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매우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다. 많은 철학자들이 밀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철학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다.
글 : 출판사 제공 사진 : 출판사 제공
2020.06.26
작게
크게


쾌락의 계량 가능성을 주장한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와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한 존 스튜어트 밀의 ‘질적 공리주의’로 나뉜다. 벤담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인간의 자연성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개인은 물론 개인의 집합체인 사회에도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보았다. 



공리주의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저 | 이종인 역
현대지성






추천기사


#공리주의 #철학자 #사회의 구성원 #의미
0의 댓글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저/<이종인> 역

출판사 | 현대지성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