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서커스’ <바레카이> 빅탑 상량식 현장
글ㆍ사진 관리자
2011.03.29
작게
크게

지난 3월 25일 잠실 종합운동장에서 <바레카이> 빅탑 상량식이 열렸다.

<바레카이>는 2002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초연된 ‘태양의 서커스’의 작품으로, 도미닉 샹파뉴가 연출하였으며 지금까지 전세계 60개 도시에서 600만 관객을 만났다. 집시 언어로 ‘어디든지’(wherever)이라는 뜻을 지닌 <바레카이>는 유명한 그리스 신화 속의 ‘이카루스’(하늘을 날았으나 너무 태양 가까이 다가가 날개가 녹아내려 추락한 인간)의 일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막이 열리면 화산 꼭대기에 자리한 마법의 숲 ‘바레카이’에 날개가 부러진 한 청년이 하늘에서 추락한다. 그는 미지의 세계에 두려움을 느끼지만, 곧 애벌레의 모습을 한 아리따운 여자와 사랑에 빠진다.

 

 

<바레카이>는 방랑자의 자유로운 영혼과 미지의 세계를 향해 떠나는 열정을 가진 사람들에게 바치는 작품으로, 음악과 안무, 그리고 환상적인 아크로바틱이 어우러져 ‘바람이 이끄는 어디든지 또 다른 삶의 터전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이다.

북미와 호주, 유럽을 거쳐 2011년 아시아 투어를 하고 있는 <바레카이>는 지난 달 대만 공연을 마치고 오는 4월 6일부터 5월 29일까지 잠실종합운동장 내 빅탑에서 한국 공연을 가진다. 한국 공연을 앞두고 열린 빅탑 상량식 현장의 모습을 만나보자.

 

<FONT color=#013add>잠실종합운동장 내 빅탑의 모습 아직 세워지기 전의 모습이다. 빅탑을 지탱하는 네개의 기둥 위에는 </FONT>

<FONT color=#013add>태양의 서커스 깃발, 태극기, 메이플리프플래그(캐나다 국기)가 펄럭인다. </FONT>

 

 

<FONT color=#013add>마스트 엔터테인먼트 김용관 대표와 태양의 서커스 투어 총괄 디렉터 로버트 맥켄지가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FONT color=#827e7f>마스트 엔터테인먼트 김용관 대표는 `상량식을 세 번째 하게 되는데, 할 때마다 즐겁기는 한데 일이 너무 많아서 집 한채를 짓는 기분입니다. 뜻깊은 공연이 아무 사고 없이 끝까지 잘 될 수 있도록 지원과 도움 부탁드립니다. 특별히 상량식에 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고 전했으며, `태양의 서커스` 투어 총괄 디렉터 로버트 멕켄지는 `오늘은 <바레카이>가 서울에 도착하는 것을 알리는 중요한 빅탑상량식입니다.벌써 세번째 한국 방문인데, 마치 가족을 만나는 것 처럼 반갑습니다. <바레카이>의 성공을 기원합니다.`며 한국 공연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  

</FONT>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상량식에 앞서 공연의 성공과 무사안전을 기원하는 고사가 열렸다.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능숙하게 절을 하는 로버트 맥켄지와 </FONT><FONT color=#013add>기념사진 촬영중인 태양의 서커스 투어팀</FONT>

 

<FONT color=#827e7f>로버트 맥켄지는 `4년 전에 <퀴담>을 한국에서 했을 때도 고사를 해본적이 있습니다. 제가 채식주의자라 고사상이 생소하게 보이긴 하지만, 한국의 문화로 존중합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런 특별한 세러모니는 없어요. 꼭 행운을 가져오길 바랍니다.`고 전했다.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빅탑을 세우기 위해 동원된 인력은 설비팀과 기술인력팀에서 60여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며, </FONT>

<FONT color=#013add>현지에서 고용된 인력들도 동원된다.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빅탑 내부의 모습. 빅탑을 세우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기술팀.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빅탑은 높이 17미터, 직경 50미터의 크기로 세워지고, 높이 25미터의 네개의 기둥으로 지탱된다. </FONT>

<FONT color=#013add>빅탑을 지탱하는 기둥의 상부 모습.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집중하세요. 1,2,3하면 모두 동시에 기둥을 세우는 겁니다. </FONT>

<FONT color=#013add>자, 완성하게 되면 바로 옆 기둥으로 빠르게달려가서 다시 한번!’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4,500제곱미터 부지에는 단단히 공연장을 지탱해줄 550개의 말뚝이 사용된다. </FONT>

<FONT color=#013add>빅탑과 공연장 부대 시설 설치에는 1천 개 이상의 말뚝이 사용된다.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빅탑 내 바닥 곳곳에 표시된 마크들</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프랑스 보르도 지방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인 빅탑 디자인 제조 회사인 </FONT>

<FONT color=#013add>브알레히 뒤쉬드-퀘스트가 빅탑을 설계하고 제작했다. </FONT>

<FONT color=#666666></FONT> 

<FONT color=#013add>빅탑은 실내 온도가 알맞게 유지되는 환경에서 2,500명 이상 수용 가능하다.</FONT>

<FONT color=#013add>여러 나라 출신으로 이루어진 약 150명 가량의 아티스트와 스태프들을 위해</FONT>

<FONT color=#013add>빅탑 및 공연장 내부 시설을 비롯하여 타피루즈(VIP텐트), </FONT>

<FONT color=#013add>출구, 아티스트 텐트, 매표소, 사무실, 창고, 주방과 학교 등</FONT>

<FONT color=#013add>하나의 마을이 세워진다. </FONT>

 

<FONT color=#013add>`태양의 서커스`의 빅탑 시설은 현지에서 전기를 공급받지 않고 자체 발전시설을 사용한다.</FONT>

<FONT color=#013add>4대의 발전기로 공연장 부지에 약 500kva용량의 전력을 공급한다. </FONT>

<FONT color=#013add>현지에서는 물과 통신수단만을 공급받는 자급자족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FONT>

 

<FONT color=#013add>공연장 부지의 모든 시설이 설치되기까지는 약 2주가 소요되며, 철거에는 3일이 걸린다. </FONT>

<FONT color=#013add>이 대규모 프로덕션은 1,000톤에 달하는 장비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FONT>

<FONT color=#013add>약 45피트길이의 컨테이너 68개를 이용하며, </FONT>

<FONT color=#013add>이 모든 작업에는 40명의 기술 인력과 100명 가량의 현지 인력이 투입된다.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3add>빅탑 세우기 완성 </FONT>

<FONT color=#013add>`태양의 서커스`의 빅탑은 또 다른 이름 그랑 샤피토 Grand Chapiteau(`커다란 곡예단`이라는 뜻)</FONT>

<FONT color=#013add>라고 불리기도 한다. </FONT>

 

<FONT color=#827e7f>빅탑이 세워진 <바레카이>총괄 디렉터 로버트 맥켄지는 향후 일정에 대해 `전 세계에서 상량식을 많이 해봤기 때문에 오늘도 별 무리없이 성공적으로 빅탑이 잘 세워졌다. 오늘 빅탑을 세우고 이번 주말에 출연진이 한국에 들어온다. 그 다음 준비하고 연습해서, 프리미어 데이를 시작으로 한국 공연을 올릴 것이다.`고 말했다. </FONT>

<FONT color=#827e7f></FONT> 

<FONT color=#827e7f></FONT> 

<FONT color=#827e7f>

<FONT color=#000000>*본 기사와 사진은 “더뮤지컬”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민, 형사상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FONT>

 

</FONT>

 

 

<FONT color=#013add></FONT> 


<FONT color=#0162f4> </FONT>

Writer Avatar

관리자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