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음대를 거쳐 미국의 예일대와 줄리어드 음대에서 공부한 故 백낙호 교수는 대한민국 음악계 1세대 원로다. 1949년 데뷔 무대에 섰고 한국전쟁 중에는 해군교향악단과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를 협연했다. 이후 1963년부터 30여 년간 서울대학교 음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많은 후학을 양성했다.
그동안 고인을 기념하기 위한 추모음악회가 몇 차례 열렸지만 이번 음악회는 조금 특별한 인연으로 시작했다. 고인이 타계하기 몇 달 전이었다. 故 백낙호 교수는 각별한 제자였던 피아니스트 이연화(중앙대 교수)와 자신의 아들인 피아니스트 백정엽(서울종합예술학교 교수)을 불러 셋이서 함께 한 무대에 서는 음악회를 만들고 싶다는 이야기를 전했다. 이들의 인연은 각별했다. 피아니스트 이연화는 이화여중에 다니던 어린 시절부터 고인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그녀가 피아니스트로 성장하자 훗날 고인은 자신의 아들인 백정엽을 그녀에게 보내 피아니스트로 성장하도록 지도를 부탁했다.
(왼쪽에서부터)피아니스트 이연화, 피아니스트 백정엽, 피아니스트 유영욱
아쉽게도 연주 날짜인 그 해 8월 31일을 두 달 앞두고 백낙호 교수는 지병이 악화되어 갑자기 타계했다. 이들이 준비했던 연주는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연화 교수는 그 때의 일을 기억했고 6년의 시간이 흘러 고인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무대를 기획했다. 고인의 빈자리를 대신해 그의 제자인 피아니스트 유영욱(연세대 교수)이 함께하며 연주회의 의미를 지키기 위해 故 백낙호 교수가 선정했던 곡목이 그대로 연주된다.
고인의 제자이자 국내 최초로 베토벤 전집 앨범을 레코딩한 피아니스트 이연화(중앙대 교수)와 아버지를 따라 같은 길을 걸은 그의 아들 피아니스트 백정엽(서울종합예술대 교수), 고인의 제자이자 ‘한국의 베토벤’이라는 수식어로 유명한 피아니스트 유영욱(연세대 교수). 이렇게 피아니스트 3명이 한 무대에 오른다. <슈베르트의 판타지 D.940>, 모차르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K.448> 등이 연주된다.
전석 2만원으로 예매는 예스24에서 가능하다.
문의 : 툴뮤직 (02-3443-5702)
[관련
기사]
-새로운 ‘세대 음악’의 출현, 그 성난 얼터너티브 록 -
너바나(Nirvana)
-“너는 ‘No’라고 말하는 법을 배워야 해” - 커트니 러브의
홀(Hole)
-너바나 출신의 드러머 데이브 그롤이 이끄는 그룹 - 푸
파이터스
-꼬마 친구들은 무얼 하고 있을까
-팝, 현실을 노래하다 - 2편

기획사 제공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2014.07.03
베토벤 전곡을 레코딩 할 정도라는거 처음 알았네요.
음대 교수진들이라면 레슨과 스승이라는 명목으로 믿음과 신뢰가 의심가는게 현실이네요,
2014.02.25
2014.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