡지를 많이 읽는다”고 밝혔고, 최효종은 “부동산, 경제 등에 관심이 많다. 잡학도서, 경제 단어 알기 같은 책을 좋아한다. 신문도 구독해서 열심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선배들로부터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신보라는 “책 선물은 많이 받는데, 사실 자주 읽지는 못한다”고 밝혔다.

어릴 적 집에서 만화방을 했다는 김원효는 “부모님께서 20년이 넘게 만화방을 하셨는데 그 때는 집에 책이 많으니까 오히려 관심이 없었다. 만화방을 관두시고 나니까, 오히려 책에 관심을 갖게 됐다. 하지만 또 개그맨이 되니 시간이 부족해 독서를 멀리하게 됐다(웃음). 그래도 요즘에는 한 달에 한 권은 읽으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김준호는 “스즈키 도시후미의 『도전하지 않으려면 일하지 마라』는 책을 3번 넘게 읽었다. 도전을 좋아한다. 후배들은 왜 이렇게 일을 벌리냐고 나에게 말하는데, 이상한 의무감이 있다”며 ‘부산 코미디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img_book_bot.jpg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 박성호,김준호,김원효,최효종,신보라,위근우 공저 | 예담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는 이 프로그램의 위상을 이어가는데 큰 몫을 하고 있는 재기발랄한 신인, 박성호, 김준호 등 중견 개그맨과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의 인터뷰집이다. '개콘'의 대표 인기 개그맨인 이들이 처음으로 자신의 개그 철학과 일상에 대한 이야기를 진솔하게 낱낱이 털어놓았다. 『웃음만이 우리를 구원하리라』는 이 프로그램의 위상을 이어가는데 큰 몫을 하고 있는 재기발랄한 신인, 박성호, 김준호 등 중견 개그맨과 김원효, 최효종, 신보라의 인터뷰집이다. '개콘'의 대표 인기 개그맨인 이들이 처음으로 자신의 개그 철학과 일상에 대한 이야기를 진솔하게 낱낱이 털어놓았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2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엄지혜

채널예스, 월간 채널예스, 책읽아웃을 만들고 있습니다.
eumji01@yes24.com

오늘의 책

유현준이 엄선한 근현대 세계 건축

인간은 건축과 함께 산다. 건축물을 통해 우리 자신과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 유현준 저자가 감명받은 30개의 근현대 건축물을 책 한 권에 모았다. 유럽, 북미, 아시아의 멋진 건축을 소개함으로써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지, 미래의 건축은 어때야 하는지를 모색한다.

한여름밤의 꿈같은 7일간의 파리 미술 여행

프랑스 공인 문화 해설사인 저자가 직접 고른 7개의 미술관, 40개의 명화들을 소개하는 미술 교양서. 10초에 한 작품씩 봐도 벅찬 루브르 박물관부터 모네를 가장 많이 소장한 마르모탕 미술관까지, 친절한 설명과 안내를 따라가다 보면 7일간의 파리 명화 기행이 꿈처럼 펼쳐질 것이다.

우정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

유지혜 작가 신작 에세이. 전작들에서 특유의 감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그는, 이제 삼십대의 단단함으로 돌아왔다. 자신을 흠뻑 적시고 더 넓은 세계로 연결해준 다양한 우정의 모습들을 데리고. 매번 연결되는 그 마음들은 차근히 쌓여 또 다른 내가 될 것임을 전하는 이야기.

경제레터 '어피티' CCO가 들려주는 경제교양

경제상식도 알고 실전 재테크도 해봤지만, 한국경제를 이해하기 어려웠던 이들을 위한 입문서. 증권파동부터 깡통전세까지, 경제 이슈의 뿌리가 되는 핵심 사건 속 역사를 들려준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경제사를 듣다보면 오늘의 경제 뉴스 흐름을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