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권의 뒷면] 영어 문장을 교정보는 날이 올 줄이야 - 『하루 영어교양』
영어와 밀접한 책이고 서양 문화 상식을 다루지만 국내 저자가 쓴 책인 만큼 한국 독자들이 느끼기에 생소하고 신선할 만한 이야기를 담으려 애썼다.
글ㆍ사진 사공영(유유 편집자)
2022.02.07
작게
크게
사진 _타별
숙어를 좋아했던 어린 시절

책 만들 때 가끔 ‘책 나오면 꼭 보여 주고 싶은 사람’이 떠오를 때가 있는데 이 책은 다 만들고 나니 중학생 시절 나에게 쥐어 주고 싶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피아노 선생님 딸이면서 엄마의 직장 동료 딸이기도 했던 경인이 언니에게 처음으로 영어 문장 읽는 법을 배웠다. 알파벳을 외거나 써 본 적이 없어서 소문자 스물여섯 개도 그때 처음 익혔는데, 이제 겨우 ‘b’와 ‘d’를 구별해 내던 나에게 언니는 영어 일기를 써 보자고 제안했다. 영어 못해도 아무렇게나 써 오면 틀린 건 언니가 고쳐 주겠다고, 고작 일곱 살 많았으면서 빼곡히 채운 일기장 뭉치를 보여 주었다. 영어보다 언니가 멋있어서 그때부터 1년 넘게 영어로 일기를 썼다. 그러면서 ‘숙어’라는 단어를 알았고 ‘go to bed’를 시작으로 ‘나와 다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의 말 습관’ 같았던 숙어를 좋아하게 되었다.

한국어 문장에는 우리말 쓰는 사람들의 생각이 담기고, 영어 문장에는 영어권 나라들의 문화가 담긴다는 말이 딱 맞다. 일기 마지막 줄에 ‘일기 다 쓰고 잠자리를 폈다’라는 뜻으로 “I wrote diary and opened bedclothes.”라고 써 놓으면 언니는 ‘go to bed’라는 관용어를 가르쳐 주었다. 미술 시간마다 움츠러들어서 “Today I think again I hate art.”(나는 오늘 내가 미술을 싫어한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다)라고 써 가면 “I have no gift for painting.” 또는 “I don’t think painting is right for me.”라고 고쳐써 주었다. 재미있게 본 드라마 이야기를 쓰면 ‘soap opera’라는 단어를 알려 주었고, 간식거리를 가져가면 ‘potluck’이라는 말과 함께 포틀럭 파티라는 문화가 있다고 설명했다. 언니가 들려준 이야기 하나하나에 오래전부터 온돌 말고 침대에 누워 잤던 사람들의 관습, 마을 잔치나 품앗이와는 다른 방식의 일손 나누는 문화, 재능을 신의 선물이라고 생각하는 이유와 배경 등이 녹아 있었다. 이 재미가 영어 일기 쓰기의 가장 큰 수확이었다. 시간이 흘러 나는 영문과에 입학했고, 졸업 후 직장에서 책을 만들며 공교롭게 영어 숙어를 교정교열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긴장을 풀 수 없었던 책

숙어 366개, 숙어를 포함한 영어 문장 366줄을 살피며 어찌나 불안하고 초조하던지. 내리 세 번을 보고도 제목이 『하루 영어교양』인데 영어 틀리면 어쩌나 걱정하면서 ‘수 일치, 시제 일치’ 같은 기초 영문법을 되뇌었다. 복수 접미사 ‘-s’, 3인칭 단수 주어 뒤 동사에 붙는 어미 ‘-s’, 까딱하면 놓칠 것 같은 전치사들은 최종 교정지에서도 모두 두 번씩 확인했다. 한글 문장에서는 가리키는 사물이나 사건이 아무리 여러 개라도 불필요한 ‘-들’은 가급적 덜어낸다. 반면 영어 문장에서는 지칭하는 사물이 셀 수 있는 것이고, 하나가 아닌 경우 ‘-들’에 해당하는 ‘-s’를 빠뜨리면 안 된다. 서술어가 타동사인데 목적어가 없으면 비문일 확률이 높다. 정관사 ‘the’와 부정관사 ‘a/an’도 틀리면 어색해지는 영문법의 기본이다. 당연한 것들이지만 그래서 지나칠까 봐 더 긴장을 풀 수 없었다.

그리고는 원고를 이리저리 섞어 보았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한 페이지씩 보라고 만드는 책인데 기왕이면 독자가 ‘오늘 같은 날 읽고 기억하기 딱 좋은 이야기네’ 하고 느낄 수 있길 바랐다. 휴일과 절기, 기념일이 잔뜩 적힌 새 달력을 넘겨 가며 새봄 첫 공휴일인 3월 1일에는 ‘red letter day’(빨간 날), 만우절인 4월 1일에는 ‘cock and bull story’(거짓말) 꼭지를 가져다 놓았다. 노동자들의 일터에서 비롯된 표현은 5월 1일에, ‘고디바 초콜릿’ 엠블럼의 주인공인 레이디 고다이바의 전설에서 유래한 표현은 2월 14일에 배치했다. 



번역을 제안하러 갔다가 

영어와 밀접한 책이고 서양 문화 상식을 다루지만 국내 저자가 쓴 책인 만큼 한국 독자들이 느끼기에 생소하고 신선할 만한 이야기를 담으려 애썼다. 언어와 지식은 애초에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제목을 ‘하루 영어 공부’가 아니라 『하루 영어교양』으로 붙인 만큼 영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언어와 맞닿아 있는 지식, 말로 굳어진 서양 문화 상식을 전하는 책이 되도록 구성했다.

저자인 서미석 선생님은 오래전 번역가로 처음 뵈었는데, 얼마 뒤에 “번역을 20년 하고 보니 출판에도 관심이 생겨 편집자로 취업했다”고 하시며 나를 놀라게 하셨다. 그만큼 ‘책에 진심’이시지만 책을 쓰고 싶어 하시리란 생각은 못했는데, 묵직한 고전 번역을 제안하러 나간 자리에서 번역은 미뤄 두고 원고를 청탁하고 돌아왔다. 신화와 고전, 성경과 역사를 다룬 책을 많이 번역하다 보니 마치 유교와 불교처럼 서양 문화를 이루는 두 축인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에 관심이 생길 수밖에 없었고 공부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말씀에 그 공부를 책으로 엮어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당장 다음날부터 번역하시면서 

① 특히 한국 독자들에게 각주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관용구, 

② 웬만큼 알려져 있지만 파고들면 생각보다 유래가 더 깊은 관용구, 

③ 알아 두면 언젠가는 쓸모 있을 영어 상식과 서양 문화 상식을 기억나는 대로 끌어모아 달라 부탁드렸다. 

그렇게 목차 초안을 정리해 보내시면서 선생님은 “신화와 성경만으로는 366일 치가 채워질 것 같지 않아 범위를 좀 더 넓혀 역사적 배경을 가진 어휘와 고전 작가들이 작품에서 처음 써서 이후 관용어로 굳어진 어휘도 추리고 있습니다.” 하는 말을 덧붙이셨다.

그 결과 책의 저변이 신화, 성경, 역사, 문학으로 확대되었다. 고대 로마의 역사부터 중세 철학자와 신학자 들의 논쟁, 근대 초기 토머스 모어나 셰익스피어 등이 발표한 시와 소설, 이솝 우화에서 시작된 2000년 묵은 속담과 영어 고사성어, 제1~2차 세계대전 당시 떠돌던 소문 등에서 유래한 말과 상식이 모두 모였다. 그러니 갈수록, 단어와 숙어를 외워 가며 영어 실력보다 영어 속에 담긴 사고방식과 문화 지식 쌓기를 흥미로워했던 때가 기억난 것이다. 


나 영어 좋아했네

진심으로 영어를 좋아했지만 지금은 영어에 자신이 없다. 숱하게 썼던 표현도 어렴풋하고 간단한 단어마저 아리송하고 헷갈린다. 영어 문장 읽는 속도도 예전 같지 않다. 버리지 않고 모아 둔 영어 독후감과 과제물을 넘기다 보면 내가 쓴 글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다. 외국어 공부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꾸준함이라는 걸 몸소 증명하고 있는 거라 생각한다.

『하루 영어교양』을 만들면서 이미 한참 멀어진 영어 때문에 애먹었지만 ‘아 나 영어 좋아했네’ 하고 깨달으며 영어와 치열하게 씨름했던 때를 떠올릴 수 있어 좋았다. 독자들은 씨름하지 않고 하루에 한 쪽씩만 읽으면 되게 만들었다. 영어든 서양 문화든 문화 상식이든 하나에만 관심을 갖고 읽어 보아도 1년이면 셋을 다 얻을 수 있게 만들고자 노력했다.

책이 나오고도 영어 오탈자 신고가 들어올까 조마조마하지만, 영어 문장이 자연스럽지 않다며 편집자의 영어 실력 미숙을 짚어 주는 독자를 만난다면 그건 그것대로 즐거운 경험일 거다. 그런 독자 만날 날을 애타게 기다리는 중이다.



하루 영어교양
하루 영어교양
서미석 저
유유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 예스24 # 이렇게만들었습니다 #영어 #하루영어교양
5의 댓글
User Avatar

현준맘

2022.02.15

[하루 영어교양] 읽어보려고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있었는데 바로 주문해야겠네요. 너무 재밌을 것 같아요~ 기대됩니다.
답글
0
0
User Avatar

leonard

2022.02.09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외래종교 형태로 단순 포교되어, 줄곧 정규교육기관도 없이, 주변부 일부 신앙으로 이어지며 유교 밑에서 도교.불교가 혼합되어 이어짐.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중 일연이 국가에서 편찬한 정사인 삼국사기(유교사관)를 모방하여, 개인적으로 불교설화 형식으로 창작한 야사라는게 정설입니다.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무속은 은.주시대 始原유교의 하늘숭배,산천숭배,조상숭배, 주역(점)등에서 파생된 始原유교의 지류.

역사적 순서로 보면 황하문명에서 은.주시대의 시원유교[始原유교:공자님 이전 하느님(天)과 여러 神明을 숭배]에서, 한국 고조선의 기자조선으로 始原유교유입, 기자조선(始原유교) 마지막왕 기준의 후손이 삼한건설, 삼한(始原유교)의 영토에서 백제(마한).가야(변한).신라(진한)가 성립됨.
답글
0
0
User Avatar

leonard

2022.02.09

공자님의 유교이전에 성립된 은.주시대의 시원유교와 공자님이후으 유교가 동아시아의 정신적 구심점. 서양은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동아시아는 수천년 유교사회입니다. 공자님 이전의 始原유교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예수님 이전의 구약성서 시대에 해당됩니다. 하느님(天).神明,조상신 숭배가 유교의 큰 뿌리입니다. 유교는 국교로, 주변부 사상으로는 도가나, 음양가, 묵가사상등이 형성되었고, 법가사상은 이와는 다른 현실적인 사상이며, 국가의 통치에 필요한 방법이었습니다(진나라때 강성하고, 유교나 도교와 달리, 한나라때 율령이 반포되어 이후 동아시아에 유교와 별도의 성격으로 국가통치에 활용됨).@일부 지역에서 굿이나 푸닥거리라는 명칭으로 신령숭배 전통이 나타나도, 이를 무속신앙이라 하지는 마십시오. 불교라고도 하지 마십시오. 유교 경전 논어 팔일(八佾)에서는 공자님이전부터 섬겨온 아랫목 신(안방신), 부엌신등을 섬기는 전통도 수록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통적인 신명 섬기기에 대해서, 공자님도 오래된 관습으로, 논어 "향당(鄕黨)"편에서, 관습을 존중하는 예를 표하셨습니다. 신명(神明:천지의 신령)모시기 전통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조상을 섬기는 제사는 유교가 공식적이고, 유교 경전에 그 절차와 예법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유교경전 예기에는 상고시대 조상신의 위치에서 그 혼이 하늘로 승천하시어 인간을 창조하신 최고신이신 하느님[天(하느님, 하늘(하느님)]하위신의 형태로 계절을 주관하시는 五帝가 계십니다. 유교는 하느님(天), 五帝, 地神, 山川神, 부엌신(火관련)숭배등 수천년 다신교 전통이 있어왔습니다.@한국은 세계사의 정설로,한나라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국으로 수천년 이어진 나라임.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Writer Avatar

사공영(유유 편집자)

출판편집자. 재미있어 보이는 일이면 뭐든 해 보고 싶어 하고, 독특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질문하기를 좋아한다. 『우리말 어감사전』, 『끝내주는 맞춤법』, 『책의 말들』 등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