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사람들이 말하는 회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2011.07.15
![]() | |||||
| |||||
![]() |
그 남자가 그 동안 밥상에 올렸던 해산물에 대해 책을 썼다. 갈치, 고등어, 꽁치, 문어, 볼락, 삼치, 홍합…. 펄떡이는 생명력으로 물이 오른 저녁밥상. 그것은 남자의 밥이자, 생활이자, 인생이었다.
작가 한창훈은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거문도에서 태어났다. 그래서인지 수권의 책을 펴낸 지금도 그는, 작가의 눈으로 바다를 구경하는 것이 아니라 어부와 해녀들 사이에 섞여 몸으로 바다를 살아내는 생활인의 눈으로 바다를 대한다. 그런 그가 온몸에 문신처럼 새겨진 바다의 기억과 낚시생활 40년 노하우를 엮어 '21세기형 자산어보'를 완성했다.
잘 알려졌듯이 '자산어보'는 조선시대 정약전이 유배지에서 펴낸 책이다. 외롭고 고된 유배지 생활을 이겨보려는 듯, 정약전은 그곳에서 만난 다양한 바다 생물들을 이리저리 헤집어보며 관찰하고 연구했는데, 그때 남긴 기록이 바로 '자산어보'다. 그로부터 200년 후, 작가 한창훈은 고향 거문도로 돌아와 그만의 자산어보를 채워가기 시작한다. 비린내 풍기는 '갯것'들을 맛깔나게 먹는 법, 잡는 법, 다루는 법과 함께 바닷사람들의 애틋한 삶의 면면까지 녹여냈다.
특히 섬사람들의 회 먹는 방법이 눈에 띈다. 회로 배가 불러야 된다는 것이 섬사람들의 기본 방침이어서 회는 일단 수북이 쌓아놓고 먹는단다. 도시 횟집처럼 얇게 저며놓고 친구 부르면 욕먹기 십상이라나. 또한 섬에서는 회를 조선간장, 마늘, 설탕, 고춧가루, 생강, 깨로 만든 양념장과 먹는 것을 최우선으로 치고, 그 다음이 묵은 김치나 고추냉이 간장을 곁들여 먹는 것이라고. 도시인들처럼 초고추장에 먹겠다면 구박받을 각오를 해야 한다. 여기까지 읽으니 벌써 군침이 돈다.
지금이라도 당장 달려가서 맛보고 싶은 다양한 갯것. 작가가 직접 서툰 솜씨로 찍은 날 것의 생선 사진과 거칠고 투박한 글. 그 안에는 비릿한 바다의 냄새가 있다. 눈물처럼 짭쪼름한 소금 맛이 배어 있다. 하긴 그것이 바로 인생의 맛 아니겠나.
![]() | |||
![]() | |||
| |||
![]() |
11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앙ㅋ
2011.12.31
도 전
2011.08.13
맑은 하늘
2011.07.25
더 보기