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문을 열자마자 느껴지는 것은 갓 볶아낸 듯한 은은한 커피향과 고소한 쿠키 굽는 냄새. 카페 벽면을 가득 메꾼 체리목 책장에는 문학, 인문 등 다양한 장르의 책들이 가득 꽂혀 있다. 카페 내부 여기저기에는 잡지들이 보기 좋게 진열되어 있다. 테이블에 차 한잔을 두고 독서삼매경에 빠져 있는 사람, 노트북을 켜놓고 리포트 작성에 열심인 대학생들의 모습이 여유로와 보인다. 이대 후문 길건너에 위치한 프리스턴 스퀘어(☞홈페이지보기 www.프린스턴스퀘어.kr). 바로 '2005 여름 우리들이 북카페 이야기'가 찾아간 첫 번째 북카페다. 프린스턴 스퀘어는 1998년 신촌 연세로에 처음 문을 열었다가 2002년 말 지금의 자리로 이사했다. 이곳 운영자는 대전지법 판사로 재직했던 임동진(62)변호사. 매주 자신의 차로 신간 20여 권을 카페로 실어 나른다고.
더위가 최고조에 달했던 7월 토요일 오후였지만 이날 프리스턴 스퀘어에 모인 블로거들이 나눈 책에 대하여 나눈 대화의 뜨거움에는 훨씬 미치지 못할 더위였다. 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하고 지금은 어린이들을 독서 지도하고 있는 minyoung1015 님, 지금까지 YES24에 총 125편의 리뷰를 써서 올렸다는 piper76 님, 비즈니스와 경제 부문의 넓은 책읽기가 인상적이었던 삶의 향기 님, 수의예학 전공자답게 자연과학도 마인드로 읽는 독서의 면모를 보여준 playguy 님, 올바른 언어의 쓰임에 대한 남다른 조예가 빛난 쓸만한게없네 님, 독수리 3호와 함께 뒤늦게 등장한 정진아 님, 대화에 경청하는 자세가 단아했던 rabins 님…. 처음에는 수줍게 자신을 소개했지만, 최근 ' 내 이름은 김삼순'의 인기에 힘입은 『모모』열풍에 대한 수다로 시작하여 다빈치 코드 이야기로 깊어진 대화는 일명 '부자되는 책'과 '남녀 관계에 대한 책'에 이르러 꽃을 피었다. 해리포터를 정말 좋아하는 minyoung1015 님
저는 해리포터를 굉장히 좋아해요. 보통 사람들은 해리포터를 판타지 물로 규정하는 것 같아요. 해리포터를 판타지 물로 규정짓는 것은 맞는 면도 있지만, 안 맞는 면도 있어요. 제가 생각하기에 해리포터는 판타지물이라기 보다는 정말 동화책에 가깝구요. 그래서 과도하지 않는 상상이랄까? 단순하게 '마법학교가 있다' 정도의 동심…. 그러한 동심적인 재미가 있어서 좋은 거 같아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캐릭터는 론이에요. 해리포터의 단짝 친구죠. 해리포터가 워낙 유명인사다 보니까… 론과 해리가 같이 있으면 사람들이 해리포터만 알아줘요. 그러면 론이 해리를 질투를 하죠. 또 론은 형제 많은 집의 막내축이라서 맨날 헌 빗자루만 타고 나니면서... "난 가난한 아이들이 싫어"라고 투덜대는.... 그런 전형적인 일반인들의 모습에 공감이 많이 타요.
★ minyoung1015 님이 추천했어요! ★
| |||
차분한 인상의 piper76 님
요즘 예전에 읽은 책을 다시 읽고 있어요. 『삼십세』라는 책인데 가슴에 많이 와 닿아요. 그 책에 보면 삼십이라는 나이가 그렇데요. 천한 개의 기회가 있는데 천 개는 모두 사라져버리고 마지막 한 개만 남은 나이. 수많은 길들이 있다면 이십 대에는 어디로 가야할 지 고민을 하는 때이고, 서른이 되면 대부분의 것들은 결정되고 마지막 하나의 길만 남은 그런 때. 책이라는 것은 어떤 시기에 읽느냐에 따라서 받아들여지는 것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원래 이 책을 처음 읽은 것은 스물 한살 때였어요. 그 때엔 솔직히 책의 내용이 가슴이 잘 와닿지 않았는데… 지금은 너무 공감이 되는 거예요. 내가 이 글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서 서글픈 감정이 들기도 하더라구요. 텍스트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걸 읽는 사람의 마음이 중요한 거다, 라고 생각해요.
★ piper76 님이 추천했어요!★
| |||
경영 경제 서적에 남다른 조예가 있는 삶의 향기 님
저는 책을 많이 좋아해요. 책에서 배우는 점이 참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장르 구별 없이 기회가 되는 대로 많이 읽으려고 해요. 다들 그렇듯이 중고등학교 때엔 문학을 많이 접했고, 대학 1학년 때에는 사회과학서적을 많이 읽었어요. 그리고 경영학을 함께 전공했거든요. 겅영학 전공하면서부터는 경영, 경제에 대한 책을 많이 읽었어요. 저는 특히 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경제 관련 책을 많이 보라고 얘기하는 편이에요. 책 한 권 본다고 당장 돈을 벌 수 있는 것이 아니에요. 부자 되는 방법에 대한 책을 읽었더니, 갑자기 부자가 되었더라… 그런 개념으로 접근한다기 보다는 관련 책을 많이 읽다 보면 우선 마인드가 달라지고 돈의 흐름, 경제의 흐름을 알게 되요. 주식 시장이나 부동산 시장 같이 이런 시장들이 돌아가는 것을 알게 되요.
★ 삶의 향기 님이 추천했어요!★
| |||
언어에 관심이 많은 쓸만한게없네 님
저는 지역에 따라 보는 책이 달라요. 무슨 말인고 하니 집에서 읽는 책, 지하철에서 읽는 책, 회사에서 보는 책, 화장실에서 읽는 책이 따로 있어요.
저는 특히 언어 관련 책을 많이 읽는 편이에요. 제가 원래 언어에 대하여 관심이 많거든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국어와 영어의 올바른 쓰임새에 관련된 책들을 많이 보고 있어요. 그런데 최근 들어 언어가 잘못 쓰여지는 모습을 자주 봐요. 가장 많이 틀리는 말이 '삼가하다'에요. '삼가다'가 옳은 표현이거든요. 그리고 '절대절명'은 '절체절명'으로, '맨날'은 '만날'로 쓰이는 것이 맞답니다.
★ 쓸만한게없네 님이 추천했어요!★
| |||
수의예를 전공하는 진지한 청년 플레이가이 님
남자들이 아무래도 나이 어린 여자를 좋아하잖아요. 그런데 여자 나이가 서른 넷이 되면 그 이전과 비교해봤을 때 생물학적으로 정말 차이가 많이 나요. 일단 서른 넷 이후에 임신을 하게 되면 태아에게 다운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급격히 올라가요. 그래서 남자들이 나이어린 여자를 좋아하는 것은 어쩌면 유전자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본능일 수가 있어요. ★ 플레이가이 님이 추천했어요!★
| |||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 단순한 열정 』
『암퇘지』
『해리포터』
『삼십세』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거대한 체스판』
『오래된 정원』
『한강』
『세상에 그저 사라지는 것은 없다』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한국어가 있다』
『꿈의 해석』
『이기적 유전자』
『창가의 토토』 ![[김미래의 만화절경] 어제 뭐 먹었어?](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10/20251027-5031a641.png)




prognose
2012.07.03
책과함께
2010.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