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인문학] 하루 한 줄, 인문학에게 나를 묻는다
[하루 10분 인문학] 하루 한 줄, 인문학에게 나를 묻는다 인문학을 알고 싶지만 멀게만 느꼈던 사람이라도 이 책을 통해 하루 10분만 투자하면 내면을 지식으로 채우고 나와 세계를 바라보는 자신만의 시각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2020.09.28 출판사 제공
카카오프로젝트100 이준형 지일주 하루 10분 인문학 인기도서 추천도서 채널예스 예스24 인문학
이준형ㆍ지일주 “인문학은 명확한 답이 없는 삶의 길잡이”
이준형ㆍ지일주 “인문학은 명확한 답이 없는 삶의 길잡이” ‘나는 왜 살아가고, 왜 존재하는지’, ‘나는 무엇이 하고 싶고, 왜 그것이 하고 싶은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과정 자체가 인문학이라는 거죠. 그 과정을 거치다 보면 각자 나름의 깨달음을 얻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2020.09.22 출판사 제공
인터뷰 인문학 이준형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지일주 하루 10분 인문학 추천도서
이윤영 “글을 쓰고 싶다면 글 근육부터 만들자”
이윤영 “글을 쓰고 싶다면 글 근육부터 만들자” 일단 메모를 통해 보이지 않고 내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생각을 정리해야 합니다. 그러고 나서 버릴 것은 버리고, 취할 것은 더욱 취하여 글로 발전시켜보는 거죠. 그렇게 꾸준히 자신의 생각을 메모로 남기면 글을 쓰는 것이 정말 만만해질 수밖에 없어요. 2020.03.02 출판사 제공
글 근육 글쓰기가 만만해지는 하루 10분 메모 글쓰기 이윤영 작가 메모
[글쓰기가 만만해지는 하루 10분 메모 글쓰기] 글 쓰는 게 너무 어렵다고?
[글쓰기가 만만해지는 하루 10분 메모 글쓰기] 글 쓰는 게 너무 어렵다고? 막연하게 ‘메모해라’, ‘매일 써라’, ‘꾸준히 써라’로 일관하며 글쓰기의 중요성만을 강조하지 않는다. 이미 수백 명의 사람을 통해 검증한, 내 생활 속 다양한 글감을 메모라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쓰는 훈련을 하고, 써놓은 메모를 제대로 된 한 편의 글로 발전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담았다. 2020.02.28 출판사 제공
메모 글쓰기가 만만해지는 하루 10분 메모 글쓰기 하루 10분 글감
감정코칭 전문가 차희연 "마음 수업을 해보세요"
감정코칭 전문가 차희연 "마음 수업을 해보세요" 저는 한 달에 한번 산속에 들어가서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요. 물론 가끔 바다도 보러 갑니다. 2019.06.24 출판사 제공
인간관계 매일 10분 마음수업 차희연 작가 마음수업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분 세계사] 종이에서 로봇까지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분 세계사] 종이에서 로봇까지 과거를 돌아보면 번뜩이는 발명의 순간들이 거듭될수록 인간의 삶과 인류 문명은 조금씩 다른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때에 따라서 작은 혁신처럼 보이는 것들이 거대한 사회 변화의 단초가 되거나 보통 사람들의 삶을 완전히 뒤바꿔버리기도 했다. 2018.01.23 출판사 제공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분 세계사 과학기술 4차 산업혁명 세계사
엄마, 오늘 하루는 어땠나요?
엄마, 오늘 하루는 어땠나요? 매일 조금씩 일기 형식으로 기록을 하다 보면 엄마의 삶에도 큰 활력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나 자신에게 위안과 힘이 됩니다. 글을 쓰는 일은 이렇게 큰 치유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7.07.11 출판사 제공
엄마 기록 하루 10분 엄마의 시간 김주연
출근이 인생의 목표인 당신에게
출근이 인생의 목표인 당신에게 전 세계가 폭풍공감한 화제의 영화 <10분>이 오는 4월 24일, 개봉한다. 개봉 확정과 함께 스릴 넘치는 직장생활을 예고하는 포스터를 공개했다. 2014.04.03 채널예스
10분
바쁘지만 행복한 아빠 모습, 가족 안에서 만들어요
바쁘지만 행복한 아빠 모습, 가족 안에서 만들어요 매일 아이와 10분씩이라도 노는 것을 반복하다 보면 서로에게 익숙해지고 말없이 툭 쳐도 놀이가 되고 웃음이 됩니다. 그것이 아빠와 아이가 함께 나누는 행복입니다. 뭐라고 더 설명하지는 못하겠지만 서로에게 익숙해진 상태. 말이 없어도 서로가 다음 동작을 아는 상태. 그것이 행복한 관계가 아닐까요? 2013.05.24 김동권
김동권 아빠와 10분 창의놀이 아빠 육아 육아
놀이는 이벤트가 아니라 일상
놀이는 이벤트가 아니라 일상 한 번 근사한 것을 선물해 주고 일주일, 한 달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이벤트입니다. 하지만 어제 한 일을 오늘 또 한다면 그것은 일상이 되지요. 주말 나들이도 매주, 일 년 내내 한다면 이벤트가 아닌 일상입니다. 매 주말 전시회나 극장 관람을 한다면, 매 주말 외식을 한다면 그것 역시 일상입니다. 아빠가 집안일을 매번 도와주지는 못하더라도 아빠가 아이와 가족들을 위해 해 줄 수 있는 일상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아빠 육아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2013.05.10 김동권
육아 아빠놀이 김동권 아빠와 10분 창의놀이
더 쉽게! 더 재미있게! 더 짜릿하게!
더 쉽게! 더 재미있게! 더 짜릿하게! 만약 아이와 맞대결을 펼치는 놀이라면 10년 만에 외나무다리에서 원수라도 만난 것처럼, “드디어 이날이 왔구나! 너와의 한판을 위해 칼을 갈았다! 자, 어서 덤벼라!” 하고 분위기를 한껏 조성해 보세요. 공에 맞거나 상대의 무기를 떨어트릴 때에도 수류탄을 다루듯 몸을 한 바퀴 돌리거나 두 팔을 번쩍 드는 리액션을 해보세요. 옆에서 보는 사람도 없으니 아빠의 창피함은 10분간 주머니 속에 넣어 두면 됩니다. 아이의 반응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 2013.05.03 김동권
아빠 육아 김동권 아빠와 10분 창의놀이
아빠, 놀아 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노세요
아빠, 놀아 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노세요 아이와 놀아 준다고 생각하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것 같고, 무언가 크게 희생하는 기분까지 들어 놀이가 재미없습니다. 하지만 아이와 같이 나 또한 논다고 생각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재미있고 즐겁게 놀 수 있을지 궁리하게 되고, 아이와 함께 노는 시간이 기다려지기까지 합니다. 그렇게 해서 아이와 함께 어떻게 하면 즐겁게 놀 수 있는지를 하나둘 터득해 가기 시작했습니다. 2013.04.26 김동권
아빠 육아 아빠와 10분 창의놀이 김동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