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24, 역사 멘토 '큰별쌤 최태성' 단독 강연회 개최
인생의 해답은 모두 역사에 있다!
글 : 예스24
2023.03.13
작게
크게


대한민국 대표 서점 예스24가 '큰별쌤'으로 유명한 최태성 한국사 강사의 단독 강연회를 개최한다.이번 단독 강연회는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시즌 2를 앞두고 어린이들이 궁금했던 역사나 역사적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자 기획됐다.

강연은 오는 4월 8일 토요일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한성대학교 낙산관 대강당에서 진행된다. 오후 1시부터 60분간 '인생의 해답은 모두 역사에 있다'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강연이 끝난 후 독자들과 함께하는 사인회가 이어질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예스24 홈페이지에서 4월 4일까지 응모 가능하고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시즌 1을 읽고 궁금했던 인물이나 역사 등에 대한 질문을 남기면 된다. 추첨을 통해 총 400명의 독자를 초대하며, 참가자 1명 외 보호자 포함 최대 2명까지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최태성 강사는 누적 수강생 수 600만 명을 보유한 한국사 대표 강사로 온라인 강의와 방송을 넘어 대중 역사서 집필을 통해 역사의 대중화를 실천해 온 작가이기도 하다. 전작 『역사의 쓸모』는 23만 부 이상 판매되며, 학생뿐 아니라 청년과 중년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독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관련 링크
예스24 X 다산어린이 '큰별쌤' 최태성 단독 강연회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최태성 글 | 신진호 그림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2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2
최태성 글 | 신진호 그림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3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3
최태성 글 | 신진호 그림
다산어린이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 예스24 # 예스24소식 #역사강연회 #역사 #한국사 #한국역사 #큰별쌤최태성 #최태성
0의 댓글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최태성> 글/<신진호> 그림

출판사 |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최태성> 글/<신진호> 그림

출판사 |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2

<최태성> 글/<신진호> 그림

출판사 |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2

<최태성> 글/<신진호> 그림

출판사 |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3

<최태성> 글/<신진호> 그림

출판사 | 다산어린이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3

<최태성> 글/<신진호> 그림

출판사 | 다산어린이

Writer Avatar

예스24

예스24는 삶의 동기를 제공하는 문화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공연, 전시 등을 통해 끊임없이 계속되는 모두의 스토리와 함께 합니다.

Writer Avatar

최태성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대광고등학교 등에서 20년간 교직에 몸담았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EBS 한국사 대표 강사로서 학생들에게 ‘웃으며 듣다가 감동의 눈물을 흘리는’ 한국사 명강의를 선사하고 있다. 현재는 이투스에서 무료 온라인 강의 사이트 ‘모두의 별★별 한국사’를 열어 학생들과 만나고 있으며, 유튜브에서 무료 강의 채널 ‘별별 히스토리’를 운영 중이다. 또 KBS 1TV [역사저널 그날], KBS 라디오 [박은영의 FM대행진] 등 각종 매체에 출연하였으며, EBS1 [미래교육 플러스]에서 MC를 맡고 있다. 다양한 강연을 통해서도 한국사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역사의 대중화’라는 꿈을 실현하기 위한 큰★별쌤의 새로운 도전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되고 있다. 고교 시절 성적이 잘 나와서 역사를 잘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사학과에 진학했다. 그러나 대학교 1학년 때 우연히 보게 된 5·18민주화운동 영상으로 그간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에 회의를 느끼게 됐다. 다시 새로운 시선으로 역사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그 후 지난 30년간 고등학교 역사 교사, 한국사 교과서 집필, TV 역사 프로그램 진행, 역사 강연 등의 활동을 하며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여정을 이어왔다. 지금은 ‘역사란 사람을 만나는 인문학’임을 믿으며 과거의 시간과 사람에 대한 애정을 가슴에 담고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